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오동목과 삼나무 찌맞춤

IP : c658c5506da4872 날짜 : 조회 : 4124 본문+댓글추천 : 0

회원님들 안녕 하세요? 요즘은 추워서 낚시대 정리해 놓고 찌만들기를 하고 있습니다. 오동목과 삼나무(스기목)으로 만들고 있는데 대물 찌맞춤시 오동목찌와 삼나무찌의 찌맞춤을 다르게 하는 건가요? (예를 들면 삼나무는 가볍게, 오동목은 무겁게...????) 언젠가 찌의매력(죄송합니다......)님께서 삼나무와 오동목찌의 찌맞춤인가 찌올림이 다르다고 하신것을 본적이 있 는데 혹 어떻게 찌맞춤을 해야하며 찌올림은 또 어떻게 다른지 아시는 회원님들 계시면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혹 찌의매력님께서 이 글을 보신다면 이 겨울 낚시도 못가고 찌나 깍고 있는 초보를 불쌍히 여기시어 한수 가르쳐 주실수는 없으신지....) 회원님들의 다양한 지식을 기대하며 줄입니다. 늘 평안하시길......

1등! IP : 3eb76dade29b617
일반적으로 삼나무 찌맞춤은 찌에 봉돌만 달고 수조에서 아주 천천히 내려갈 정도로 맞추시면 되고..
오동나무는 삼나무보다는 다소 빠르게 내려갈 정도로 맞추시면 됩니다.

그 이유는 오동나무에 비해 삼나무가 비중이 무겁기 때문에 그만큼 좀 더 예민하게 맞춘다고 알고있습니다.

또..그렇기 때문에 삼나무가 오동나무에 비해 찌놀음이 점잖다고들 합니다만..
제 경우는 별반차이를 느끼지 못하겠더군요..
찌맞춤도 둘다 적당히 천천히 내려가서 봉돌이 바닥에 살짝 닿을 정도로 똑같이 해주고있습니다.
추천 1

2등! IP : 56326e545a9bfae
극히 미미한 차이를 너무 확대해서 생각하신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오동과 스기의 찌맞춤을 다르게 하거나 또는 같은 찌맞춤을 하였어도 찌올림이 다르게 나타난다는걸

아실정도면 상당한 실력을 지닌분일 겁니다

고부력찌와 무거운봉돌에 그런 예민함을 추구하실 필요는 없으실듯 하구요

재질이 다르고 비중이 다르기에 분명히 차이는 있을테지만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될겁니다

좋은 찌 많이 만드세요^^
추천 1

3등! IP : 15331c7ab078a43
별반차이가 없을듯싶습니다..
행낚에보시면 찌맞춤방법이 있긴하던데요..^^
추천 1

IP : 5ea4e4d4a7f08e4
스기 : 수조에서 천천히 내려가 바닥에 안착~ 혹은 바닥을 한번 찍고 올라오게

오동 : 수조 바닥에서 통통 2번정도 티기 정도

개인적인 맞춤입니다... ^^*

위 조사님들의 말씀처럼 재질의 차이가 있지에 ~~~

물론 개인 취향 이겠지요~~
추천 1

IP : 869a84006de069b
오동목- 수조에 넣었을때 빠르게 입수하여 바닥을 두번정도 튕기게 맞추셔야 점잖고 멋진 찌올림을 보실수있습니다.
스기목- 수조에 천천히 아주천천히 가라않게 맞추시면 점잖고 멋진 찌올림을 보실수있습니다.
행낚에 물사랑의 낚시교실 가보시면 동영상으로 자세한 찌맞춤법을 보실수있습니다..
추천 1

IP : 8c1bef88d05afb3
붕어낚시의 매력은 첫째 찌맛에 있습니다.

삼나무와 오동나무의 찌맛춤을 달리하는것은

좀더 중후하고 멋진 찌올림을 보기 위해서 입니다.

찌맞춤은 윗분들께서 정확히 설명을 해주었네요.

안출하시고 좋은 찌맛보세요...
추천 2

IP : c658c5506da4872
아라미스님, 발광님, sm님, 청풍대물님, ehfqnd님, 토종대박님 답글 감사합니다.

고민이 해결된것 같네요.

늘 평안하시길 빕니다.
추천 0

IP : 3c353c46544169b
역시 고수분들 많으시군요
저는 이런 차이도 지금 알았습니다
잘보고 갑니다
찌맞춤 함 해봐야죠 ㅎㅎ
수고하세요
추천 1

IP : e2573d24ff8b061
청풍대물님. Ehfqnd 님 토종대박님, 께서들 정확하게 말씀 하셨습니다.
실제 현장에서 (저는 주로 10대) 하루는 스기목. 다른 날은 오동목이렀게 해서 5대는 무겁게 5대는 가볍게 맞쳐서 실험를 거의 1년간 해 보았는데.
위에 3분들의 말씀이 맞다고 저의 개인 적인 생각을 드림니다.

낚시의맛은 뭐니 뭐니해도 찌맛이 아닌가 생각 하고요. (우리가 바라보는 것은 찌지 물속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지 않습니까)
피곤한 밤낚시에 케미 불빛이 쭉 올라온다면, 그 맛은 말로 표현이 안될겁니다.

그리고 찌가 올라오기 위해서는 정말 필요 한것은 찌 맞춤입니다.
무거운 찌 맛춤도 붕어는 찌를 다올린다, 맞는 말입니다.
단 예민한 (즉 날씨나 기온이나 등등 ) 이러한 상황에서 과연 찌맛을 볼수 있겠느냐? 하는 겁니다.
얼마전에 같은 장소에 대물 하시는 3분 하고 같이 낚시를 했는데 (미끼는 독같이 새우) 저는 새우낚시를 즐겨 합니다
새우도 집에서 기르고 있는데, 4달 되었는데 아직도 싱싱 합니다.

