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늦은밤에 죄송스럽지만, 고수님들께 한가지 여쭙니다

IP : 1eb0252b2b97ae0 날짜 : 조회 : 5150 본문+댓글추천 : 0

일반적으로 보름전후 며칠간은 붕님만나기 힘들다고들 하잖아요? 저역시 짧은 경험이지만 실제 그렇다 생각 되긴 합니다만....이유는 달이 밝으면 붕어들이 예민해지기 때문이라고 하던데요..컴컴한날보다.. 그런데 여기서 궁금한게 있슴돠..... 그럼 해뜰무렵,또는 대낮에도 종종 좋은씨알의 붕어두 잡히는데요.. 참알다가두 모를 붕어맘을 속시원하게 풀어주실 고수님 계신가요?

1등! IP : 9a8d5d68ac32c7e
낮엔 환하고, 밤엔 어둡고.. 이것이 붕어가 익숙한 환경인데 밤에도 훤한날 즉 보름은 붕어에겐 이상한 날 인게지요. 상현은 몰라도 보름이 막 지난 하현달 때는 낚시가 안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제 경험으로는 보름때도 산란이나 추석 같은때는 낚시 잘 됐었습니다.
추천 1

2등! IP : c896fae5c12116e
옛 부터 보름달에는 어부들이 바다에 나가지 않는다고 합니다.
지금은 첨단 장비 덕분에 크게 좌우하지 않는다고 하더군요.

동이 뜰무렵과 해가 질 무렵에는 붕어의 일상생활이지만
보름달(보름날)은 중력에 의하여 붕어들의 활성도가 떨어진다고 합니다.

또 붕어는 동이 뜰무렵과 해가 질 무렵에 먹이활동이 제일 활발하답니다.
그래서 그 시간대가 조과가 제일 좋습니다.

소물낚시꾼 님 안출하시고 498하세요.^^*
추천 1

3등! IP : 08da55efc4146d9
백점짜리코 - 살려줄께제발물어 - 소물낚시꾼님 안녕하세요

닉넴변천사를 쭈욱 ㅋㅋㅋ

보름에 입질이 뜸한 이유는 바로바로바로

달빛이 밝은것도 있겠지만 달의 인력때문이랍니다...^^

통계상으로도 조황차이가 확실히 난다고하니 믿을만한 정보에요^^

대물낚시꾼으로 되는 그날까지 홧팅하세요!!
추천 1

IP : 48abcda06f589ad
낚시가 안된다는게 전체적으로 맞지만..

보름달에도 월척 마릿수 잡아낸적도있습니다..

고기맘 누가 알겠습니까..
추천 1

IP : 4414f8b874392fe
그러니까요......... 보름엔 안된다..라는게 일반적인데, 가끔은 대박터트리는 일도 있으니 말입니다..
그리고 김천고등 학교님 반갑습니다^^.아디 바뀐거 다 기억 하시누만요^^. 한달지나면 다시바꿀까 생각 중임돠..가수가 자기노래따라 인생이바뀐다구 하는데,넘 비참한(?)아뒤를 쓰는거같아서리..라마스케님 자연자연님 linz님 추천꾹 눌러드림돠..근데 추천 받으면 좋은거있나요?
추천 0

IP : d3f01585d9f6d7b
보름달....아무래도 주위가 환해지고 꾼들도 오늘은 너무 환해 아니야......

이런생각을 가지게 하는 날입니다.

하지만 붕어는 나옵디다. 환하다고 보름달 맞이하러 나왔다가 덜커덕된건지 모르겠지만......

보름달에도 붕어는 나옵니다. 아무래도 전체적인 조황은 평소보다도 쳐지는듯합니다만 전혀 입질이 없는건 아닙니다

보름달......주위가 환한날.....저는 번출을 자주갑니다...^^
추천 1

IP : 6c468efee2419b3
안녕하세요...살려줄께제발물어 닉이 젤좋습니다

속시원이 풀어줄 고수는 이세상에 없습니더.ㅋㅋㅋ

이 지구에서 자연에 힘을 응용하는 방법외에는요.

달에영향으로 출조시에는 평지형 보다는 산속계곡지로 추천해봅니다 산에 달빛이 많이가려지는 저수지그늘진곳.

산으로 인하여 달이좀 일찍넘어갑니다.

