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초봄, 맑은 날, 바람 없는 날 : 밤 10시 이후 새벽 6~7시 까지 꽝인 경우가 많았슴.
2. 봄, 흐린 날 : 꾸준한 입질 있음.
3. 초 여름, 흐린날 : 저녁 8시 까지 입질 없음.
4. 초 여름, 비오는 날 : 밤 12시 이후 입질 없음.
5. 여름, 맑은 날 : 저녁 10시 정도까지 입질 없음.
등등...
위를 종합해 보면,
붕어의 먹이 활동이 활발한 시간대와 조건이 있는 듯 합니다.
붕어가 좋아하는 날씨가 있다는 이야기지요.
또한 저의 경험으로는 붕어가 좋아하는 먹이의 활동시간 대와도 유관하지 않은 듯 합니다.
새우가 많은 곳과
참붕어나 피라미가 많은 곳,
곡물 유입이 되는 곳,
또,
큰 나무가 드리워져 나무에서 붕어의 먹이감이 떨어지는 시간대 등,
에 따라서 대물붕어의 활동 시간이 달라져서
잘 잡히고 잘 안잡히고 하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어느 시간대라고 말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저수지나 수로 등의 상황과 함께 봐야 하고,
날씨와 함께 봐야하고,
또 그 저수지에 조사들이 얼마나 있는가(대물들의 먹이활동을 방해하는 위협)에 따라 다르지 않을까요?
저의 경우는 저수지나 강계류 특히 저수지권은 밤에 물이 뒤집히는 시간이 있습니다
그시간때가 가장 입질이 잘오구요 예를 들자면 밤 11시쯤 물이 뒤집히는시간이면
1시까지 입질이 잘오다가 끈어짐니다 그뒤 3시까지는 입질이 없죠 4시경 접어들면서 서서히 오구요
해뜨는 시점 딱 날이 밝아오는 시간이 피크 타임입니다 대채로 날이 밝아 오면 입질이 오긴하지만
저수지 특색마다 다르니까 참고 하시라는 ^^
강계류는 언제부터 집어를 시작햇는지에따라 다르더라구요 저녁5시경 자리 잡구 앉자서 떡밥투척 햇으면
밤 10시경 입질이 오거나 강도 물이 뒤집히는 현상이 발생할떄가 잇습니다 물막는 보가 잇는 곳에는
10시경 입질이 없어지면 새벽 대물들 움직이는 사간이 되야지 입질을 받죠 보통 3시부터 5시 까지 입니다
제경험상 배스 가 서식하는 지역에는 2시부터 5시 까지 대물이 움직임니다 특히 강은 입잘 받으면 월척입니다 ^^
같은대요.
입질빈도는 적으나 덩어리확률은 크다고 생각합니다.
그치만 이시간때에 월척급이 자주 나오더군요^^
방심하는 시간에......새벽에......
그래서 요시간대는 커피나 야식등 잠시 휴식을 취합니다~~
입질이 거의 없었습니다. 꼭 그런건 아니지만
평균적으로 그렇습니다.
잔입질 사라지는 타임에 집중합니다
보통 새벽 1시전까지 노리고 한숨돌리며 쉽니다
쪼우는시간 입질뚝
ㅎㅎ 특히 11시이후 1시가진 오면 겁나는 대물일 확률이 아주 높습니다.
허나 일어나면 꼭 엉켜있는 찌들...
개인적으로 2시 전후해서 대물을 가장 많이 보는 시간입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그러고 4시넘에 자고나면 자동빵..
그러마 통상적으로 24시를 전후하여서는 입질이 뜸한 경우가 많드군요.
짬낚시가서 23시경까지 입질이 없으면 거의 철수를 하고 있답지다.
더 기다려 봐도 입질은 거의 없으니까요.
케미도 흐릿해지는 이시간..1차 고비...
입질 안오는 시간은 아니지만. 동이 트고 해가 완전 솟기전..
주간케미든 야간케미든. 뭘 달아도 잘 안보이는 시간.. 2차고비..
운전하고 돌아오는 시간.. 최대의 고비..
찌를 열심히 쳐다 보고 있을때 입질이 가장 뜸했습니다..
반대로 밥을 먹거나, 차를 마시거나, 화장실 가거나, 잠을 잘때..
입질이 가장 활발했습니다..
1. 초봄, 맑은 날, 바람 없는 날 : 밤 10시 이후 새벽 6~7시 까지 꽝인 경우가 많았슴.
2. 봄, 흐린 날 : 꾸준한 입질 있음.
3. 초 여름, 흐린날 : 저녁 8시 까지 입질 없음.
4. 초 여름, 비오는 날 : 밤 12시 이후 입질 없음.
5. 여름, 맑은 날 : 저녁 10시 정도까지 입질 없음.
등등...
위를 종합해 보면,
붕어의 먹이 활동이 활발한 시간대와 조건이 있는 듯 합니다.
붕어가 좋아하는 날씨가 있다는 이야기지요.
또한 저의 경험으로는 붕어가 좋아하는 먹이의 활동시간 대와도 유관하지 않은 듯 합니다.
새우가 많은 곳과
참붕어나 피라미가 많은 곳,
곡물 유입이 되는 곳,
또,
큰 나무가 드리워져 나무에서 붕어의 먹이감이 떨어지는 시간대 등,
에 따라서 대물붕어의 활동 시간이 달라져서
잘 잡히고 잘 안잡히고 하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어느 시간대라고 말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저수지나 수로 등의 상황과 함께 봐야 하고,
날씨와 함께 봐야하고,
또 그 저수지에 조사들이 얼마나 있는가(대물들의 먹이활동을 방해하는 위협)에 따라 다르지 않을까요?
그시간때가 가장 입질이 잘오구요 예를 들자면 밤 11시쯤 물이 뒤집히는시간이면
1시까지 입질이 잘오다가 끈어짐니다 그뒤 3시까지는 입질이 없죠 4시경 접어들면서 서서히 오구요
해뜨는 시점 딱 날이 밝아오는 시간이 피크 타임입니다 대채로 날이 밝아 오면 입질이 오긴하지만
저수지 특색마다 다르니까 참고 하시라는 ^^
강계류는 언제부터 집어를 시작햇는지에따라 다르더라구요 저녁5시경 자리 잡구 앉자서 떡밥투척 햇으면
밤 10시경 입질이 오거나 강도 물이 뒤집히는 현상이 발생할떄가 잇습니다 물막는 보가 잇는 곳에는
10시경 입질이 없어지면 새벽 대물들 움직이는 사간이 되야지 입질을 받죠 보통 3시부터 5시 까지 입니다
제경험상 배스 가 서식하는 지역에는 2시부터 5시 까지 대물이 움직임니다 특히 강은 입잘 받으면 월척입니다 ^^
잠시자리비우면 입질오고 ㅎㅎㅎ
제가 쪼아보니까 밤 12시부터 3시사이가 뜸하드라고요
참고하세요^^
저는 2-4시입니다
보통은 저녁 피딩타임 끝나면 입질 뜸해지다가
밤 10시 이후엔 정말 말뚝인 경우가 많죠 노지경우에요
새벽 3시나 4시 무렵까지 입질없다가
해뜨기 30분 전부터 해뜨고 30분정도 무렵이 입질활발하죠
근데 정작 큰 놈들은 밤늦은 시간이나 새벽 야심한 시간대에
물어 주더군요 무지 피곤한 시간에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