3사람의 총 낚시대가 30대 였습니다.
찌는 스기목과 오동이였습니다
그분들은 무겁게 나는 바늘달고 케미달고 수평으로 맞춘 다음 좁쌀봉돌B를 물렸습니다.
대물낚시에서는 정말 가볍게 맞춘 겁니다.

그런데 그날 저만 초저녁 부터 아침까지 시원한 입질 많이 받았습니다.

봉돌이 올라오면 찌는 상승 합니다.
그런데 붕어들이 바닥에서 새우 한마리 놓고, 이리뜯고 저리뜨고 해도 봉돌을 올리지 않는 다면 , 그날 밤은 꽝.....
봉돌을 올리기 위해서는 찌 맞춤........ 중요 합니다.

그 이유.가볍게 맞추면 수초를 파고 들어 가지 못한다는 말들을 대물 전문가 들도 얘기를 하는데, 무식이 탈로 나는 말입니다.
왜 대물에서는 7호 8호 봉돌을 쓰느냐?
수추파고 들어 가게 하기 위해서 큰 봉돌을 사용하고 거기에 맞는 찌를 만들게 되는 겁니다.

예를 들어 봅시다
찌를 영점으로 맞쳐다고 했을때, 봉돌이 바닥에 못들어 갑니까?
봉돌은 찌가 잡고 있을때 뜨지만, 찌가 잡고 있지 않을때에는 영점이 아니라 영점 할아버지로 맞쳤어도 봉당 하고 바닥까지 들어 가게 되어 있습니다. (7-8호)의 무게 때문에. 제가 글을 올렸을때 어느분이 댓글을 달았는데
가벼우면 봉돌이 바닥에 안착이 되지 않기 때문에 가볍게 맞추면 않된다 라고 댓글 달았는데.
수평에 맞춘찌를 1마디 수평위로 올라오게 하면 봉돌은 바다에 닿고 있는 상태입니다
쉽게 생각 하시면 빨리 이해가 될겁니다.
가볍게 맞춘찌 (영점) 지를 빼고 던지면 어떻게 됩니다.
퐁당하고 들어 가겠지요?
7-8호 봉돌이기 때문에. 찌는 그무게에 달아 주는 것 뿐입니다.

너무 긴것 같아 다음에 자세히 글 올려 드릴까 합니다.

죄송하게 생각 하고요.
나이가 60 가까이 되다보니, 오래 책상에 앉아 있는것도 힘이 드네요.

다음에 봐요....
회원님들 감기 조심 하세요.

감사합니다. 그리고 오타 난것은 이해해 주세요....
추천 2

IP : 1fdea245ead1338
대물낚시를 고수 하신다면 찌맞춤에 대한 고민은 과감히 접으시고요
하도 썰이 분분하니 한만씀만 드린다면 그냥 영점 찌맞춤하시면 됩니다.
거기에 원줄 유동찌고무 바늘 무게하면 적당히 무거운 찌맞춤이 됩니다.
가벼운 찌맞춤에 대한 그릇된 상식은 위에서 찌의매력님께서 잘 지적해 주셨습니다.
주로 수초언저리에서 행하여지다보니 가능하면 고부력찌가 유용하고요.
삼나무와 오동의 차이점은 제가 말씀드리지 않아도 잘 아실테니 말씀드리지 않겠습니다.
찌올림의 차이가 있다는것도 찌맞춤에 따라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목재의 강도에서는 엄청 차이가 나지만요.
전 가공도 용이하고 부력도 좋은 오동에 한점더 주고싶네요.
게다가 스기는 원산지가 쪽발이라서.......
추천 1

IP : c658c5506da4872
열네치님 글 감사합니다.

하긴 하도 여러가지 의견들이 많으게 대물낚시인것 같습니다.

제가 직접 경험하며 배우긴 너무 시간이 오래 걸릴것 같아서 고수분들 의견을 참고 할려니 이것 또한 쉽지가 않네요.

저도 오동목이 맘에 드는데 삼나무는 깍을때 그 향기때문에 손이 가네요.

아무쪼록 늘 건강하시고 다가오는 새해에는 꼭 열네치 붕어 손아귀에 쥐시길 빕니다.
추천 1

IP : 3ea9a318eb6f700
언젠가 낚시했을때 옆에분은 추울땐 예민하게 맞춰야 한다며 예민하게 찌를 맞추셨다며
저더러 무겁게 맞추면 입질 못받는다고 핀잔을 주셨던 적이 있지요
.......
그날 저만 입질받고 그분은 입질 못받으셨지요
정답은 없습니다.
무겁든 가볍든 봉돌은 바닥에 닿아야하고 붕어는 그 봉돌을 올려야 케미는 솟아오릅니다.
이창수님은 이시기에는 맓풀이 자라므로 겨울인데도 오히려 무겁게 맞추신다고 하네요
몇십년을 낚시한 그분이
허튼소리 하지는 않을꺼 같습니다.
추천 1

IP : baf5e5a37155310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찌에 대하여 많은것을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추천 1

IP : 9584e5b811d5e78
위에 찌의매력님의 글을 잘 보았는데요.
맞는말씀이긴하나 봉돌이 내려가는 동안에는 찌가 누워있어서 가벼운 봉돌도 채비를 내린다고 하셨는데 찌몸통이 잠기고난후..
즉 봉톨이 바닥에 찌톱정도의 거리를 남기고 바닥에 있는 수초나 이물질에 걸린다면 영점맞춤으로는 내려가지 않을듯합니다 .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