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조사님들께서는 다음중 원줄과 봉돌 연결을 어떻게 하시는지, 그리고 그 이유는 뭔지 궁금합니다.
1. 직결(원줄+봉돌)
2. 양핀도래(원줄+양핀도래+봉돌)
3. 일방도래
4. 맨도래
5. 기타
저는 2번으로 하는데 왠지 입질표현을 잘 받지 못받는 듯해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사님들께서는 다음중 원줄과 봉돌 연결을 어떻게 하시는지, 그리고 그 이유는 뭔지 궁금합니다.
1. 직결(원줄+봉돌)
2. 양핀도래(원줄+양핀도래+봉돌)
3. 일방도래
4. 맨도래
5. 기타
저는 2번으로 하는데 왠지 입질표현을 잘 받지 못받는 듯해서....
감사합니다~~^^
어차피 부력에 의해 원줄, 도래, 봉돌, 목줄 순으로 일직선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입질 받는데는 아무 문제 없습니다.
원줄과 봉돌 직결에 비하면 좀 복잡하지만
줄꼬임 없고, 채비 교환 및 금속오링 가감으로 부력조절이 용이하여
10년 전부터 그렇게 쓰고 있는데 잡을 고기는 다 잡습니다.
연결 고리의 연속인 사슬채비에 비하면 오히려 간결한 편이죠.
그 정도는
사슬도 쓰는데
도래하나땜에 입질못받을리가,..
입질 감도가 떨어진다면 직결이나 8자 매듭으로 민감도를 높이거나,
밑걸림이 심한 곳에서는 맨도래나 외통채비를 활용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특히 양핀도래는 편의성은 뛰어나지만 미세한 움직임 전달이 약해질 수 있으니,
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조합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항상 안전하고 즐거운 낚시 되세요~
저는,
*원줄+스냅도래+원봉돌(그린추) 이렇게 사용하니, 현장에서 봉돌교체가 편리해지구요,
*바늘은, 스냅도래에 목줄, 바늘 연결해서 사용하니, 이 또한 현장에서 바늘 교체가 편리해졌습니다.
낚시하면서 현장에서 채비 교체의 불편함을, 몇년 전 부터 스냅도래로 해소하고 있습니다.
물론, 스냅도래는 같은 규격으로, 100개짜리 몇 상자 구매해서 사용하니 여러가지도 편리합니다^^
여기서도 의견은 다양하네요^^
입질 전달 측면에서는 직결이 도래를 사용한 매듭법 보다 미세하겠지만 좀 더 낫다고 해도 될까요??
간단하고 무매듭이라 매듭부분이 터진적은 없었습니다.
전 초릿실부터-바늘까지 주렁주렁 달린 걸 싫어 합니다.
뭐 사람마다 본인 취향이지만 제 기준으로 봤을 땐 지저분해 보일 뿐입니다.
그래서 저는 핀만 연결합니다.
어차피 봉돌이 회전이 되니까 문제 없습니다.
채비 복잡하고,
봉돌은 회전봉돌을 쓰면 꼬임은 거의 없지요.
그냥 쓰기 편해서 사용합니다.
입질은 다 마찬가지인 것 같아요.
8자매듭으로 고리 만들어서
무매듭으로 연결합니다
딱히 이유는 간편하기도 하고 봉돌 교환도 가능하고
두줄이라 강성도 나오고 입니다
핀도래 안사도 되고 ㅎㅎ
가끔 도래를 쓸때도 있기는 한데
무게 증가용 오링대신 쓰는 이유이고
입질 차이는 없었습니다
회전도래를 저는 안쓰는 이유는 제조사마다 다르긴한데.. 어떤 제품 사용한 이후로 도래연결부가 좀 쓰다가 삭으면 힘없이 빠지는 경우를 격고나서는 그냥 안씁니다..핀도래쓰는이유는 아주저수심 30~ 40센티 저수심용 단찌 사용목적으로 부력 마춰놧다가 바로 교환하여 쓰기위한 목적입니다.
을 써서 바닥상황에 따라서 풍덩 or 0점 으로
쓰고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