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밤대물낚시와 물색과의 관계가 궁금합니다.

IP : ca2adc9deffef0d 날짜 : 조회 : 5337 본문+댓글추천 : 0

낮낚시를 하면서 물이 흐려서 낚시 여건이 좋다고 했더니 어떤 사람이 옆에 있다가 물색이 맑아야 밤낚시가 더 잘된다고 하던데 맞는 말입니까? 밤낚시도 물색이 흐려야 좋은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1등! IP : d071f6c2f1cb304
물이 맑아야 밤낚시가 잘된다는 것은 전혀 맞지 않는 이야기입니다.

물색이 맑으면 낚시가 않되는 이유는

붕어가 물밖의 낚싯군이나 기타 물체의 움직임에 민감하기 때문이죠...
"우리 눈에 붕어가 보이면 붕어는 더 깊은 곳에서도 우리가 보인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물색이 맑으면 역시 붕어의 경계심이 심해 지기때문이죠....

그러면,

밤이 되면 어두워지니까 우리는 물체를 잘 식별할수 없게 됩니다.
그래서 붕어도 우리가 보이지 않을것이고 마치 물색이 흐린것과 같은 효과를 볼수 있다??
라고 생각을 하죠?

하지만 이것은 잘못된 생각입니다.

동물이 물체를 볼수 있는 것은 눈의 뒤에 망막이라는 것에 물체의 상이 맺히기 때문입니다.
이때, 사람에게는 망막(황반)에 원추세포가 많이 분포하죠.
원추세포는 밝은 빛에서 물체의 색깔과 형태를 구별하게 해 주는 세포입니다.
즉 사람은 밝은 곳에서 물체의 색, 형태를 알수 있는 원추세포란것이 많다는 얘기죠..근데, 이 원추 세포는
약한빛(밤)에서는 전혀 기능을 발휘 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밤에 볼수 없죠...

하지만, 붕어의 망막에는 원추 세포가 없습니다....
대신에, 붕어의 망막에는 간상세포라는 것이 많이 있습니다.
간상세포는 약한빛(밤)에서 물체의 명암과 형태를 구별해주는 것이죠...
즉 물체의 색을 알수 없습니다.
붕어는 모든 물체가 흑백 TV처럼 보인다는 이야기지요....
(*참고, 그래서 붕어의 떡밥의 색깔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단지, 밝은 색이 붕어가 발견하기 쉬울 뿐이죠)
글래서 붕어는 밤이나 낮이나 거의 동일 합니다.
밤에도 우리보다 훨씬 잘보는 것이지요..
이 간상세포는 호랑이나 사자, 혹은 사슴에게도 많이 있습니다. 이들은 밤에도 우리보다 훨씬 물체를 잘보고
사냥도 하죠?? 마친가지의 원리입니다.

하지만, 물색이 흐리면 약한빛(밤)이든 강한빛(낮)이든 빛이 물속으로 적게 전달되므로 붕어의 눈에는
시야가 흐릴것이고 안심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사실, 붕어가 밤인지, 낮인지 알겠습니까??
물고기 IQ가 3초인데.....ㅎ
단지, 눈에 들어오는 빛의 정도로 안심을 하고 먹이를 취할 뿐이지요...

긴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ㅏㄷ...
도움이 되시길...
추천 0

2등! IP : d071f6c2f1cb304
결론적으로 물색이 흐려야 붕어가 안심하고 연안으로 몰려 든다는 이야기입니다.

물색이 너무 탁할때(장마철에 흙탕물이 가득할때)
붕어는 첫물을 무쟈게 좋아합니다. 한창의 더위로 수온이 많이 올라가면, 물속의 산소량이 감소합니다.
그래서 붕어는 매우 힘들어하죠...심
지어 호수위로 주둥이를 내밀고 뻐끔거리기 까지 합니다.
이때, 많은 비로 새물이 들어오면, 이물은 하늘에서 떨어지면서 많은 산소를 녹이게 되고 산에서부터 저수지로 흘러들면서, 각종 풀씨나 먹이들을 함께 쓸고오죠...
그래서 새물찬스가 오기도 하구요.....
날이 덜 더울때는 비가 많이와도 새물찬스는 어렵습니다...
이미 저수지 물속에 풍부한 산소가 있기때문이죠...

하지만, 계속되는 비로인하여 저수지의 전역이 흙탕물이되면,
상황은 달라집니다.
미립의 흙알갱이들이 붕어의 아가미에 달라붙어서 호흡을 방해하죠...
그래서 이때는 오히려 붕어는 맑은 물을 찾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상류권에서 콸콸 쏟아지는 흙탕물 보다 중류권에서 졸졸졸 내려오는 맑은 물이나 저수지의 가장자리쪽의 정수수초쪽이 빨리 맑아 지죠...
이런쪽으로 붕어가 많이 모여들게 됩니다.
호흡에 유리하게 때문이죠...
역시 이때, 많은 흙탕물로 인하여 붕어의 시야도 어두워집니다.
이때는 밝은색 떡밥이나 지렁이가 유리하죠..
지렁이의 움직임이 붕어게 보이지 않더라고 측선을 통하여 물속에 지렁이의 꿈틀거림을 감지합니다.

그래서 적당히 흐린물색, 수온, 용존산소량 이 3가지가 붕어에게 가장 중요한 요건이라 생각됩니다...

쓰다보니 너무 길어졌군요....
오늘 시간이 있어 두서없이 이것저것 몇가지 적어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http://www.wolchuck.co.kr/img/best05.gif>

축하드립니다.
2006년 6월 일반부문 월간 BOB에 선정되었습니다.
행복한낚시의 아이디를 운영자에게 쪽지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추천 0

3등! IP : 7984f6bc3d0eb50
플라톤님 답변 감사드립니다.
의문이 말끔히 가십니다.
추천 0

IP : 4b38f42d9906802
사람에게는 망막(황반)에 원추세포가 많이 분포하죠.
원추세포는 밝은 빛에서 물체의 색깔과 형태를 구별하게 해 주는 세포입니다.
즉 사람은 밝은 곳에서 물체의 색, 형태를 알수 있는 원추세포란것이 많다는 얘기죠..근데, 이 원추 세포는
약한빛(밤)에서는 전혀 기능을 발휘 하지 못합니다.
플라톤님 ~~~~
전공이 의사?해부학?~~~ㅎㅎㅎ......아예.......간호사군요^^....ㅋㅋㅋㅋㅋ
추천 0

IP : d3eff059854e2d9
매우 유익하고, 논리적 해석에 감사드립니다.

좋은 정보 감사드려요...플라톤님!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