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이런 소류지는 어떻게 공략하나요? 물사랑님

IP : d1ef915f0a616b3 날짜 : 조회 : 3328 본문+댓글추천 : 0

제목 그대로 입니다. 영천에 있는 약1,000평정도이지만 상류쪽2~300평은 땟장과 부들 갈대가 그림처럼 늘려있는 곳인데요. 못둑수심3M정도 상류쪽은 80~90CM정도 수초가 녹아 내리고 있는곳으로 최근 10년은 안말랐거든요. 문제는 3~5치급 잔챙이가 지렁이,글루텐에는 시간당 20여마리가 낚입니다. 근데 옥수수도 조금씩 입질을 하지만 잡아보면 5치이내 또는 불꽃놀이만 하고 가버리는경우가 많커든요. 밤12시까지 해봤지만 잔챙이는 계속.... 또한 구멍치기에도 3~5치. 1.5칸에서 3.5까지 수심이 거의 비슷하구요. 바닥수초(말,수세미)등이 조금씩 걸려 나오기도 합니다. 피리는 없더라구요. 청강도를 이용해서 부들밭을 작업하기에는 제 실력이 모자라고요,또 너무 밀생해 있어서 자신도 없어서 시도도 안해 봤습니다. 이럴땐 어째야돼나요? 참고로 그소류지는 거의 제것이거든요. 근데 어제 갔더니 몹쓸인간들이 다녀간 흔적이 있어서 깜짝놀랬지만 쓰레기, 무분렬한 수초밭의 파손등...

1등! IP : 60ddd5f9dd00543
어서 오십시오.
경북지역 곳곳에는 500평 이하의 작은 웅덩이가 많이 있지요.
현지인이 아니면 물마름을 확인할수 없는 웅덩이들 중에
상당한 대물자원을 품고 있는 곳이 적지 않습니다.
멋진 웅덩이를 갖고 계시는군요.

규모가 작은 웅덩이이니만치 부들밭 안쪽을 작업하기 보다는
부들밭의 가장자리쪽 경계점을 노리는 것이 나을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오랫동안 마르지 않은 저수지의 경우 잔챙이의 성화가 너무 심해서
대물을 만나지 못하는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

잔챙이가 수그러지는 시기를 찾으시는게 중요할것 같습니다.
초봄이 될수도 있고 한여름이 될수도 있고 늦가을이 될수도 있으며
만수위때가 될수도 있고 중수위 이하의 갈수위때가 될수도 있으니
시기를 달리해서 찍어봄으로써 찾아내어야 하는데
분명히 잔챙이가 수그러들고 대물이 움직이는 시기가 있을것 입니다.

규모가 작다고 이내 답이 나올것으로 쉽게 생각하고 조급증을 내게 되면
대물과의 만남이 더 늦어질수도 있을것 입니다.
어려운 상황을 맞았을때 결국은 정석대로 단계를 밟는것이 빠른길이
된다는 것을 낚시를 하면서 종종 느낍니다.
좋은 소류지에서 꼭 대물과의 만남을 이루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추천 0

2등! IP : 60ddd5f9dd00543
자세한 글 고맙습니다.
좀더 적극적이면서 꾸준하게 낚시해보겠습니다.
언제 다시 사진으로 올려 보겠습니다.
건강하십시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