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월님들의 가장 이상적인 찌올림 봉돌호수는?

IP : 888d6715eaac23c 날짜 : 조회 : 4118 본문+댓글추천 : 0

월님들 이제는 바야흐로 내년씨즌을 준비할 시기가 온것같습니다. 오늘 개인 납회준비겸 내년씨즌 준비를 하다보니 바늘도 새로 묶고 찌셋팅도 새로이 하다가 문득 궁금한게 한가지 생겼습니다. 제 개인적인 볼때는 가장 이상적인 찌올림은 해동고리추기준으로 7.5~8호사이로 멋진 찌올림을 많이 보았습니다. 대물찌기준으로 )영점찌맞춤5대 /마이너스찌맞춤5대 /한마디 찌맞춤5대/ 대충찌맞춤 5대/예민한 찌맞춤4대 이렇게 찌맞춤을 셋팅하다보니 월님들께서는 출조시 몇호봉돌에서 가장 이상적인 찌올림을 보셧는지가 갑자기 궁금해졌습니다. 같은 고리봉돌이라도 옛날 생산되었던 고리봉돌과 지금 나오고 있는 고리동볼 무게가 상당히 틀리다는것을 오 늘 발견했습니다. 월님들의 가장 이상적인 찌올림의 보셧던 고리봉돌은 몇호인지요 ?

1등! IP : cebd9b33f108920
봉돌의 호수는 의미가 없습니다.
제조사마다 모두 무게가 틀리기 때문이죠. 그람으로 확인하시는게 맞을겁니다.
보통 고리봉돌 9호가 8g정도 나갑니다.
개인적으로 환상의 찌올림은 떡밥용 형태의 긴 찌톱을 가진찌( 총길이 60cm / 부력 7g정도)로 계곡지 수심 3미터권에서
새우 미끼에 받은 입질이었습니다.
밤낚시였으니까 육안으론 1미터가량 찌가 솟는것 같더군요!
찌올림의 멋만 따진다면 고부력 단찌보다는 역시 장찌였습니다.
추천 0

2등! IP : 903ec1a733511ba
특별히 봉돌(납추)로 인한 찌올림에 대한 차이는 못느꼈습니다,

다만, 수심 깊은(4m 이상)의 깊은 수심에서 찌가 올때는 숨이 멎는 것 같은 경험은 많이 했습니다.

하다못해 한마디 한마디 찌 올라오는 것이 너무 더디어 깜박 존적도 있습니다.(엄청 졸린 상태였음)
추천 0

3등! IP : 889b5073a887007
봉돌은 별로 찌올림에 영향은 없으나...
7~8호 봉돌먹는 찌를 가장 좋아라 합니다^^
저한테는 그 정도가 딱인듯 합니다^^
추천 0

IP : 50d883c39141f7b
동절기엔 채비를 조금 부드럽게사용하지만
대물하는 저로서는 1년내내 5호원줄사용합니다
찌맟춤과 바늘에서 약간 조정하는것 외에는 별로..
안출하세요
추천 0

IP : 946845026cbfa7b
봉돌무게와 찌올림이 관계가 있나요???
없습니다.
너무 예민하게 부력을 맞추지만 않는다면 관계없습니다.
추천 0

IP : 416442256a05641
전 고리봉돌 7호 사용합니다
하지만 이번 겨울에 조금더 작은 6호 찌를 만들예정입니다
약한부력찌에 무거운 부력맞춤을 한번 해볼 생각중입니다
추천 0

IP : a9e0066e04f466a
봉돌의 호수에는 관계가없다 사료됨니다 어떤찌든지 현장찌마춤하시면 최고라생각합니다....바늘.케미빼고 영점맞춤이요 즐겨쓰는 봉돌호수는 7~8호정도 전 장대위주 낚시를 합니다..^^*
추천 0

IP : bb366f6b8f403fc
주로사용하는 찌의 봉돌은 6~7호 사이인데 어떤 찌마춤이던 붕어 맘인것 같더라고요

허리급도 지저분하게 깔짝깔짝 올려주는놈이 있는가면 6치짜리가 스믈스믈 대물 입질 해주는놈도 있고

낚시를 하면 할수록 찌마춤 참 알다가도 모르겠네요

영점, 마이너스, 플러스, 찌 소재에 따른 찌마춤, 찌고무 및 부자제를 달고 하는 찌마춤등

여러번 시도해봤지만 이제는 그냥 똑같은 찌로 통일해서 똑같은 찌마춤을 해놨네요

다대편성시 다른찌 다른찌마춤을 해보니까 챔질에 있어서 조금 불편함이 없지 않아 있더라고요..

시즌 잘 마무리하세요 회원님들 ^^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