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4미터 전까지 낚시를 많이하지요
항상말씀드리는것이지만 수심이 깊다 낮다는 상대적인것이지요...
단순한 예시로 제방수심이 20미터다 3미터는 낮은 수심이지요 반대로 제방수심이 4미터 언더다 깊은수심이지요..
맹탕저수지를 예로 겨울로가는시기 초겨울 어름 얼기전에... 고기는 주로 어디에 위치할까요 적당히 수심깊은곳에서 동면 준비를 하지요..
그러면 입질 확률이 높을려면 20미터 수심의 저수지에서 3미터 수심에 낚시하는것보다 규모가 작고 제방 수심이 4미터 언더인 저수지 제방에서3미터찍는 낚시를 하면 고기를 만날수 있는 확률이 높겠지요 실제로 저는 얼음 얼기전에는 이런 곳들 없나 위성지도 보면서 많이 찾아봅니다.. 붕어만 있다면 제방수심 4미터 언더 맹탕 소류지다 3미터에 박으면 100프로 나오죠..
급심 4.5미터에 생새우 달아놨는데
그야말로 황금색 붕어가 올라온 적이 있습니다.
근데 수심 맞출 때마다 대를 거의 다 접어야 해서 좀 피곤한 낚시였죠.
아가미가 터져서 피가 흐르더라구요
아마 수압 차이 때문인 듯 싶던데
그 뒤로는 그렇게 깊은 수심 낚시는 하지 않습니다
물고기도 물만 있다면 어디든 있다고 생각하시는 게 좋을 거에요.
원투 릴낚시를 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대형 저수지나 댐권에서
수심 수십미터 혹은 백미터가 넘어가는 포인트에 캐스팅을 해서 넣어도, 붕어는 잡힙니다.
초겨울에 4짜 낚은적 있습니다
애들고기는 수심 깊은데서 못놉니다.
항상말씀드리는것이지만 수심이 깊다 낮다는 상대적인것이지요...
단순한 예시로 제방수심이 20미터다 3미터는 낮은 수심이지요 반대로 제방수심이 4미터 언더다 깊은수심이지요..
맹탕저수지를 예로 겨울로가는시기 초겨울 어름 얼기전에... 고기는 주로 어디에 위치할까요 적당히 수심깊은곳에서 동면 준비를 하지요..
그러면 입질 확률이 높을려면 20미터 수심의 저수지에서 3미터 수심에 낚시하는것보다 규모가 작고 제방 수심이 4미터 언더인 저수지 제방에서3미터찍는 낚시를 하면 고기를 만날수 있는 확률이 높겠지요 실제로 저는 얼음 얼기전에는 이런 곳들 없나 위성지도 보면서 많이 찾아봅니다.. 붕어만 있다면 제방수심 4미터 언더 맹탕 소류지다 3미터에 박으면 100프로 나오죠..
저수지 특성에 따라 다르겠죠
다대 편성 하는데 힘들었습니다
예전엔 대형지나 댐에는 항상 릴낚시 하시는 분들이 많았었지요
수심 10m는 족히 넘어 보이는 곳에서도 사이즈 좋은 붕어들이 올라 오는 것을 많이 봤습니다
아무래도 댐의 경우는 수심이 100m는 넘어 가는 곳이 많으니 그곳 고기에게
수심 2~30m는 비교적 얕은 곳이 아닐까요?
실전븅어낚시 님의 말처럼 그곳 환경에 따라 깊고 얕음은 다르다고 볼수 있겠네요
단...풍덩채비나 딸깍채비는 입질 보기가 아주 힘듦...예민한 채비로 공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