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도 아침부터 비가 오네요 이젠 그만 와도 될거 같은데... 갑자기 궁금한게 있어서 글올립니다 미끼(참붕어,새우,메주콩,옥수수 등등)에 따라 입질 차이가 있나요? 선배조사님들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저수지에 따라 상황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습니다
중치급 이상일 경우는 조금 덜하고요
그날그날 잘먹는 미끼가 있으니까
한가지만 사용 하지말고 이것 저것 사용해보시고 잘먹는 미끼를
사용 하심이 좋을것 같네요..
입질형태도 딱히 이렇다 라고 얘기하기가..
모든 미끼 크기에 따라 입질형태가 다르니까요 ..
근데 대물일수록 입질 형태는 좀 지저분한듯..찌올림폭도 적은것 같고..
단지 저의 생각입니다..
다만 참붕어의 경우에는 조금 늦게 채신다 생각하시면 될 것 같은 데
예를 들면 참붕어의 경우엔 올림 입질 후 좌우의 움직임이 있습니다.
저의 경험 상 참붕어 입질 중 찌솟음이 중후하게 올라오는 것 즉 올림이 느린 경우를 제외하곤
거의 좌우로 움직임이 보입니다. 총알 맞는 경우가 새우보다 많은 것도 이러한 경우의 움직임에서 오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래서 저의 경우엔 참붕어의 입질 중 올림 후 좌우 움직임이 나타날때 후킹을 시도하는 데 거의 정확한 타이밍에
입걸림 유도가 되더군요.
하지만 새우엔 조금 다른 듯 싶습니다.
물론 완전 다르다는 것은 아니구요. 새우의 경우 올림 후 조금 늦을 경우 바로 뱉는 경우가 더러 있었습니다.
정말 허무했드랬죠.
아무래도 미끼의 특성 상 표면의 느낌의 차이에서 오는 붕어의 이물감이나 흡입 정도의 차이가 아닐까 싶습니다.
새우는 조금 아작거린다는 느낌이 들구요( 입질 형태상...)
참붕어는 쪽 빤다는 느낌이 들더라구요.
참붕어가 새우보다는 입질이 시원하고 과감하여 챔질 타이밍 역시 조금 늦춰도 되지 않나 싶은 게 제 생각입니다.
윗분 중 어느 분의 말씀처럼 중치급의 입질이 다소 깔끔한 경향이 있는 듯...특히 9치급 입질 주깁니다.
하지만 주변 여건만 맞는 다면 아무래도 덩어리의 입질이 숨 넘어 가겠죠?
덩어리급은 주변 여건 상 상대적으로 예민한 반응으로 다소 지저분한 입질에 어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더라구요.
입질 형태론 잔챙인데...덩어리가 나온다든지...^^
오랫만에 허접 댓글의 1인자 왔다 갑니다.
감사드리고, 즐거운 연휴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