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새우의 활성도와 조황의 상관관계는?

IP : bdf1005309bf9fa 날짜 : 조회 : 3085 본문+댓글추천 : 0

동일한 저수지에서 외적인 요인이 동일 하다는 전제하에서 여쭙니다 새우가 연안에서 활발하게 활동을 하며 채집이 잘되는 날과 그많던 새우가 눈에 잘 띄지도 않고 채집도 잘 안되는 날 어느날이 조황이 더 나을까요? 혹자는 새우의 활성도가 좋은 날은 조황이 안좋다고 합니다 이유는 새우가 냉수성이므로 활성도가 좋은날은 냉수대가 형성되어 붕어의 조황이 안좋다고 하고 혹자는 반대로 새우의 활성이 좋은날 붕어도 연안 가까이 새우를 쫓아나와 먹이 활동을 하므로 조황이 좋다고 합니다 반대의 경우도 같은 이론이 적용 돼겠지요? 새우의 활성도가 안좋은 날은 붕어에게 적정 수온대가 형성되어 조황이 좋다와 아니다 새우가 연안 가까이 접근을 안하므로 붕어도 연안으로 안나와 조황이 떨어진다 새우의 활성이 좋은날과 그렇지 않은 두가지 경우 어느날이 조황이 더 나을까요? 여러 월님들의 고견 바랍니다^^ 저는 이래 저래 꽝이라 답이 안나오네요 ㅎㅎㅎ 다만 새우의 채집이 잘돼는날(새우 활성도가 좋은날)이 왠지 기분도 업 돼고 조황이 좋을것 같다는 느낌(단지 느낌, 늘꽝이라서요)이 들던데요^^ 바야흐로 때는 다가옵니다 우리모두가 기다리던 그때가.... 모든 월님들 때 놓치지 마시고 안출 하시어 바라시는 그님과 꼭 상봉 하시길....

1등! IP : 23e5994500eabb8
저도 궁금한 내용인데 먼저 질문 하시네요.....전 아직 초짜라 다른님들께 넘깁니다..
추천 1

2등! IP : 0cbea79bfa9d14e
물속 세계에 서식하는 모든 생물들이 수온이나 환경에 민감 하리라 여겨집니다.
즉, 새우가 활성도가 좋으면 붕어뿐만아니라 그기 서식하는 모든 생물들도 활성도가 좋은 여건이라고 봅니다.
한물속은 한환경이니까여.
제 경험에서 봐도 그렇더군여.
새우 잘 안잡히는 날엔 입질조차 보기 힘든 날이 많더라구여.

5분만 청소... 꼬~옥 ^^
추천 1

3등! IP : a2a1c7fe405e059
예전에 수철리지에서 월 한수에 준척2수 했는데

그날 새우 3마리 채집되었습니다

참붕어 몇마리도 채집 되었는데

참붕어에는 큼직한 메기가 올라오더군요

지렁이에는 구구리만

결국 3마리 채집한 새우로만 붕어잡았네요
추천 1

IP : a03cc53d019c36d
축록자님 안녕하세요

새우는 통상적으로 수심 2m 이내 연안에서 서식을 하며 저수지내 청소부 라 하지요.

붕어는 저수지에서 먹이사슬 최고점입니다 (물론 20cm 이상 가물치,베스를 피할수있을만큼 성어)

먹이사슬 촤하이점에 있는 새우는 무조건 붕어의 먹이입니다.

낮으로는 깊은 수심대 에서 은신하다가 밤이면 먹이활동을 하기위해 저수지 가장자리로 회유합니다.

가장자리에 새우의 활성도가 높다는 절대적으로 낚시에는 유리합니다.

필자 경험 이지만 새우활성도 좋은날 큰넘 을 많이 한 기억들이 많습니다.

낚시로 인해 행복하세요
추천 1

IP : 6305ac144d5235d
새우 활성도가 좋으면 당연히 붕어활성도도 좋을것 같습니다.
새우활성도가 좋다는 것은 우리가 짐작하건데 그날 수온이나
물속 상태.기압.기타 모든상황이 양호하기에 새우도 활발히 먹이활동을
하는것이기에 붕어 뿐만이 아니라 모든 물고기의 활성도 역시
좋을거라 생각됩니다.

오분만 청소합시다.
추천 2

IP : 925f88bea3dded0
질의하신 내용이고수입니다

물속사정이야 어찌아오리까

생태계 섭리상 새우의 활성도가 살아나면 붕어의 먹이사슬이 더좋을듯 합니다

참고로 낚시점의 수족관 붕어가 움직임 많으면 저수지의 붕어도 입질이잦음은 확인이되고있으며,

수족관붕어가 구석으로 몰려 숨어 움직임이 없으면 입질이 없음은 자주 확인이 되곤합니다

저는 출발전 참고합니다
참고로 출발전 낚시점 수족관 관찰후 출발 ! 하이소 ................... 덩어리 대박나이소 ^.^
추천 1

IP : c66c3d40a353897
새우활성도와 연관지은 새우의 냉수성과 붕어의 활성도와는 별개같습니다.

