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짧은대?

IP : 852afc5df21e877 날짜 : 조회 : 3436 본문+댓글추천 : 0

대물낚시에서 1.6칸대의 활용빈도는 얼마나 되나요? 1.6칸대에서 고기 잡아본적 있나요? 있다면 어떤경우일까요? 짧은대는 영 필요성을 못느껴서 질문드립니다

1등! IP : 386566140b02fab
다른낚시터는 모르겠지만...
청도권에서는 많이 잡힙니다.
특히 유등연지 경우 1.5~1.9칸대 사이에서 4짜가 자주 출현합니다.
특히나 초봄에 말풀에서 1.6~7칸대를 좌우로 펼치면 입질 확률이 매우 높더군요

추천 0

2등! IP : 2ee465b610c1294
빈손님,안녕하세요.비단붕어님께서 그 시기적인 수심과 붕어의 여건에 의한
유등연지 짧은대의 필요성을 잘 설명하여주셨습니다

저는 1.2칸으로도 월척급 붕어를 몇 수 낚아보았습니다

추억 하나가 있는데,초봄 2월의 계곡형 소류지에 도착하니
제방 좌측 상류권 쓰러진 나무가 연안으로 살짝 잠겨진 곳 말고는
갈대나 부들 수초 한 점 없었으며,바닥은 마사로 이루어져있었습니다
바닥 약간의 말풀이 있었고 일조량은 아주 좋은 자리였었지요

1.5-1.7칸대를 넣으니 내 기억으로 수심이 1.5M는 넘게나왔고
앉은 자리의 여건상 쓰러진 나무가 잠긴 곳 에 채비를 안착시키려면
더 짧은 1.0칸 정도가 필요했으나 가방에는 없었답니다

생각해낸 것이 뚝 아래로 한참 내려가서,대나무를 칼톱으로 어렵게 베어
끝에 여린 부분은 잘라내고 1칸 정도의 길이로 2대 만들어
끝에 릴리안사를 동여메고,원줄과 목줄 등 기타 채비는 새우낚시 방식으로
채비하여 모든 대는 현장의 굵은 새우를 꽤어 투척하여 밤을 지샜습니다

밤에 넘 추워서 새벽녘에 자로갔다가 아침 낡 밝고
대 들을 살펴보니,대나무로 만든 1칸 대가 쓰러진 나무에 처박혀있었습니다

큰 붕어가 물 밑으로 보였고,바닥은 마사라 단단하기에 바지벗고 들어가서
건져내어 계측하니 체고높은 32나왔습니다
감성돔바늘 5호를 아랫턱 깊숙한 곳 까지 삼켰더군요

그 후로 생각해봅니다.당시 내가 자로 가지 않고 밤을 지켰다면
달빛은 없었으나 맑은 수질의 연안 바로 앞 1칸대 지점에서
과연 입질을 받아낼 수 있었을까
내가 앉아있었다면 진동이 있어도 있어서 그 회류로를 벗어났을건데 하구요..

그 후로 그 소류지 2월 초에서 2월 말의 출조에 최고 38포함하여
몇 수의 월척을 모두 1.7칸 이하 새우미끼로 받아냈답니다
당연 앉은자리에서 내가 할 수 있는한 진동을 내지 않았고
저는 밤낚시할적에 일체 랜턴 사용을 않는답니다
줄이 엉켰을시,4MM케미나 3MM방울 케미를 꺽어서 소형 랜턴 대용으로
이용하곤하구요

모두 그 소류지의 제방 좌/우측 앉은자리가 거의 급경사로 이뤄지는 곳 에서
월척을 낚아내었고,짧은대에 입질을 받아낸 것은
거의 급경사다보니 그 회유하는 수심층과 산란의 준비 여건이 되는 곳
먹이활동을 하는 곳 등이 일치됐던 거 같습니다

짧은대는,이렇듯 시간대별 붕어의 행동 수심층과 먹이사냥에 의한 수심층
그리고 산란이나 준비의 과정을 위하여 밤이되면 어슬렁 올라오는 습성때문에
경사가 가파른 곳 이 많은 준계곡지나 계곡지에서 잘 쓸 수 있구요

