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붕어와 잉어의 크기가 같을때....

IP : 06d5fb8c78a4057 날짜 : 조회 : 8239 본문+댓글추천 : 0

전에 한번 어느분이 물음을 올리신것 같은데...지금 찾아보니 찾지를 못하겠네요...ㅠ.ㅠ 과연 붕어와 잉어가 크기가 같을때...어느쪽이 힘이 더 좋을까요...궁금하네요... 여기 올라오는 글들 중에서 보면 붕어 4짜급과 잉어 미터급을 많이 비교들 하시던데요... 과연 붕어 4짜가 정말 힘이 좋은지 또한 궁금합니다...붕어 4짜는 아직까지 잡아 보지를 못해서... 월척 중반급까지는 솔직히 잡아봐도 별로 당길힘이 세다고 할수 없을정도 밖에 여겨지지 않던데요... 유료터에서 5짜 잉어 잡아보면 그럭저럭 손맛을 볼수 있지만요... 노지에서 붕어 3짜 중반은 별 손맛 없던데요... 과연 붕어와 잉어의 크기가 같을때 어느쪽이 더 힘이 좋은지...아시는분이나 느껴보시분 계시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항상 즐거운 낚시 행복한 낚시 하십시요...

1등! IP : ac463c985f9dedc
안녕하세요.
재미있는질문을하셨네요.
붕어와잉어의크기가같을땐 붕어의힘이낫다고봅니다.
다 그런건아니지만 대부분그렇다고보시면 맞을겁니다.
저도 아직 4짜조사는아니지만 4짜에근접한 38.5지만 같은 발갱이 4짜급과비교해보면 당길힘과 버티는힘(지구력)이
더 나은걸 확인할수있었습니다.
하지만 붕어4짜급과 잉어미터급과 힘이대등하다.그건아니라고봅니다.
일단잉어도 발갱이급을벗어나면 최소한60을넘어쓰면 그 힘은 과히 붕어와는 비교가되지않을정도로 막강하죠.
제가 예전에 경험담인데 새우대물낚시하다가 잉어 매타급걸어서 3호원줄이 터져버리더라구요.
그래서 5호원줄로 바꾼계기가됐지만요.
붕어는 3호원줄이 터져나가는 괴력의 소유자는 아니라고봅니다.
위의 내용은 양어장이아닌 자연지에서의 경험입니다.
제 자신의 견해이므로 다른분과 의견이다를수있으므로 참고만하십시요.
추천 0

2등! IP : d75e49a67f9e379
아마..제가 질문 했던거 같은데요....붕어는 초반 쳐박는 힘이 좋다고 하더라구요..

저도 정리중인데,,^^,,ㅇㄹㄴㅇㄻㄴ

누치/향어/잉어/장어/붕어 중 과연 누가 힘이 좋을까요?^^...

이건 정말 알다가도 모르는데요..월척도 그냥 딸려오는 경우도 더러 있더라구요,,오히려 작은넘이 더 까불고요...
추천 0

3등! IP : bd493674a053b65
붕어와 잉어의 손맛은 감생이와 숭어의 손맛과 비교할 수 있습니다..
붕어는 째는 맛, 처박는 맛..그러나 제압은 실제로 잉어보다 어렵습니다.
잉어는 지구력으로 승부하는 힘...
솔직히 힘은 잉어가 낫다고 봅니다만, 단순한 힘 뿐이며 실제로 힘쓰는 법을 모른다고 표현하는게 맞습니다.
잉어와 붕어 모두 머리방향만 잡고 있으면 제압이 어느정도 수월하지만,
잉어의 경우는 더하더군요..머리만 잡고 있음, 제압이 쉽습니다.
단지 초반 제압에 실패할 경우 터지는 불상사도 간혹 있지만요..
추천 0

IP : d071f6c2f1cb304
손맛...
수심과 낚싯대의 경질, 원줄의 길이에 따라 많이 차이가 난다고 생각합니다.
단지, 고기의 종류는 큰 관계 없다고 생각합니다...
추천 0

