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오늘가입 첫 질문입니다.초보대물조사

IP : 77cbdcc8aa33ad5 날짜 : 조회 : 4278 본문+댓글추천 : 0

저는 중층,내림,떡밥바닦낚시만 4년정도하다가 최근에 바닦채비에 미끼를 옥수수, 새우, 참붕어로 선택해서 대물을 노리고 있습니다. 대물꾼이 아니여서 채비는 준비되지 않았지만 나름대로 떡밥찌중에 약간은 부력이 많이 나가는 찌에 맞춤을 묵직하게 해서 하고있습니다. 11일 12일 이틀동안 밤낚시를 했었고... 조과는 6치에서 8치급 33수했고 동자개(빠가사리)가 많은 소류지라 새우와 참붕어에 입수후 카운트 10초를 하면 어김없이 동자개가 찌를 끌고 사라지더군요... 약간은 대물을 노리는 큰채비(바늘, 원줄, 목줄, 미끼)에 동자개 싸이즈는 크더군요. 헌데 제가 노리를 대상어가 아니라 짜증만 날 뿐입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첫번째 질문입니다. 채비를 바꾸고 있습니다. 원줄은 3호(써본것중 가장 질긴것), 목줄은 합사2호, 찌는 고부력(고리추8-9호:8-9.1g) 다루마형 30센치정도길이로 준비해놨습니다. 낚시대는 낚시전문브렌드가 아니라 최근에 유명한 조구사에서 나온것중 휨세가 덜하고 강제진압용경질대입니다. 지금까지 제가 준비한 채비가 대물채비가 될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두번째 질문입니다. 위에서 언급했듯 평일엔 집 가까운 소류지로 낚시를 가는데...빠가사리 개체수가 너무많아 생미끼에는 거의 바로 입질이 들어옵니다. 예신없이 바로 끌고 들어가는 통에 털어질 때까지 기다릴 수도 없고... 그래서 대편성을 8대정도하면 두대는 새우 두대는 참붕어만하고 네대는 옥수수를 하고있습니다. 생미끼에 당연 대물이 붙을거라는 저 나름대로의 확신이 있는데(얼마전 4짜나온저수지라서)동자개의 극성에 머리가 아픕니다. 동자개 극복하는 방법은 없는가요? 그리고 매주콩 어디서 구하고 어떻게 삶아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마지막 질문입니다. 구입해놓은 찌가 다루마형 고부력(고리추9호:9.1g)인데...이 찌에 줄잡이를 사용해도 되는지 궁금하군요... 찌날나리가 없는거라 입수시 걸림없이 안정적인 입수는 해줄것같은데 만약 입질후 수초에 원줄을 감았을 때 강제집행하다가 찌가 상하지않을 까 생각해서 낚시대를 들면 찌가 바로 위로올라올 수 있도록 줄잡이로 줄과 찌를 잡아주면 어떨까하는 저 나름대로의 소견입니다. 그리고 줄잡이의 위치는 찌의 어디에 위치하는게 좋을까요? 그리고 줄잡이가 부력에 방해가 되는건 아닙니까? 최근에 대물낚시에 관심을 두다보니 궁금한점이 많아서 몇자 적었는데 말이 쫌 길어진것 같군요... 아직 궁금한게 많은데 오늘은 여기까지만 올리죠... 그리고 토요일에 또다시 출조합니다. 좋은결과 있으면 곧바로 보고하겠음...!!!!!!! 초보대물조사올림-

1등! IP : 60ddd5f9dd00543
어디사세요 / 저는 평화동사는데..
1.됩니다
2.포인트를 옮겨본다. 콩은 시청올라가는 길에 보면 낚시점하나 있죠.거기 팔아요.(현대운전학원 길건너에)
3.됩니다.몸통하고 찌톱만나는 부분에서 2센치정도 위에.
추천 0

2등! IP : 60ddd5f9dd00543
저는 신음동에살구요...음... 원래 김천이 집이였는데 구미에서 살다가 한달전에 이사왔습니다.
추천 0

3등! IP : 60ddd5f9dd00543
마지막 질문에서...
찌의 캐미 꽂이 부근에서 줄잡이를 원줄과 찌를 잡아 주심이 찌톱 보호에 좋을 것입니다.
하지만, 찌 솓음에서는 찌가 옆으로 기울어져 올라옵니다. 주의하시길...
추천 0

IP : 60ddd5f9dd00543
김천대물님, 안녕하세요?
로체님께서 답을 드린 마지막 질문은 수초구멍치기를 말씀하신 것 아닌가요?
들어뽕이라하는...
그리고 줄잡이라 하면 밤낚시에서 고정채비시 줄을 잡기 위해
케미를 끼우는 프라스틱 고리를 말씀하시는것인가요?
제가 머리가 않 좋아서리...
저도 답을 듣고 싶은데...




