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붕어 먹이 활동과 몸집에 관한 질문..

IP : 4c991b352f37617 날짜 : 조회 : 5073 본문+댓글추천 : 0

대물낚시를 월척을 통해서 배워가고 있는 조사입니다.... 제주도인데요.... 대물낚시는 커녕 민물낚시에 대해 여쭤볼 사람들이 없어서요... 제가 이틀 전에 대를 담군 저수지인데요.... 제주도에서는 규모가 큰 1만평 정도의 준계곡형 저수지입니다.... 상류쪽에는 뗏장수초가 전역에 걸쳐 분포하고.... 물버들과 갈대가 조금 분포되어 있는 곳이어서 그림은 나오는 편입니다.... 새우도 다량 서식하구요.... 문제는 낚이는 붕어들이 문제입니다.... 6치 붕어의 몸매가 거의 명태와 흡사합니다... 손가락 두개를 합쳐놓은 것이 흔히 이야기 하는 빵입니다.... 환경이 그렇게 나쁘지는 않은데 낚이는 조과를 보면 낚시를 하고 싶은 마음이 별로 없어집니다... 새우가 다량 서식하고 주변환경이 그다지 나쁜 것 같지는 않습니다.... 사람으로 치자면 많이 먹어도 안찌는 사람들이 있는데 다 그런부류인지.... 아니면 제가 생각하고 있는 것보다 환경이 나쁜 것인지.... 낚이는 붕어가 모두 전부 명태모양입니다.... 님들 의견이 정말 궁금합니다....

1등! IP : 60ddd5f9dd00543
단순4짜붕어님 안녕하세요
아름다운 섬 제주도에 사신다니 부럽습니다.
잡지를 통해서 제주도에서도 붕어낚시가
상당히 활발하게 보급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기억이 나지 않지만 어딘가에선 4짜붕어도
낚였다고 하더군요.

님께서 질문하신 붕어의 체형에 관한 제 생각인데요
붕어의 체형은 생육환경에 많이 지배를 받는 것 같아요
생육환경을 세가지 정도로 크게 요약하면

첯째 저수지의 먹이사슬입니다.
님께서 낚시를 하신 저수지에 혹 붕어를 위협할만한
육식어종이 살고 있는지요?
요즘은 배스도 많이 퍼져 있지만 과거부터 가물치등 붕어를
먹이로 하는 육식어종이 많이 살고 있는 저수지에선 붕어가
가물치등에게 먹히지 않으려고 체고을 키워 소위 빵이 넓은
형태의 체형을 갖게 됩니다.
아마 님께서낚시를 하신 저수지에는 가물치등 육식어종이
없을 공산이 크겠군요.

둘째 붕어의 먹이환경입니다.
붕어의 먹이가 풍부하지 못한 반면 개체수가 너무 많으면
먹이경쟁이 심해 질 것이고 상대적으로 붕어의 영양이
좋지 못하여 붕어의 체형이 마른 형태를 보일 수 있읍니다.
하지만 자생새우가 풍부하다고 하니 꼮 이러한 이유만은
아닐 수 있고요.

셋째 저수지의 토질입니다.
이것은 두번째 이유와도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데요
제주도는 화산활동으로 생겨난 섬이고 이러한 화산섬의 지질은
물의 투수성이 아주 뛰어난 현무암 토질입니다
아마도 님께서 낚시를 하신 저수지는 물을 담수 하기 위하여
바닥에 불투수성쉬트(고무판 같은 것)를 깐후 흙을 얇게 덮어서 만든 저수지 일 것입니다.
육지의 저수지는 오랜기간 토사가 퇴적된 뻘이 바닥을
덮고 있는 곳이 많습니다. 이런 곳의 붕어체형은 마사토
(화강암이 풍화된 토질) 바닥의 저수지보다 체고가 상당히
높습니다. 바닥이 뻘로 이루어진 곳에서는 다향한 수중 동식
물이 밀생하고 당연히 붕어의 먹이가 풍부하므로 붕어의
체고가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마사토 지질의 저수지 붕어는 잉어처럼 잘빠진 유선형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참고로 강에 서식하는 붕어(돌붕어 포함)들은 거센 물살에
적응하기 위하여 대체로 유선형을 보입니다.)
따라서 님께서 낚시하신 저주지의 토질도 붕어의 체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도움이 되실지 모르겠지만 제가 알고 있는 선에서
적어 보았습니다.
즐거운 낚시, 건강한 낚시 하시구요. 님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고맙습니다.
추천 0

2등! IP : 60ddd5f9dd00543
골대리님 감사합니다....
그동안 집 컴에 자판이 제대로 눌러지질 않아서요...
불특수성쉬트를 깐 것 같지는 않네요... 왜냐하면 저수지가 생긴지 일제시대에
생긴것으로 알고 있거든요.... 제주도가 화산섬이라 여러분들이 오해가 있으신것 같은데요.... 제주도에도 논농사를 짓고 있는 곳이 있습니다.... 물이 스며들지 않는 곳이지요...
가끔 녹조현상이 심하게 생기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며칠 유심히 관찰을 했거든요.....하여튼 열심히 해봐야죠...

추천 0

3등! IP : 60ddd5f9dd00543
붕어들의 행동하는 영역이 넓을수록 빵이 가늘죠..ㅋㅋ
그리고 물이 많이 차울수록 가늘구요.
참고만 하세염^^
추천 0

IP : 60ddd5f9dd00543
단순4짜붕어님 어서 오십시오.
답이 늦었습니다.
골대리님의 안내가 상세하시니 참조 하시고요,
이런 경우가 있습니다.

한 저수지에 두가지 체형의 붕어가 있는 경우가 있지요.
길쭉한 체형의 붕어와 빵이 좋은 붕어가 함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부분 빵이 좋은 붕어가 낚이는데 드물게 길쭉한 붕어가
낚이는 경우가 있고요
대부분 길쭉한 붕어가 낚이는데 중형월척급이 되면
튼튼하고 빵이 좋은 경우가 있지요.

바닥새우가 있어도 마사토 바닥의 계곡지중에는
붕어의 빵이 없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는
중형이상의 월척을 낚아보면 붕어가 튼튼한 경우가 많습니다.
항상 안전조행 하시고 사구팔 하십시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