IP : a1364216282f634
제가 느낀바로는 월척을 넘는 같은 싸이즈일경우 붕어가 더욱 힘을씁니다.
17칸으로 40이넘는 잉어는 꼬리가 걸려도 쉽게 끌어 낼수가 있는데 반해 붕어는 월척만 되어도 어!어!어! 하며 쉽게 감아 버리더군요.
물론 수심이나, 수질, 물고기의 상태에 따라서 많이다르겠지요.
다 늙은 고기나 죽을병에 걸린고기라면요..^^
일단 잉어는 걸리면 좌우로 왓다리갓다리 하면서 위기를 벗어나려고 하지요.
옆의낚싯대도 감기 일쑤구요.지구력도 끝내줍니다.
허나 붕어는 좀다릅니다.
걸렷구나 싶으면 바닥에 배를 바짝 붙이고 무조껀 깊은쪽이나 수초쪽으로 냅다 달립니다.
그래서 순식간에 사건이 종료되는 일이 많지요.
순간 제압이 더욱 필요합니다.
간혹 대물 입질을 받았는데,채어보니 바닥에 걸린듯 꼼짝도 안하는 경우가 더러 있읍니다.
이는 붕어가 뻘속을 파고 들어간 경우인데, 위협을 느끼면 이런일도 저지릅니다.
저수지 물이 마르면 붕어들이 삽질(?)하는 거와 같은이치;;;
이처럼 붕어는 잉어와 달리 힘쓰는 방법이 다릅니다.
그래서 힘을 더쓴다고 느끼는 건지도 모릅니다.
이럴 경우를 대비해서 항시 삽을 준비해 다니세요! 안나오면 캐야지요^^*
추천 0

IP : fe95637fe54a95d
안녕하세요? 무지개붕어입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손맛>이라 하면 상당히 추상적이면서도 상대적인,
즉 <챔질부터 고기안착까지의 물고기의 저항으로 인해 낚싯줄과 낚싯대를 타고 전해져 오는 그 느낌에 대한 다양한 호감도>
가 아닐까 합니다. 따라서, <손맛의 결정 조건>을 분석해 보자면,

1. 대상어에 따라 - 즉, 어종과 그 어종의 사이즈, 거기다 서식 환경 및 현재 그 물고기의 컨디션에 따라 손맛이 달라질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2. 원줄의 굵기에 따라 - 원줄이 가늘수록 더 예민하고 짜릿한 손맛을 볼 수 있다는 얘기.

3. 낚싯대에 따라 - 즉, 낚싯대가 어느 정도의 휨새를 보이느냐, 거기다 낚싯대의 길이가 긴가 짧은가에 따라 달라지겠지요?
하지만, 경질과 연질의 기준은 개인마다 조금씩은 다르고, 사람에 따라선 경질대가 오히려 연질대보다 손맛이 더 낫다는 얘기도 하십니다.
무슨 얘기냐 하면, 연질대는 고기의 저항을 낚싯대가 다 흡수하지만
경질대는 대상어가 표현하는 저항의 전달속도가 훨씬 더 빠르고 직접적이라는 거지요.
(저 역시도 이 의견을 더 따르는 편입니다. 그렇다고 완전 뻣뻣한 막대기가 손맛으로 최고라는 얘기는 아니겠지요? 그런 면에서 탄성 또한 중요한 요소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손맛>하면 연질대, 곧 휘어지는 정도가 심할수록 “손맛보는 낚싯대”라고 얘기들 합니다.
<작은놈도 큰놈처럼>이 여기에 해당되겠습니다.

4. 대상어와의 파이팅 시간 - 말 그대로 시간도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대상어와의 투쟁 시간이 너무 과다하면 <손맛>이 아니라 <몸맛>이라고도 하지요.^^
당연히 낭창대는 연질대일수록 파이팅 시간은 길어지게 마련입니다.

5. 낚시 장소에 따라 - 즉 강이냐, 계곡지냐, 평지형이냐 에 따라 다르다고 생각되고,
또한 그 포인트에 있어 수심의 차이에 따른 고기의 저항 반경의 차이가 손맛에 큰 영향을 준다고 생각합니다.


이 모든 요소들을 종합하고 나서도 최종적으로 고려되는 것이 바로 <각 부문에 대한 개인의 취향과 기준관점>이 되겠습니다.
따라서, 사람의 지문이 사람마다 다르듯 <손맛>이라는 느낌 또한 개인마다 천차만별일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야~, 손맛 쥑~인다!”라고 했을 때 낚시꾼이라면 누구나 떠올리게 되는 감정,
즉 ‘흥분과 전율’이라는 점에서 <낚시와 손맛>은 서로 분리될 수 없는 관계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군요.
아이구, 지금까진 <손맛>에 대한 제 개인적인 두서없는 얘기였구요.


