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드리고 싶은 말씀은 우선 나름의 원칙을 갖고 계시라는 겁니다.
원칙이란건 이렇습니다.
1. 무조건 강하게 하겠다 --- 이런 경우는 목줄을 같은 호수나 너 높여도 상관없겠지요. 어디에 걸리면 곤란하겠지만......\
2. 목줄만 날리겠다 ---------- 이런 경우는 실전처럼 묶어서 당겨보십시요. 목줄이 끊어지게 호수를 조절하시면 됩니다. 합사라도
재질에따라 인장강도가 다 다릅니다.
저도 예전에 이와 같은 생각을 많이 했습니다. 대부분 1~2호수 낮게 사용하는데,,,,
여기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간과하는 사실.. 그것이 뭐냐면 말이죠,
바로 낚싯줄의 인장력입니다. 저가의 줄에는 광고화면만 요란하지 정작 제품의 최대 인장력(lb)조차도 표기가 안 된 제품이 많습니다. 본사에 전화해도 표시가 안되있어서 자기들도 모른다고 합디다.ㅋㅋ
다행스럽게도 합사의 대부분은 인장력이 표시되어 있는데 그것을 잘 살펴보면 아마 놀라실 것입니다. 카본 5호줄보다 합사 1호가 인장력이 큰 경우도 허다합니다. 직접 낚시점에 가셔서 확인해 보시면 됩니다. 그러면 결론은 딱 나오지요.
목줄로 보통 합사를 사용하는데 원줄을 보호하고자 합사의 호수를 목줄보다 1~2호를 낮게 쓰는 습관에 앞서,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원줄과 목줄(합사)의 인장력을 비교해봐야 합니다. 그와 같은 과정 없이는 무의미합니다.
저 역시 이물감이 적은 목줄로 합사를 쓰려고 그에 맞는 원줄을 찾다보니 합사1.5호에 원줄 4 카본사가 인장력 기준으로 해서 거의 맞아 들어갔습니다.(각 회사 제품 마다 모두 다르니 확인해보세요) 그러나 너무 두꺼운 원줄을 사용하기 싫어 결국, 합사의 호수를 아주 얇은 것으로 해서 카본원줄 3호를 사용했으나 너무 얇은 합사는 미끼를 여러번 갈고, 채비의 정렬과 회수 및 보관을 하는 과정에서 '튼다고 해야할까요?', 꼭 옷을 오래 입다 보면 보푸라기가 이는 것처럼 되어서 만족스럽지 못하더군요. 물론, 그와 같은 채비가 현재 낚시 장비에 그대로 셋팅돼 있지만 불만스럽습니다. 그래서 제가 내린 결론은 원줄은 카본사로 하고, 목줄은 같은 회사 제품의 모노라인으로 할까 합니다. 물론 인장력을 비교해서요.
낚싯대를 보호하고, 봉돌 윗부분의 채비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는 우선, 원줄의 강도가 낚싯대의 강도보다 작아야 하며, 당연히 목줄의 인장강도는 원줄보다 작아야 합니다. 현재 국내 및 해외에서 생산되는 모든 낚시대의 강도는 수치상으로 '얼마다'라고는 나와있지 않은것 같습니다. 시행착오를 거쳐야 원줄과 낚시대의 강도비를 대략 유추할 수 있겠지요.
그래서, 현재 상황에서 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원줄을 너무 강한것으로 쓰지 말아야 하며 목줄 역시 원줄의 인장강도보다는 작아야 합니다. 카본 원줄과 합사 목줄을 조합해서 사용하시려거든 꼭 최대인장강도를 비교해 보셔서 선택하셨음합니다.
