사실 경질대가 저렴하다면 당연히 업그레이드합니다. 전 내림과 강제집행을 즐기는 스타일이라 경질대가 손에 맞는데 경질대라고 이름 건것들이 좀 비싸야지요. 내림대 보다도 더 비싸니 그래서 저렴하게 통초릿대 사용합니다.예전거라 연질대인데 중경질정도 된거같습니다. 중경질대 두대는 거의 경질대 만큼되더군요.
신기한게 허리힘이 좋은 경질대나 내림대는 줄당겨보면 초릿대 부분만 휘는것을 알수있는데 통초릿대 사용해보세요 비슷해집니다. 그러나 경질대에다가 통초릿대 사용하거나 초릿대절단은 몽둥이로 바꾼다라고 생각됩니다. 굳이 고가의 경질대가 필요없고 부담되신다면 통초릿대나 초릿대절단은 괜찮은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저같은 경우는 내림낚시를 하다가 기존 바닥대는 너무 부드러워 당췌 사용하기가 곤란해지더군요. 초릿대절단하고 줄 짧게 매시는 분도 꽤 있던데 그럴바엔 통초릿대가 낫다고 봅니다. 손맛터에서 몇년 사용했는데 별다른 이상도 없습니다. 특히 잉어걸렸을때 3호 원줄이 먼저 나가더군요. 거의 잠수함수준...
사족을 달자면 통초릿대로 교체하시면 챔질을 과도하게 하시는 바닥낚시의 특성상 예전대로 챔질하시면 문제생깁니다. 예전 연질대 챔질하듯이 과도하게 챔질하면 채비 튼튼하게 사용하시는 분은 붕어 턱날라오거나 어디뿌러집니다. 경험도 했고요. 내림같이 빠른 스냅챔질을 하셔야 낚시대 안망가집니다. 내림대는 원줄과 목줄이 약해 채비가 망가지는 경우가 많고요. 경질대로 업그레이드하고 두동강 내는분 본적있습니다. 낚시대도 보기에는 싸구려도 아니든데 말이죠. 순간적인 충격에 약한건 경질대가 더 심합니다. 예전에는 질긴대가 좋은대였는데 세월이 흐르니 많이 바뀌네요.
개선된걸 느낄수가 있을겁니다
앞쏠림이 있어 무게감은 더해집니다
저는 붕어하*에서 구입해서 쓰고 있는데 아직 마수를 못해서...... ^ * ^
각 메이커마다 낙시대 특유의 특성을 살려 낙시대가 설계되고
만들어 지고 있습니다, 대 분류로 1, 연질. 2,중경질. 3,경질. 4,초경질 등으로
구분이 되며 각 낙시대의 특성을 살려서 조사의 손에 길들려 져야만
진짜 최고의 낙시대가 된다고 생각됩니다,
특히 님께서 사용하시는 대 정도면 경질에 가까운 대이며 잘 활용 하시면
상당히 좋은 대입니다 ,
여기서 겻들인다면 아무리 좋은 대라도 내 손에 맞아야 하며
또한 관리와 활용을 잘 하셔야 비로서 빛을 발휘한다고 사료 됩니다.
조화가 잘되는 낚시대와 통초릿대를 선정하셔서 사용하시면 좋은점도 많습니다
그러나 굳이 드림대라면 권해 드리고 싶지 않습니다
그 정도의 낚시대면 경질에 가까워 그냥 사용하셔도 양방으로 문제가 없을것 같습니다
청정님의 말씀대로 큰 불편함이 없다면, 낚시대의 튜닝은 저로서는 반대 입니다
각 제조사별로 낚시대를 만들땐 각각의 절번마다의 특성이 있습니다
손잡이부터 허리에서 초릿대까지 의 균형이 잘 맞아야 좋은 손맛과 더불어
그 낚시대가 가지고 있는 장점을 잘 살릴수 있다고 생각 됩니다
즐기는 낚시는 대의 탄성을 최대한 이용하여 눈맛과 더불어 손맛을 볼수 있는쪽에
무게를 더 두고 싶습니다
"튜닝"이 결코 단점만 있는것은 아니지만 한번더 생각하시면 좋겠네요.....
그냥 쓰도록 해야겠네요
498하세요!!!!
"튜닝의 끝은 순정이다...."ㅎㅎ
낚시대도 이와 일맥상통 하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무난하다고 생각합니다
억지로 바꾸시지 마시고
현재상태로 사용하시는게
좋을듯하네요
안출하세요
498하시구요
튜닝전과는 다르게 무게감이 느껴지지만 수초사이에 앞치기 할때 정확도가 좋아졌습니다.
제법 큰 고기를 끌어낼때도 어느정도 강제집행도 가능하게 되더군요.
잉어를 걸었는데 낚시대는 부러지지않고 바늘이 부러져 놓쳤습니다..^^
저는 통초릿대를 구입할때 원래 두께보다 0.2MM정도 두꺼운 것을 구입해서 고운 사포로 조금씩
갈아내서 초릿대와 3번대가 4~5센티정도 빈틈없이 물리게끔 맞추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자수정드림대라면 튜닝은 별로 필요하지 않을거 같고
오래된 중경질정도의 낚시대면
1,2번대를 보관해두시고 통초릿대로 한번 사용해 보시는것도 좋다고 생각됩니다.
사실 경질대가 저렴하다면 당연히 업그레이드합니다. 전 내림과 강제집행을 즐기는 스타일이라 경질대가 손에 맞는데 경질대라고 이름 건것들이 좀 비싸야지요. 내림대 보다도 더 비싸니 그래서 저렴하게 통초릿대 사용합니다.예전거라 연질대인데 중경질정도 된거같습니다. 중경질대 두대는 거의 경질대 만큼되더군요.
신기한게 허리힘이 좋은 경질대나 내림대는 줄당겨보면 초릿대 부분만 휘는것을 알수있는데 통초릿대 사용해보세요 비슷해집니다. 그러나 경질대에다가 통초릿대 사용하거나 초릿대절단은 몽둥이로 바꾼다라고 생각됩니다. 굳이 고가의 경질대가 필요없고 부담되신다면 통초릿대나 초릿대절단은 괜찮은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저같은 경우는 내림낚시를 하다가 기존 바닥대는 너무 부드러워 당췌 사용하기가 곤란해지더군요. 초릿대절단하고 줄 짧게 매시는 분도 꽤 있던데 그럴바엔 통초릿대가 낫다고 봅니다. 손맛터에서 몇년 사용했는데 별다른 이상도 없습니다. 특히 잉어걸렸을때 3호 원줄이 먼저 나가더군요. 거의 잠수함수준...
사족을 달자면 통초릿대로 교체하시면 챔질을 과도하게 하시는 바닥낚시의 특성상 예전대로 챔질하시면 문제생깁니다. 예전 연질대 챔질하듯이 과도하게 챔질하면 채비 튼튼하게 사용하시는 분은 붕어 턱날라오거나 어디뿌러집니다. 경험도 했고요. 내림같이 빠른 스냅챔질을 하셔야 낚시대 안망가집니다. 내림대는 원줄과 목줄이 약해 채비가 망가지는 경우가 많고요. 경질대로 업그레이드하고 두동강 내는분 본적있습니다. 낚시대도 보기에는 싸구려도 아니든데 말이죠. 순간적인 충격에 약한건 경질대가 더 심합니다. 예전에는 질긴대가 좋은대였는데 세월이 흐르니 많이 바뀌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