질문하신 “타 어종과 동일한 사이즈라면 붕어가 손맛이 더 좋은가?”란 것에 대한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바다낚시를 좀 아시는 분들은 이해가 빠르실 텐데요.
참돔(=잉어)과 벵에돔(=붕어)을 가지고 잉어와 붕어의 손맛에 대한 비유를 많이 하십니다.
저 또한 그렇게 생각합니다만, 잉어는 참돔처럼 먼데로 나가려 하거나 옆으로 째는 성향이 강하구요.
붕어는 벵에돔처럼 밑으로나 장애물을 향해 쿡쿡 쳐박는 성질이 강하지요.
(성향이 그렇다는 것이지, 반드시 챔질 후 반응이 그러하다는 얘기는 아닌 거 아시죠?^^)
그러한 저항 패턴 때문에 붕어의 손맛을 높게 쳐 주는 건 아닐런지요.
거기다 붕어(물론 토종붕어)하면 긴장된 가운데 애태우며 애태우며 지긋이 올려주는 멋진 찌맛을 거쳐,
챔질 이후 나타나는 붕어만의 독특한 쳐박기식 몸부림이 더해지기에 <손맛>에 대한 호감도가 배가되는 것은 아닐까요?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위와 같은 이유로 해서 붕어가 손맛이 더 좋거나, 좋게 느껴지는 것일 뿐,
붕어가 타 어종에 비해 월등히 스테미너가 좋아서 손맛이 좋다고는 생각지 않습니다.

그리고 끝으로, 토종붕어 중에서도 강에 서식하는 돌붕어의 당길힘이 훨씬 더 좋다는 얘기를 많이 듣게 되는 것을 보면,
서식환경에 따른 손맛의 차이도 무시하지 못할 부분인 것 같습니다.(저 역시 돌붕어가 힘은 장사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계곡지 붕어가 평지형 붕어보단 힘이 대체로 더 좋구요. 붕어의 영양상태, 즉 체고가 높을수록 손맛도 비례하는 것 같습니다. 계절에 따른 손맛의 차이도 있을 테구요.


이상으로, 초짜의 의견이니 참고만 하시기를.^^
http://www.wolchuck.co.kr/img/best05.gif>
추천 0

IP : 1f97a238e3c1c76
답변 감사드립니다...결론을 쉽게 내리기는 어려울것 같지만 그래도 붕어쪽에 힘이 좀 더 실리는것 같네요...
그래서 잉어 낚시보단 붕어낚시를 많이 하시는 이유이기도 하겠지요...ㅎㅎㅎ

항상 즐거운 낚시 행복한 낚시 하십시요...
추천 0

IP : 23cf407f546f61c
오윈드님의 비유가 참 적절하신 듯..

감생이와 숭어의 손맛...

감생이 40cm정도를 걸었으면...낚시대로 오는 무게감은 적으나 이상하게도 쉬이 제압이 불가능하구..

숭어 m급도 걸어 보았는 데...그냥 무게감만 있고 가끔 차고 나가는 데..그게 길지는 못하고..

그렇다고 꺼내기는 곤욕스럽고...딱 그렇더라구요..

붕어 턱워리만 되어도 챔질시 순간적으로 전해져 오는 힘은 상당히 막강하고..지가 목표한 곳으로

돌진하는 힘 역시...

잉어는 원채 대구리급들이 사고를 치는 통해...맘먹고 차고나가면...ㅜ.ㅜ

같은 40 사이즈라면 붕어 윈 같구요...

만약...붕어 어른이랑 잉어 어른이랑 붙는다면..잉어가 윈 같네요...

