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사용은 해보지 못했지만
수초구멍에 정확한 투척을 위해 조우들과 이런방법을 생각하여
채비하였습니다.
우동채비를 기본으로 하고,
찌를 원줄에 고정하기 위하여 찌에 찌고무(약 4mm)를 끼우고,
줄보기를 끼우기 전에 원줄을 넣고 찌고무 위에
끼우고 나니 반관통찌 형태의 채비가 된것 같습니다.
사진의 줄보기는 1개를 반으로 쪼개고 다시 다듬었는데
찌의 원활한 유동을 위해 반으로 쪼개었는데
수조실험결과 찌의 유동에는 문제가 없었고,
다만 다음의 두가지가 일반채비와 틀린데
1. 원줄의 늘어짐이 틀립니다.
- 일반채비시는 투척시 찌다리에서 원줄이 늘어지나
- 사진의 채비는 찌몸통과 찌톱사이의 장치에서 늘어지며,
2. 수심측정의 위치가 틀립니다.
- 일반채비시는 찌다리의 위치가 수심측정의 위치이나
- 사진의 채비는 찌몸통과 찌톱사이의 장치에서 수심측정이 이우러집니다.
2번의 경우 붕어의 입질시 형태나 챔질의 타이밍이 다를 수도 있는데요
월척조사님들의 많은 의견 부탁드려요
항상 건강조행하시구요
498하세요
[질문/답변] 유동채비와 반관통찌의 결합
반관통형태의 탈착 및 부착이 자유로워 적절한 상황의 대처가 빠릅니다.
참고하세요.
원줄을 꿰는 장치도 본드칠안하면 찌톱끝부분으로 올려쓸수도 내려쓸수도 있을것같구요 좋을듯합니다
의문 : 장찌라고 가정했을때 찌고무에서 초릿대로 늘어지는 원줄과 지금의 가이드형태의 장치에 원줄을 끼웠을때(찌톱끝부분으로 올리고)의 원줄은 보다 수면가까이에서 초릿대로 이어지는데 바람이나 잡어의 성화에 다소 까불거림이 없을지,아님 찌고무와 장치가 원줄을 찌에 직립형태로 잡아주어 채비의 안정감으로 찌의까불거림이 적을지 궁금합니다 여러 선배조사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눈팅만 하다가 오늘가입했는데 앞으로 많이 배우겠습니다 꾸~~뻑
초릿대에서 늘어지는 원줄과 가이드형태 장치의 원줄의 늘어지는 간격은
불과 15cm 정도인데 그 것으로는 바람이나 잡어의 까불거림은
아주 미미할 것으로 생각되며
그 보다는 수심측정의 깊이변화에 따른 입질의 형태나
챔질타이밍이 기존의 방식과 다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드네요.
사노라면님 의견 감사하구요
2005년 한해 복많이 받으시고 안전조행 및
498 많이하세요
반관통형태의 탈착이 자유롭다면
찌보기의 구멍으로 들어가 있는 원줄이 탈착이 가능하단
얘기인것 같은데요
중요부분이 잘보이지 않아 이해가 잘 안되네요
찌보기가 있는 부분사진과 설명좀 부탁 드려도 될까요?
저도 꼭한번 이 채비를 해보고 싶습니다.
다른부분은
1. 찌톱에 있는 캐미꽂이를 빼고
2. 찌고무(약4mm)를 끼운다
3. 캐미꽂이를 본드 후 끼운다
4. 원줄에 찌보기를 끼우고 찌보기를 찌고무에 결합한다.
순서는 위아 같고요 수조실험에서 찌가 이상없이 잘 솟아주었는데요
사용해보고 실효설이 있으면
깨끗한 사진과 함께 다시 올릴께요
채비연구님 2005년은 꼭 사구팔하세요
이해가 가는군요
찌고무에 줄보기를 끼운다 이것이군요
정말 고맙습니다
동쪽나라님도 사구팔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