아마, 5호 카본원줄과 1호이하의 합사 목줄의 거의 비슷한 인장강도를 보일것입니다. 그래서, 어쩌면 카본원줄과 모노라인 목줄의 조합이 이상적이지 않을까 싶네요. 아니면, 합사 원줄과 합사 목줄도 될 수 있겠지만 낚싯대가 버텨내지를 못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추신: 낚싯대의 인장강도와 카본 원줄의 인장강도라고 했으나, 낚싯대의 경우 휨인장 강도가 낚싯줄의 인장강도에 저항한다고 생각하시면 될듯합니다. 여하튼, 낚싯대가 원줄의 인장강도를 버텨내야 한다는 개념으로 보시면 되겠으며 낚싯대, 원줄, 찌, 봉돌 등의 채비 손실의 방지 차원에서 제 생각을 말씀드린 것입니다.
보통 합사줄 쓰신다면 원줄보다 한호수 아래를 사용합니다. 카본5호라면 합사4호줄이면 무난할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 카본4호줄에 합사 3호 쓰는데..요즘은 카본으로도 목줄 많이들 쓰십니다.
원줄5호면 합사3호 이렇게 씁니다 예전에 경험상 한호수 낮은 목줄썻다가 원줄이 터저버리는 일이 종종있었습니다
2호수낮은걸로 교체후 해결되었습니다
튼튼함을 우선으로 합니다.
5호원줄이라면.. 합사 5호.6호 사용도 무방합니다.
그래서 전 자주 갈아 주기가 귀찮아서
원줄 5호에 합사 5호 사용합니다.
원줄보다 약해야 목줄만 터지고 값나가는 낚시대 초번대들과 찌가 살죠!
그래서 원줄보다 한단계나 두단계빝의것을 사용하면 좋습니다!
그래도 개인적으로는 원줄보다는 합사 목줄이 여유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한호수 밑에꺼 사용하다 보니 원줄이 터져서 채비 손실이 있습니다...
대물낚시상 수초나 수몰나무등등에 걸려서 한호수낮게 사용한다면 분명 채비손실있습니다.
지금 저는 원줄4호에 목줄 3호사용하나 채비손실있었습니다.
원줄5호에는 합사3호 원줄4호에는 합사 2호정도가 무난해 보입니다.....
목줄 튼튼하다고 해서 좋은게 아니니깐요^^
제가 드리고 싶은 말씀은 우선 나름의 원칙을 갖고 계시라는 겁니다.
원칙이란건 이렇습니다.
1. 무조건 강하게 하겠다 --- 이런 경우는 목줄을 같은 호수나 너 높여도 상관없겠지요. 어디에 걸리면 곤란하겠지만......\
2. 목줄만 날리겠다 ---------- 이런 경우는 실전처럼 묶어서 당겨보십시요. 목줄이 끊어지게 호수를 조절하시면 됩니다. 합사라도
재질에따라 인장강도가 다 다릅니다.
즐기는 낚시 되십시요.
원줄:카본 5호 / 목줄:카본4호
원줄:카본5호 / 목줄: 합사3호 사용합니다
잘,안잽펴서그렇치 걸리면 다 나옵니다 잉어86 / 월 38 꼼짜마 입니다~ㅋㅋ
참고로 바늘 감성돔(다...) 4호 및 5호 사용합니다
안출하세요~
원줄5호 에 바란스는 케브라 합사 2호와 맞을것입니다.
그렇다고 합사2호로 대물낚시 체비를 하실분은 많지 않을 것입니다...왠 냐면 목줄꼬임 현상으로 체비에 바닦 안착에 불리하다
이말씀을 드립니다...
어차피 믿걸림으로 2호 합사가 끊어질 정도로 당겼다면요...원줄또한 생명을 다 한줄입니다 교체 대상이다 이말 이죠...
저 개인적으론 원줄과 목줄에 비률을 완전히 무시 합니다...원줄5~6호 사용에 케브라 합사 6호를 사용합니다...
꼬임이 들 하고 수초지역에 체비 안착에 유리하고 믿걸림에 걸리면 낚시대 접어서 원줄 바짝 댕겨서 원줄에 타올감고 지긋이
당기면 그의 봉돌위 부분이 그의 터집니다...당겨내어 케브라 2합사 터져 원줄을 교체하나 이나 저나 원줄은 교체를 해야
합니다...대물낚시에 체비에 방법은 많습니다...여러가지를 경험 하시고 님에게 맞는 체비를 하십시요...