붕어 40는 성어지만...잉어 40은 초등생 취급 받으니까요..비교대상이...ㅜ.ㅜ

재미 있는 질문이십니다...^^
추천 0

IP : 4b38f42d9906802
제가 한말씀 드리겠습니다..
저는 어릴적부터....초등학교~~때 부터...맨손으로 잉어 붕어....메기...가물치...빠가....뿌구리...탱거리..꺽지...웬만한 민물고기는 손으로 다 잡아 보았습니다....심지어 물안경을 쓰고 물속에 들어가 메기와 눈을 마주치며 대화를 한적도 있습니다^^
워낚 어릴적 부터 강이나 저수지에 살다 시피 했으니까요....ㅋㅋㅋ...
투망은 뛰어다니면서 던집니다..ㅋㅋㅋ.....완전 촌놈에 코난이져...ㅋㅋㅋㅋ
그래서인지 제 피부가 까무 짭짭 합니다....ㅋㅋㅋ
손으로 잡은 제 느낌을 몇자 적어 보겠습니다....
잉어...수초 속으로 처 박기 보다는 옆으로 도망려고 한다...그래서 놓치는 경우가 많음..
붕어....수초나 바닦쪽으로 머리를 처밖을려고 한다...실제로 물안경을 쓰고 보면 수초나 풀 같은데 머리를 처밖고 있다....
(반성하냐 이눔아....ㅋㅋㅋㅋ)
메기.....온 몸을 비튼다.....메기같은경우 먹이를 물었을때...순간 온몸을 틀면서 다른방향으로 이동 함.(먹이의 기절 또는 순간적인 힘을 이용하는거 같음,수족관에서 본적 있음)
가물치...요놈도 온몸을 비튼다...물린적은 없음...매가랑 습성이 비슷~~
빠가....등에 침때메 찔리면 절라 아프다...내친구가 메기인줄알고 꽉 잡았다가 등에 있는 침이 손바닦에 꽂혀 있는 상태로 잡았다.
뿌구리.....물위로 상승하기 보다는 바닦을 스텔스처럼...도망 다닌다....손가락 조심...ㅋㅋㅋ
탱거리...요거 쬐매한기 침은 가지고 있서서 쏘이면 절라 아프다.....1급수에서 살아서 요즘은 보기가 힘들다...
꺽지....요놈도 등에 가시가 나 있어...해롭다...가시를 접히는 방향으로 접어서 손안에 움켜 지어야 손에 손상이 없다...
피라미.....도망 다닌다고 난리 부르스다...강가에서 수심 얕은곳에서 피라미 큰놈을 이리저리 계속 왔다갔다 훠이 훠이 해서 지치게 해서 많이 잡았다....
납자루.....내장 때문인지 매운탕에 넣으면 쓰다...고기 취급안한다...바로 바깥으로 내 동댕이 친다....
모래무지...요놈은 발가락으로도 잡는다...모래속에 처밖혀 가만히 있는 습성이 있어....코난 처럼 발가락으로도 잡는다.

뱀~~나는 이거는 손으로 못 잡는다...무섭다..ㅠㅠ..그러나 짝대기로 많이 후려 친다..ㅋㅋ...내 친구는 물속에서(물안경 끼고 수중에서) 물뱀이 지나 가는것 보고 스트리트파이터 처럼 어류겐 하면서 잡아 빙빙 돌려서....같이 물속에 놀던 아줌마 아저씨..을라~들(어린 친구들) 물밖으러 다 쫒아냄..ㅡㅡ...
이상 제가 손으로 만져본 고기의 습성이었습니다..

여기서 윗분이 같은 사이즈의 붕어와 잉어의 힘은 누가 더 쎌까.......??????
저의 개인적으로는 붕어가 아닌가 생각 합니다....잉어보다는 자기 본능 때문에...처밖으려는 힘이 잉어 보다 강하다고 봅니다...
수초나 바닦쪽으로 머리를 처밖을려고 한다...실제로 물안경을 쓰고 보면 수초나 풀 같은데 머리를 처밖고 있다....!!!!
이게 포인트 같습니다...
정 답이 안나오신다면,......두놈 줄달리기 시켜서라도 답을 알아 내야줘...ㅎㅎㅎ...
이상 미끼머쓰꼬입니다...^^
http://www.wolchuck.co.kr/img/best05.gif>
추천 0

IP : cd80280dfa5ad5c
축하...축하...축하드립니다...

질문에 답글 올려주신 분들중 두분이나 투데이 베스트에 선정이 되셨네요...

좋은 답변...재미있는 비유까지...설명 감사드립니다...

항상 즐거운 낚시 행복한 낚시 하십시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