냉수성이지만 겨울철에 코빼기도 안보이는 새우죠.

붕어활성도가 높다는 물속의 적정수온은 16~18도로 알고 있습니다.

이런 수온은 같은 저수지에서 공생하는 새우도 활성도가 높고, 좋은 조과로 이어지리라 생각합니다.

또한 새우활성도에 따른 조과가 좋다. 그렇지 않다.로 분류되는것은 그다지 의미 없다로 말하고 싶네요.

이점을 저는 포인트는 같아도 공략지점에 따른 변수와 특수기에 따른 변수로 구분하겠습니다.

상류 수초대만 공략하는 조사님과 중하류 위주로 공략하는 조사님의 차이과 같은 이치...

생미끼 낚시는 수심 1~1.5미터가 가장 좋다. 수초대에만 대물들이 득실거린다. 는 고정관념도 버려야 할 것입니다.



질문과는 다소 거리가 있지만 새우 말이 나와서 한말씀 드리고 싶은건... 일전의 경험과 최근 실험?한 몇번의 출조 결과

새우가 많은 저수지에서 옥수수 미끼로 아주 잘 잡힌다는 확실한 답을 얻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옥수수미끼만 사용함)

단지 새우가 많은곳 밤낚시의 경우 수심 2m권까지는 옥수수미끼를 갈아먹어서 붕어입질 받는데 에러점이...

그래서 이런곳 옥수수 공략시 수심 2.5미터권 이상에 대편성을 하는것이 유리합니다. 월척은 수심 4미터에서 잡았구요.


이런현상을 새우낚시와 접목시키면, 새우가 많은곳에서 고수온기 여름철엔 활성도의 변수보다는 공략지점이 중요하다 하겠습니다.

업무중ㅇ..
추천 1

IP : 23e5994500eabb8
글쎄요..새우가 많은곳에서 옥수수 미끼가 좋다라는건 좀 어불성설인거 같은데요...

제가 알고 잇는 몇군데는 새우가 특히 많아서한 낮애도 잠자리 채로 연안 가장자리 쓸면 20여 마리 나 나올정도로 많습니다..

하지만 옥수수 미끼쓰면 그야 말로 말뚝입니다....그러다가 지렁이나 새우쓰면 입질이 바로 오더군요....

상황에 따라 조금씩 틀릴거 같네요
추천 1

IP : fd0c1eb3cfabb4d
허접한강태공님 말씀처럼 상황에 따라 틀리다면 저의 상황도 틀립니다.

이곳 월척에서 수많은 대물잡기 글귀를 보고듣고, 해보고 수긍할것은 내것으로 만드는 편입니다.

한가지 방법이나 노하우를 공개할땐 받아들일 만한 근거를 제시해야 합니다.

근거 제시는 작년과 올해잡은 월척사진과 월척회원으로써 저의 신뢰입니다.

분명 말씀드리지만 단지 몇번의 현상만으로 단정지어 언급하지 않고, 수많은 회원님들이 보는 글임에 신중합니다.

월척에 있는 저의 댓글들을 한번 살펴보시면 그 과정이 조금이나마 언급되어 있습니다.

"대물낚시에 정답은 없다" 라는 말들 합니다. 그만큼 지역과 시기, 저수지의 특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자칫 잘못하면 오히려 잘못된 길로 갈수도 있다 봅니다. 거지에게도 배울것이 있다는 말처럼...

허접한 답글일지라도 여러회원님들의 의견과 고수님들의 노하우를 수긍하여 자기것으로 만드는 것이 관건입니다.

저또한 아직 멀었기에 이곳 대물낚시 질문란에 훔처보고 있지요^^* 강태공님 월척하세요~~~

- 5분!!! 5분만 청소하입시다 -
추천 1

IP : 69498949433b87e
여러월님들 정성어린 답변 감사드립니다^^

새우의 활성도와 붕어의 활성도는 비례한다가 대세군요

우울한파리님의 경우도 있으니 제 나름대로 연구(?) 해봐야겠네요 ㅎㅎㅎ

붕알님의 경험과 실험도 응용해서 옥수수로 도전도 해보겠습니다

관심 보여주신 월님들께 추천 한방씩 올립니다

늘 안출 하시길 바랍니다^^
추천 0

IP : db76d5cbaace14a
질문하고는 상관 없지만 채집만 되면 무조건 새우씁니다..
4000원 번다 생각하고..ㅋㅋ
추천 1

IP : 834a2612b4c1a44
붕어는 반드시 먹이 활동을 한다는것......

물론 안할때도 있겠지만요......

새우의활성도로인한 붕어의 입질 자체가 있다없다라기보다는

붕어의 맘을 모른다고 해야할려나 ㅋㅋㅋ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