달에 영향으로 조과가 떨어지는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즐낚하십시요~~~
추천 1

IP : ee3cc58c0b856b9
붕어들이 달구경 나왔다가 길가에 새우나 콩 옥수수등등 파는 난전을 들립니다 하여튼 사람이나 붕어나 먹는거 를 너무좋아하면
때때로 곤욕을 칩니다..ㅎㅎㅎㅎ
즐..낚하십시요
추천 1

IP : 1f93c7c4e51ed49
밝은달엔 조황이 떨어지는 여러가지 이유중에

김천고등학교님의 리플처럼 달의 인력으로 인하여

붕어가 바닥에 있지않고, 저수지 중층으로 뜨기 때문에

일반적인 바닥채비로는 조과가 떨어진다는 이유에 한표를 던집니다.

자세한것은 용왕님께~~ㅎ
추천 1

IP : 4414f8b874392fe
저역시사리 조금,같이 달로인한 인력으로 생기는 현상땜시 보름엔 낚시가 어렵다고 보아집니다만.그래서 고기가 뜨는 것에 가능성을 둡니다.또 예를 들어 비오기 전이라면 저기압이라 고기들이 뜬다는건 이해가 가거든요? 또 그게 이유라면 또하나 말이 않되는게 하루중 가장 기압이 낮은때는 동트기 전후 입니다..그런데 이때는 꾼이라면 빼놓을수없는 시간이기도 합니다....이땐 왜 일까요? 또 전 중층은 해보지 않았지만 고기가 뜬다면 보름때나 저기압일때 중층낚시조과는 어떤가요? 고수님들 쫌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야그좀 이초보 소물에게좀 나눠주셈
추천 0

IP : 1f93c7c4e51ed49
소물낚시꾼님 리플에 대한 답변을 보자면 어느정도 지식은 갖추신듯..ㅎ

저기압에 고기가 뜨더라도 동트기 전후에 입질이 오는것은

사람도 끼니때가 있듯이 고기도 밥먹을 시간이라는 본능적인 회유에서 오는 입질로 추정합니다.

실제로 그런날 중층 또는 띄울낚시를 해보면 조과에서 차이가 납니다.

한번 해보시져.

물속의 붕어맘을 어떻게 알겠습니까..

고민은 정답이 나올때까지 쭈~~욱~~~
추천 0

IP : d9537ab552842a8
보름에는 붕어가 뜨는군요....ㅎㅎ 한수 배우고 가네여 ^^*

달에 인력이 그러한 작용을 하는지 오늘 처음 알았네요.

앞으로도 좋은 지식 부탁 드려요^^)
추천 0

IP : b460df7a6188a89
통계는 그냥 통계일뿐~ 일단은 들이대고 보는게 최고입니다.

지금 댓글 통계도보면 보름에도 워리 구경하신 님들 계시는거보면

보름 상관없이 들이대 보세요 ^-^


한치앞 사람마음도 모르는세상에 물속 붕어마음을 어찌 알란가요~ ^^
추천 0

IP : 4919bd16a747293
그러게요...들이대는게 최고죠..나름 보름달떠있을때의 낚시도 입질한번 없어도 분위기 좋더라구요
추천 0

IP : 2475190e7071fb3
특히....갓 낚시 형태나. . 물 속 장애물이 없이 수심이 낮을때 보름에는 좀처럼 붕어얼굴 보기가 확률적으로 적은게 사실입니다.
보름시기에는 수초나.부들.연.등등 을 될수있음 최대한 이용을 하게 되면 좀더 나은 방법이 아닐런지 모르겠네요..
낮에도 되는 낚시가 보름밤 에는 잘 안되는 것은 경계심이 적은 수치의 붕어들은 개의치 않은듯 보이나...
아무래도 그곳에서 오래서식한 대물들은 여러 변화하는 환경에 민감하기 때문에 보름같은 시기 에는 회유범위를 좁히지 않나 생각됩니다.
저 또한 밤낚시시 보름이나 만월시에 낚시할때는 분위기에 취해 있곤 합니다.
그런데 조과에는 .... 영..~~
보름시기 출조는 많이 고려하는 편입니다..
추천 1

IP : 35ecddeeb07a2fe
말그데로...속설 아닌가 하네요!
초보이지만!!!뭐든 잘먹을수도..안먹을수도..어느 누가 붕어 속을 알리오!
다덜 경험상으로 하는 소리!!
물속에 후레쉬 비춰봐요~~괴기들 죄다 몰리죠!
추천 1

