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조사님들께서는 다음중 원줄과 봉돌 연결을 어떻게 하시는지, 그리고 그 이유는 뭔지 궁금합니다.
1. 직결(원줄+봉돌)
2. 양핀도래(원줄+양핀도래+봉돌)
3. 일방도래
4. 맨도래
5. 기타
저는 2번으로 하는데 왠지 입질표현을 잘 받지 못받는 듯해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사님들께서는 다음중 원줄과 봉돌 연결을 어떻게 하시는지, 그리고 그 이유는 뭔지 궁금합니다.
1. 직결(원줄+봉돌)
2. 양핀도래(원줄+양핀도래+봉돌)
3. 일방도래
4. 맨도래
5. 기타
저는 2번으로 하는데 왠지 입질표현을 잘 받지 못받는 듯해서....
감사합니다~~^^
어차피 부력에 의해 원줄, 도래, 봉돌, 목줄 순으로 일직선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입질 받는데는 아무 문제 없습니다.
원줄과 봉돌 직결에 비하면 좀 복잡하지만
줄꼬임 없고, 채비 교환 및 금속오링 가감으로 부력조절이 용이하여
10년 전부터 그렇게 쓰고 있는데 잡을 고기는 다 잡습니다.
연결 고리의 연속인 사슬채비에 비하면 오히려 간결한 편이죠.
그 정도는
사슬도 쓰는데
도래하나땜에 입질못받을리가,..
입질 감도가 떨어진다면 직결이나 8자 매듭으로 민감도를 높이거나,
밑걸림이 심한 곳에서는 맨도래나 외통채비를 활용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특히 양핀도래는 편의성은 뛰어나지만 미세한 움직임 전달이 약해질 수 있으니,
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조합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항상 안전하고 즐거운 낚시 되세요~
저는,
*원줄+스냅도래+원봉돌(그린추) 이렇게 사용하니, 현장에서 봉돌교체가 편리해지구요,
*바늘은, 스냅도래에 목줄, 바늘 연결해서 사용하니, 이 또한 현장에서 바늘 교체가 편리해졌습니다.
낚시하면서 현장에서 채비 교체의 불편함을, 몇년 전 부터 스냅도래로 해소하고 있습니다.
물론, 스냅도래는 같은 규격으로, 100개짜리 몇 상자 구매해서 사용하니 여러가지도 편리합니다^^
여기서도 의견은 다양하네요^^
입질 전달 측면에서는 직결이 도래를 사용한 매듭법 보다 미세하겠지만 좀 더 낫다고 해도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