원줄은 4m이고 봉돌아래 목줄은 평균 10cm입니다
챔질시
1차적으로 대에서
2차 원줄에서.........
쇠막대기에 원줄을 매고 챔질하면 어찌될까요?
원줄보다 목줄이 터지는 이유가 뭐알까요?
원줄은 카본이고 대에서 탄성에의하여 ,원줄자체에서 ,그터짐을 인장력으로 잡아준다고 봅니다
챔질시 가장 하중(힘)이 많이 작용하는곳은 맨 끝단이며 ,터지거나 부러지는곳도 그곳 부터일겁니다
저는 5호줄에 5호목줄 씀니다
당현이 목줄이 원줄보다 몇배더 강한 장력을 같습니다
진짜로 그럴까요?
원줄은 봉돌로 부터 물에 떠있습니다
목줄은 항상 바닥에 있습니다
합사인 목줄은 낚시후에도 물에 얼마간은 물에 불어있고
바닥여건에 따라 쓸리고 깍임이 반복됩니다
상처를입고 강도는 상쇄될수박에요
봉돌(납) 이후 목줄입니다
아주작은 쇄막대기에 줄인 달린격입니다(극 표현)
그후 는 각자 생각하시고요
수초등 악조건을 끼고 대물,4짜를 잡으려 대어낚시를 하는데
목줄이 약한것은 맹탕에서 표준찌맟춤에 낚시에 맟는 이야기입니다
원줄 1.5호에 1호 이하 목줄로도 4짜 할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어낚시의 낚시 패턴에는 맞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바늘이 뻣거나 목줄이 끊어 져야 원줄이 상하지 않는다....글쌔요
대가 뿌러지는 한이 있어도 채비의 부실로 4짜,대어가 발앞에서 떨어지고
원줄,목줄이 나가고,바늘이 펴진다면
뭐하러 수초등의 악조건을 극복하고 10이상을 피고 대어낚시를 합니까?
5대 이하 2호 원줄이하로 가벼운 낚시를해도 4짜,5짜 가능한데 말입니다
장르에 맞는체비 생각해보시길 바랍니다
목줄은 원줄에비해 손상이 쉽고
인장성을 습수할수 있는 능력이 원줄에 비해 떨어지며
힘을 가장많이 받는곳이며
손상이 제일먼저 발생하는곳 입니다
그많큼 튼튼해야 된다고 생각 합니다
막걸리 한잔하고 글을 달고가니 두서없고
그건 아니다 하여도 이해하여주시길 바랍니다
제가 원래 상처입기 싫어 댓글 잘 안달거든요
아녕히 주무세요
이런 우문에 많은 현답과 관심 보여주신 조사님 올해도 안출도 하시고 건강하십시요...
1.5호라도 아마도 원줄보다 더 강할거같은 그런 느낌이던데요//(원줄 5호보다 실제로 강함)
합사라면 2호수 낮은거~ 원줄 5호 목줄 3호~
모노 또는 카본이라면 1호수 낮은거~ 원줄 5호 목줄4호~
여기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간과하는 사실.. 그것이 뭐냐면 말이죠,
바로 낚싯줄의 인장력입니다. 저가의 줄에는 광고화면만 요란하지 정작 제품의 최대 인장력(lb)조차도 표기가 안 된 제품이 많습니다. 본사에 전화해도 표시가 안되있어서 자기들도 모른다고 합디다.ㅋㅋ
다행스럽게도 합사의 대부분은 인장력이 표시되어 있는데 그것을 잘 살펴보면 아마 놀라실 것입니다. 카본 5호줄보다 합사 1호가 인장력이 큰 경우도 허다합니다. 직접 낚시점에 가셔서 확인해 보시면 됩니다. 그러면 결론은 딱 나오지요.