추천 0

IP : 60ddd5f9dd00543
조련님,줄잡이는 야간에 줄을 잡기위해 다는것이 맞습니다.
근데 낚시를 하다가 보면 찌가 움직여서 원줄과 찌가 꼬이는 경우가 많죠
찌날나리가 있는 찌는 더심하죠... 그러다 보면 원줄이 상해서 터지는 경우도 많고요...저의 경험입니다. 그래서 생각한건데... 줄잡이를 달면 입질이 와서 당길때
찌고무와 찌와 원줄이 일직선이 될것같고 들면 바로 끌려 나와서 원줄과 찌를 조금이나마 보호할 수 있을것 같아서 올린 질문입니다.
그리고 저는 주간 중층,내림,바닥 떡밥낚시를 해왔기 때문에 줄잡이를 달아본 적이 없어서 줄잡이를 달면 위치는 어디가 좋은지 입질과 부력에 방해가 되는건 아니지 듣고 싶은것입니다. 그리고 저는 수초치기가 아닌점을 알아주시고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추천 0

IP : 60ddd5f9dd00543
김천대물님 안녕하세요
개인적 생각입니다.
첫째 질문은 원줄3호 목줄2호 조금불안합니다.
붕어만 잡아낸다면 몰라도 낚시를 하다 보면 여러가지 상황이 발생됩니다
혹 찌든 갈대밭이나 연밭등 혹은 헛챔질하여 옆에 뒤에 나뭇가지에 줄을 걸었다거나 해서 원줄이 상하거나 끊어지게 된다면 밤낚시에서 여간 번거롭지가 않겠죠
유비 무환입니다.
세번째는 보통 대물낚시를 주로 하시는 분들 보면 줄잡이하는분 거의 본적이
없거든요 구멍치기 일명 (들어뽕) 할때 많이 사용합니다

추천 0

IP : 60ddd5f9dd00543
김천대물님,
이제 이해가 되는군요.
수초사이에 채비를 넣고 기다리다 입질이 오면 손맛 즐기지 마시고 그냥 쳐올리십시요.
떡밥낚시를 하더라도 수초에서는 힘차게 봅아내야 합니다.
아직 저는 수초에 찌를 감아본 적은 없기에 님께서 생각하신 그런 걱정은 해 본 적이 없거든요^^
아무래도 줄잡기를 찌에 단다면 로체님 말씀처럼 찌올림에서 영항을 받을 겁니다.
물론 현장찌 맞춤은 필수겠구요.
당연히 입질과 부력에 영향을 받겠지요.
수초구멍치기( 일명 들어뽕)이 아니라면 찌가 수초에 감겨 부러진다는 것은 그렇게 염려할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붕어가 수초를 감는 것이 더큰 문제 아닐까요?

수초치기에서는 고무벤드나 면사를 많이 사용하는데요.
대물낚시는 토종붕어가 대상이기에 중층이나 내림낚시처럼 그렇게 예민한 찌맞춤은
거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합니다.
줄잡이의 영향정도는 무시해도 될 것 같습니다.
굳이 하신다면 현장에서 찌맞춤을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원하시는 답이 아닌 것 같아 죄송합니다.

추천 0

IP : 60ddd5f9dd00543
줄잡이로 찌를 잡아줄필요가 전혀없는 찌를 사용해 보심이 어떨련지요 f tv 월척특급 진행자 이창수씨가 만든 찌는 전혀 줄잡이로 줄을잡을 필요가 없더군요
추천 0

IP : 60ddd5f9dd00543
안녕하세요 잔소리님?
김천대물님의 궁금증은 찌를 보호하자는 겁니다.
수초에 감기지 않는 방법.
그걸 원하는거지요.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이것이 대물이라 생각되면
대가 부러져됴 좋다고 들고 쳐내십시요.옆에서 같이 해보면 쉽게 알 수 있는데...
추천 0

IP : 60ddd5f9dd00543
야간에 줄을 잡기 위한거 ??? 혹시 유동식으로 캐미다는것 말인가요?
추천 0

IP : 60ddd5f9dd00543
김천대물님 어서 오십시오.
유동채비를 사용 하시면 줄잡이가 필요 없지요.
대를 세워서 채비를 들어 올리면 캐미가 봉돌 바로 위에
오니까 캐미를 보고 잡으면 봉돌이 잡히게 되니까요.

길이가 30cm안쪽인 대물용 찌를 사용 하신다면 찌가 원줄에
엉기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중층 내림낚시에서도 유동채비를 사용하니 유동채비에 대해서는
익숙 하시겠지만 (자료실)-(그림으로 보는 대물낚시)편을 보시면
대물낚시용 유동채비에 대해서 상세히 안내되어 있습니다.
참조 하시고요
항상 안전조행 하시고 좋은밤 낚으십시오.
추천 0

IP : 60ddd5f9dd00543
나도 김천에 사는 50대 낚시꾼 입니다.
4짜가 나온 저수지 가 어디 인지요?
어느 저수지 인지 메일을 보내세요,

email jh8838@yahoo.co.kr(거주지 황금동)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