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작년 틀리고 올해 틀린 이유는 과연 무엇일까요?

IP : 797881def0fdcb2 날짜 : 조회 : 3494 본문+댓글추천 : 0

정말 궁금해서 몇자 적고 답변을 기다려 볼까 합니다. 성주 벽진쪽에 자주가는 저수지가 있는데, 작년 이맘땐 정말 손맛, 눈맛 찐하게 봤거든요. (80%만수, 옥수수, 2.4~3.5) 근데 이상하게도 작년과 조건은 크게 틀리지 않은데 왜이리 입질 빈도가 떨어진 걸까요? 미련이 남아 몇번을 가봤지만 큰 변화가 없네요.. 답답해서 몇자 적어 보니, 조언 부탁드립니다.

1등! IP : 60ddd5f9dd00543
반갑습니다..
구미에 붕어한마리입니다...
낚시란게 그 불확실성과 변화의 다양함때문에 우리를 더욱 설레게 하고
또 가슴아프게 하는게 아닐까요?
어제 다르고 오늘 또 다른게 낚시 아닐까 싶네요...
겨울동안 저수지에 공사를 하지 않았다면
올해도 꼭 대박을 안겨 줄 날이 올겁니다..
추천 0

2등! IP : 60ddd5f9dd00543
우리네 인생에서도 마찬가지로 같은계절 같은날이 와도 매년 다른것과 같지 않을런지요?^^...전처럼 손맛,눈맛 찐하게 보실 날이 오길 빌어 드립니다.
추천 0

3등! IP : 60ddd5f9dd00543
우리가 사는 사회도 어제 다르고 오늘 다르듯이
저수지 속의 환경도 어제 다르고 오늘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어제 잘 되는 자리가 오늘은 완전히 꽝칠수 있는 것이 바로 낚시 아니겠습니까!!
하물며 작년과 올해라~~~ ^^
너무 조급하게 생각하지 마십시요
너긋한 마음으로 자연을 즐기고 밤을 즐기다 보면 언젠가 대물이란 놈도
놀러 와 주겠죠 ㅎㅎㅎㅎ
추천 0

IP : 60ddd5f9dd00543
대물님 반갑습니다
제가 알기론 못마다 해걸이 하는 못이 있다고 들었는대
그 못도 그렇치 안나 제 미천한 생각입니다
안전 낚시 하세요^^

추천 0

IP : 60ddd5f9dd00543
대물을꿈꾸다님 어서 오십시오.
님께서 그 저수지에 정통해 계시고 작년과 지금의 조건이
크게 틀리지 않는다고 판단 하신다면 2가지를 생각할수 있습니다.

첫째는 저수지의 입질유형이 바뀐 경우 이지요.
우리는 오랫동안 출조를 한 경험이 있는 저수지의 사정이 바뀌는
경우를 가끔 겪습니다.
특히나 작년처럼 엄청난 비로 인해서 상류 물도랑으로 밀려든 퇴적토가
저수지의 지형을 바꿀 정도의 상황을 겪은 후에라면 그럴 가능성은
더욱 커지지요.

콩이 듣지 않던 저수지에 콩이 더 확실한 대물미끼가 되어 버린다던가
이맘때에 초저녁 입질이 확실한 곳인데 새벽입질로 바뀐다던가
봄가을에 잘 되던 저수지인데 여름터로 바뀐다던가...

둘째는 해걸이를 생각할수 있습니다.
상당수의 저수지들이 분명히 해걸이를 합니다.
유독 잘 낚이는 해가 있으며 이것은 한해일수도 혹은 2년 이상일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작년 늦가을-초겨울 시즌에 유등연지에 중대형 월척의 입질이
잦았습니다.
유등연지를 제가 소개 했으면서도 그정도일줄은 몰랐지요.
유등연지는 가을낚시가 잘 되기는 하지만 작년처럼 중대형의 출현이
잦지는 않았거든요.
제가 주변분들께 이런 말씀을 드렸습니다.
"유등연지라고 해마다 4짜를 이정도로 토해내지는 않는다.
올해 유등연지는 잘 나오는 해에 해당 한다.
내년에 또 기회가 있다고 생각할수는 없다."

항상 안전조행 하시고 좋은밤 낚으십시오.
추천 0

IP : 60ddd5f9dd00543
다들 다양한 이유를 들었는데요.
상식적으로 이해가 안될 정도의 차이라면 뭔가
이유가 있겠죠(고기들이 모두 자살했다라던지-농담임다)
혹 계곡형 소류지라면 낚시 시즌이 끝난후 대..꿈..님께서 모르는새 바닥까지 배수를 했을 수가 있읍니다. 붕어는 바닥이 말라도 뻘속에서 생명을 이어갑니다만 급속이 배수가 진행되는 계곡형 저수지라면 붕어가 땅속에 은신할 장소와 시간이 충분치 못할 수 있거든요. 이런 곳에서는 붕어 개체수가 급속히 줄고 상대적으로 입질이 거의 끊어지는 수가 허다합니다. 계곡지가 아닌 평지형 저수지라도 바닥까지 완전배수가 이루어 졌다면 비슷한 상황을 보일수가 있읍니다. 흔히 보이든 잔챙이 붕어가 자취를 감추었다면 그럴 공산이 크지요.
마을 주민들에게 베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해 보시는 것도 현명한 방법이겠구요.
배수에 따른 현상이라면 올해는 힘들걸로 예상되네요.
그렇지 않다면 윗분들 말씀대로 계속 두드려 보는 수 밖에요(참고로 제 경험상으로도 많은 저수지에서 해걸이 현상은 있었읍니다.)
항상 대물을 꿈꾸며 즐낚하시기 바랍니다.
추천 0

IP : 60ddd5f9dd00543
여러 고수님의 고견을 듣자니 조급함이 조금은 사라진듯 합니다.
감사 드리고, 진정 기다리는 낚시를 해야 할 때가 아닌가 싶습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