IP : 7f87540ce482165
인력이란게 정말 작용하는걸까요?
그런거같기도하고.... 아닌거같기도하고....많이 배우고갑니다^^
추천 1

IP : a2a1c7fe405e059
제 생각입니다만 달의 인력하고는 상관없을듯 합니다
달의 인력이 보름달이라고 커지고 반달이라고 반으로 줄고 하는것은 아닐테니까요
달은 항상 똑같지만 그림자로 인해 크기가 변해 보이는것 뿐이니깐요 - 너무 뻔한얘기를 쓰자니 쑥스럽네요

단순논리로 생각해보면

(사람의 입장에서) 환한곳에서는 주위에 이곳저곳 보이는 눈도 많고 이거 저거 의식할것도 많고 해서 코구멍 한번 후빌려도
여간 눈치보이는게 아니잖습니까. 깜깜한곳이라면야 뭐 별 눈치볼꺼 있나요 깊숙히 시원하게 후비면 그만지죠

(붕어의 입장에서) 슬슬 밤은 깊었고 배는 고파오고 입맛다시며 물가로 기나오는데 워낙 경계심 많은 대물들이 자신이 훤하게
노출 되는 조건에서 먹이 활동을 편히 할수 있을까요? 아마도 배고파 죽을 지경이 아니면 물가로 안나올껍니다.

- 이상 無知蒙昧한 초보 대물꾼의 완전 개인적이 생각이었습니다

아 그리고 지난번 FTV에서 한 유명한 낚시인이 보름달 상황에서 갓낚시를 즐기는 분은 낚시를 접고, 일반 대물낚시를 하느 분은
아예 훤한 가로등 밑으로 자리 잡고 대물 건져내는걸 봤습니다. 아마도 밤에도 환한 환경에 적응한 붕어들이 보름달 빛 정도의
밝기에는 이미 적응을 하였기에 별 경계없이 먹이활동을 하지 않나 싶습니다
추천 1

IP : 32728edfc611389
설명하시는글 다보니 맞는것 같고

붕어가 되어보지 못해서 정말 그런지...

중력에는 어느정도 인정하고 만약 자연의 법칙이라면

매일 조금씩 변하는 중력도 적응해 아무상관 없을듯 하고 (살아 있는생물이니..)

그저 운이라 생각하고 열심히(재미나게) 하다보면 대물 상봉하지 않을런지여...
추천 1

IP : ae92e963f22aa30
아....우울한파리님....제가 뻔한얘기지만 님께서 모르시는거 같아서 쬐메 한말씀 올리자면 달의 인력 이라는거 어쨌든 물 과는 엄청난 관계가 있습니다.만조,간조,사리,조금....모두 달과 관계가 있거든요...예를 들면 달도 지구와 인력이 작용하듯이(원심력) 태양도 지구를 당기고 있는데요 태양의 인력은 달에비해 적게 작용하지만 어쨌든 달이 향하는쪽과 반대편은 달의 인력으로 물이 모이고 다른곳( 직각지점)은 물이빠지게되죠..바로 만조와 간조죠..또 태양,달 지구 순으로 배치되면 아시겠지만 달이 안뜨죠.(그믐)..하지만 가장 조수간만의차가 심한 사리가 되겠구요....태양.지구,달 순이면 바로 보름달이뜨는데요..이역시 사리입니다....
그리고 반달일때 이때가 바로 조금이라고하는 때죠..간만의차가 가장적을때입니다..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간만의차란 간조때와 만조때를 얘기하는거죠.....주저리주저리 말씀올립니다만 고등학교때 다 배운거 같은데요.....
또 수상시러운게요 하나더 있는데요...그믐달( 달이 뜨지 않을때)역시 사리때니데요..가장 인력이 강하게 작용할때인데,왜 그믐엔 보름달이뜨면 조황이 부진하단 말이 없을까요?..알다가도 모를 붕어맘인듯하네요... 근데 제가 인력에 대해서 잘못 기억하는건 아닌가 모르겠군요,,나름 확실하다 생각은 들지만
추천 0

IP : 86ef357bb54e1f7
대기와 수중의 압력변화 정도차는 매우 심합니다. 인간은 못느끼는 달의 인력을 물고기들은 느끼는 것이지요.
달이 지구에 가장 가까운 보름달일때 달의 인력으로 물의 압력이 낮아져 마치 배수기(수위가 낮아져 압력이 낮아짐)와 같은
조건을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