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의 부력조절이 쉽다는 점과 편납의 이탈이 심하다는 점은 윗분들꼐서 이미 지적해 주셨고요.
편납만을 추로 사용하는 낚싯군으로서 그외 좋은 점을 소개해 드립니다.
관통형 편남홀더에 편납을 감아 사용하면 유통추 채비가 되고요, 이것은 추위 위치를 조정해서 목줄의 길이를 조절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 유속이 있거나 대류가 심해서 채비가 흐를 떄, 손쉽게 관통추낚시(일명 중통낚시)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관통추 낚시로 전환할 때는 부력이 약한 찌로 교체하거나 아니면 기존의 사용하던 찌의 찌다리에 찌 몸통부분만 잠기도록 편납을 감고, 추 윗부분 추멈춤고무를 위쪽으로 30센티 이상 올려 주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유속이 있어도 채비가 흐르지 않고 입질시 찌가 시원스럽게 욱 내려가는 입질을 볼 수가 있습니다. 유속이 심할 때는 홀더에 추를 조금더 감아 보다 무겁게 합니다.
말았던 편납을 다시 펴서 자르면 무게감이 감소하고
편납을 조금 더 감아주면 무게감이 증가합니다.
하지만 단점은 편납 이탈이 쉽게되며, 오랜 기간 사용할시 부식으로 인한 부력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편납은 대부분이 편납도래를 사용하여 감으시는데...바닥이 뻘층이 되어있다면 파묻힐 가능성이있습니다.
고리봉돌채비 교환시 쪽집게를 하나 구매하셔서 가지고 다니시면 쉽게 채비교환을 하실수 있습니다.
좋을듯 싶네요. 접착재가 붙어서 나오는 편납도 있지만 수초에 걸려서
편납 이탈이 심할겁니다.
그리고 가격도 봉돌에 비해서 비싸구요..
편납만을 추로 사용하는 낚싯군으로서 그외 좋은 점을 소개해 드립니다.
관통형 편남홀더에 편납을 감아 사용하면 유통추 채비가 되고요, 이것은 추위 위치를 조정해서 목줄의 길이를 조절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 유속이 있거나 대류가 심해서 채비가 흐를 떄, 손쉽게 관통추낚시(일명 중통낚시)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관통추 낚시로 전환할 때는 부력이 약한 찌로 교체하거나 아니면 기존의 사용하던 찌의 찌다리에 찌 몸통부분만 잠기도록 편납을 감고, 추 윗부분 추멈춤고무를 위쪽으로 30센티 이상 올려 주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유속이 있어도 채비가 흐르지 않고 입질시 찌가 시원스럽게 욱 내려가는 입질을 볼 수가 있습니다. 유속이 심할 때는 홀더에 추를 조금더 감아 보다 무겁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