요즘 이 철도 계곡지 연안 뗏장이나 부들이 잘 발달했는데
2칸을 넘기면 급심으로 떨어지는 경우에 짧은대의 효과를 보실 수 있을 것 입니다
당연 짧은대는 더욱 더 정숙과 진동을 최소화하여야겠지요

비단붕어님 말씀대로 평지형이나 준계곡지 등 붕어의 산란이 연안 갈대나
억센 쓰러진 나무 등 에서 새벽녘 조심스레 이뤄질 때는
거의 산란이 한창인 전에 짧은대로 갈대 틈세나
부들의 틈세를 잘 노려 월척을 거실 수도 있답니다

준설 전,초전의 회곡지에서 매년 4월 초에서 중 하순만 되면
제방 좌측 갈대밭에서 굵은새우 하나에 월척급 한 수 정도로
대형붕어가 짧은대에 잘 나왔었답니다
그 시기는 약 1주일 지속되다 멈추더라구요
이것은 산란 전 후 의 붕어의 먹이섭취와 관계가 있지않나봅니다

위에 짧은대의 쓰임세에대한 저의 경험에의한 참조적인 답변 올려드렸습니다
통상 대물붕어낚시에서 2.5칸 내외가 가장 많이 쓰이지만
1.6칸 아니라 1칸대도 아쉬울 때가 많답니다
서리가 내릴 때 두요..

그럼 짧은대 몇 대 더 챙겨가셔서 재미있는 낚시를 즐기시기 바랍니다
짧은대는 가격대비 튼튼하고 무난한 향어대면 충분하답니다
추천 0

3등! IP : dc62a08ab90906c
빈손님!!!
저는 그동안 30여년을 잉어 낚시만을 해오다가 주위의 조우들의 권고로 붕어대물낚시를 2년여전부터 해오고 있는 대전에 "꾼"입니다.
짮은 대물낚시지만 2년여동안 전국적으로 유명한 대물꾼을 만나서 배우기 위해
많은 돈을 없앤 사람입니다.
지금은 바쁜일로 작년에 비해 10분의 1밖에는 못다니면서 낚시경럼을 드린다면
대물들의 출현과 활동을 많이 하는 곳은 먹이 취이를 하기 위해 위험을 무릎쓰고 작은 규조류와 물벌래,참붕어를 취이하기 위해위험을 무릎쓰고 연안에 접근한다는 것을 확신합니다.
소음이나 진동이 없다면 심지어 20cm수심에 콩으로 8치 토종붕어를 0,7칸의 칸수로 낚은적도 있고 1,4칸으로 수심 120cm 논둑에 붇여 73cm잉어를 낚아낸적도 있습니다.
그동안 2004년도에는 운이 좋아 41.5cm 1수와 월척부터 39cm까지 21수를 낚은 적이 있는데 저의 짮은 대물낚시 경륜이지만 저는 거의가 2.7칸대에서 70%를 잡아낸것으로 알고 있어 저는 짮은대를 많이 활용하고 있습니다.
그 장점은 많습니다.
잉어낚시에서도 짮은대로 나오는 예가 많습니다.
저는 0.7칸 1대. 1칸 1대. 1.5칸2대. 1.7칸 3대. 1.9칸 1대. 2.0칸 4대 2,4칸 4대. 2,5칸 2대 2.7칸 3대외 4.5칸 까지 소유 사용하고 있지만 3.6칸부터는 장애물이 없어 밤에도 투척을 하면서 1,2번에 투척할수 있는 자신이 없으면 아예 장대 사용을 포기 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욕심을 내고 어려운 포인트를 투척하기 위해서 다른 포인트에 악영향을 초래하기 때문에 자신이 있는 곳으로 한정하여 대를 포진시키고 있습니다.

부디 저의 내용이 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추천 0

IP : 59230b60e2ea932
위의 세분 답변을 소중히 간직하겠습니다
정성어린 경험담 감사드리고요
짧은대에 확신을 가져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추천 0

IP : 1bedc0d86a99b35
취향이 장대이더라도 다대편성시 찌 세울곳만 있다면 짧은대를 발앞에 한대 정도 습관적으로 편성해 놓으시면...놀라운 경험을 하게 될 것입니다.
예부터 대물은 발앞에서 나온다는 말도 있죠.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