목줄로 보통 합사를 사용하는데 원줄을 보호하고자 합사의 호수를 목줄보다 1~2호를 낮게 쓰는 습관에 앞서,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원줄과 목줄(합사)의 인장력을 비교해봐야 합니다. 그와 같은 과정 없이는 무의미합니다.
저 역시 이물감이 적은 목줄로 합사를 쓰려고 그에 맞는 원줄을 찾다보니 합사1.5호에 원줄 4 카본사가 인장력 기준으로 해서 거의 맞아 들어갔습니다.(각 회사 제품 마다 모두 다르니 확인해보세요) 그러나 너무 두꺼운 원줄을 사용하기 싫어 결국, 합사의 호수를 아주 얇은 것으로 해서 카본원줄 3호를 사용했으나 너무 얇은 합사는 미끼를 여러번 갈고, 채비의 정렬과 회수 및 보관을 하는 과정에서 '튼다고 해야할까요?', 꼭 옷을 오래 입다 보면 보푸라기가 이는 것처럼 되어서 만족스럽지 못하더군요. 물론, 그와 같은 채비가 현재 낚시 장비에 그대로 셋팅돼 있지만 불만스럽습니다. 그래서 제가 내린 결론은 원줄은 카본사로 하고, 목줄은 같은 회사 제품의 모노라인으로 할까 합니다. 물론 인장력을 비교해서요.
낚싯대를 보호하고, 봉돌 윗부분의 채비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는 우선, 원줄의 강도가 낚싯대의 강도보다 작아야 하며, 당연히 목줄의 인장강도는 원줄보다 작아야 합니다. 현재 국내 및 해외에서 생산되는 모든 낚시대의 강도는 수치상으로 '얼마다'라고는 나와있지 않은것 같습니다. 시행착오를 거쳐야 원줄과 낚시대의 강도비를 대략 유추할 수 있겠지요.
그래서, 현재 상황에서 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원줄을 너무 강한것으로 쓰지 말아야 하며 목줄 역시 원줄의 인장강도보다는 작아야 합니다. 카본 원줄과 합사 목줄을 조합해서 사용하시려거든 꼭 최대인장강도를 비교해 보셔서 선택하셨음합니다.
아마, 5호 카본원줄과 1호이하의 합사 목줄의 거의 비슷한 인장강도를 보일것입니다. 그래서, 어쩌면 카본원줄과 모노라인 목줄의 조합이 이상적이지 않을까 싶네요. 아니면, 합사 원줄과 합사 목줄도 될 수 있겠지만 낚싯대가 버텨내지를 못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추신: 낚싯대의 인장강도와 카본 원줄의 인장강도라고 했으나, 낚싯대의 경우 휨인장 강도가 낚싯줄의 인장강도에 저항한다고 생각하시면 될듯합니다. 여하튼, 낚싯대가 원줄의 인장강도를 버텨내야 한다는 개념으로 보시면 되겠으며 낚싯대, 원줄, 찌, 봉돌 등의 채비 손실의 방지 차원에서 제 생각을 말씀드린 것입니다.
뭐....암튼...전 3호 사용합니다..
원줄5호면 케브라 3호 6,7호면 4호 ...
단 메이커에 따라 강도가 다르니 검증된 제품을 추천합니다
즐낙과 안출을 빕니다
원줄 목줄 떠진적 한번도 없습니다.
저는 대물을 쫓지만 오리지날은 아닌가봅니다 .
모노줄을 쓰거던요..
모노4호에 2호합사씁니다.
3호줄에 1.5호 쓸때도 있고요..
이번에 다시 카본으로 갈까 하는데 개인적으론 원줄 모노 3호에 목줄1.5호(스파이더존2)가 이상적이대요
물론 육초가 없는곳이지만 ㅋ
원줄 6,7호면 4호~5호
원줄 카본4호에 목줄 합사2호
원줄 합사3호에 목줄 합사2호
저는 이렇게 씁니다.
현재는 원줄도 목줄도 합사를 씁니다 ㅋ
찌가 비싼거면 목줄을 원줄대비 2호수 낮추면 좋고
스페어가 많으면 비슷하게 가도 좋고요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