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찌 길이에 따른 조과의 차이 있을까?

IP : 548fe3a16390459 날짜 : 조회 : 3868 본문+댓글추천 : 0

동일한 포인트에 낚시대, 원줄, 목줄, 부력, 바늘크기, 미끼 등 모든 조건이 동일하고, 단지 찌의 길이만 장찌, 단찌로 변화를 주었을 때, 과연 조과에 차이가 있을까요. 개인적으로는 장찌가 입질 타이밍을 잡기가 좋아서 조금더 유리할것 같은데 여러분들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점점 차가워지는 날씨 건강한 낚시 하십시오..

1등! IP : d1942f6ac86522f
진짜 궁금합니다.

찌몸통 모양에 따라서는 입질표현, 타이밍 등이 달라서 조과에 영향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질문에서 모든 조건이 동일하다고 하셨는데,
만약 찌모양(몸통)까지 같은 경우로 제한한다면
같은 몸통에 찌길이가 다른데..... 동일한 부력을 가질 수 없을 것이고......

아무튼 재미난 질문입니다.
고수님들 좋은 답변 기대됩니다.
추천 0

2등! IP : 66d5953fd07e777
대물낚시에 큰영햐은없으리라봅니다 그래도 대물채비찌는대게40센치미만으로 사용들하시니까... 제경우에는 떡밥낚시로 계곡지가 아니고서는 장찌는사용하지않씀니다 순전히 제경험과 생각을나열했습니다 언제나 안출하세요
추천 0

3등! IP : 4cbe31a9c32a2af
장찌가 유리하겟지요
아무래도 거부감이 단찌보단 적을테니까요
그렇지만
저는 36짜리만씁니다
경험상 입질이 가장 좋은것 같아서요
그냥 중얼거려 봤습니다.
추천 0

IP : e396556f81a2628
제 생각엔 고기만 붙으면 별반 차이는 없을거 같슴니다
챔질에서는 단찌의 경우 챔질을 조금 빨리 가져가야 될거 같구요
아무래도 찌가 길면 그만큼 여유를 가지고 챔질이 이루어지지 않을까 생각 합니다
저는 37짜리를 선호하고 있슴니다
챔질에 여유가 있더라고요
추천 0

IP : 297f9b9cc01d78f
찌길이가 짧은면 그만큼 체공시간이 짧아 순간 챔질을 해야 하고, 길면 길게 올려주니 챔질 시간을 더욱 여유있게 되는 것 같습니다.
추천 0

IP : ca95e8d7199b304
예민하게 맞춰 반마디인 유로터든 동절기 떡밥낚시경우 마릿수의 조과만을 따진다면....

저부력의 30~50cm 정도의 길지않은 단 떡밥찌가 더 예민한 찌맞춤으로 조과더 크겠지만.... (긴 장찌일경우 더 둔해지기에)

입질타이밍은 입질을 볼수있다는 조건으로 조과와는 연관을 두지않는다면.....

장찌일수록 찌놀림폭이 크고 그 찌올림의 속도도 느긋하기에 좀더 맛난 찌맛을 즐길수있는 정도 아닐까.... 합니다. ^^;
추천 0

IP : e52888a57969ba7
짧은 경우, 긴 경우에서 각각의 챔질의 순간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면 조과면에서 동일하다고 생각됩니다.

장찌의 경우 부력의 중심이 되는 몸통의 위치는 짧은 단찌의 몸통보다 수면에서 보다 아래 쪽에 머무러 있습니다.
찌의 부력과 채비의 무게로 상쇄되어 무중력(중력이라 하기가 좀 이상합니다만)이 된 상태에서 균형을 깨뜨리는
변화를 주는 일은 붕어가 합니다.
먹이를 들이키는 일이 채비를 떠 오르게 하면서 바야흐로 찌는 솟기 시작하는데요.
아무래도 깊은 쪽에 있는 몸통이 수면까지의 거리가 멀어서 상승을 많이 할 것이고, 이에 따른 톱이 보여주는 길이도
길어서 낚시꾼은 그 현상을 <장찌라서 단찌보다 챔질에 좀 더 여유가 있다.>고 여기는 것이라 봅니다.

수심이 깊은 곳에서 장찌를 사용했을 때 소위 말하는 <찌맛>을 진하게 본다고 말합니다. 저도 그렇습니다.
추천 0

IP : 23e5994500eabb8
쉽게 말해서..............................................


갓낚시 형태로 낮은수심에서 할때는 장찌를 쓰시면서 캐미부분을 수면에서ㅏ 3=4마디 올려놓고 합니다..

그래야 캐미로 인한 붕어들의 경계심을 줄일수 잇으니깐요.....


그리고 수초나 수몰나무지역에서 수심이 다소 나오는 1.5m 이상에[서는 단찌를 씁니다......입질패턴이나 다른건 크게 상관없습니다....대물낚시에서 보통 단찌를 쓰시면서 3-4마디 정도 느긋하게 올라올때 챔질해도 후킹이 잘 되니깐요...하지만 찌길이가.떡밥이야 상관있기지요.... 대물은 크게 상관 없다고 봅니다.
추천 0

IP : f7febe7cb65b2ff
예전엔 장찌(65 이상)를 선호하면서 깊은 곳만 찾아댕겼더니... 계속 꽝입니다.
이제 찌를 조금은 짧게 써봐야겠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그래도 찌올림은 장찌 아닐까요?
이번에 구입한 120 장찌를 어디서 써봐야할런지....
추천 0

IP : 3c5805f2e26efa7
찌길이가 짧아지면 찌톱도 짧아지는데 이는 입질이왔을때 장찌보다 빠르게 옵니다

똑같은 조건이라면 짧은찌의 낚시의 모든행위가 장찌보다 간결해짐으로

당연히 짧은찌의 마리수가 장찌보다 많을수 밖에 없습니다
추천 0

IP : 4198e6077c93854
평소 궁금하던걸 선배님들의 의견으로 좋은 공부하게 되네요.

질문해 주신 붕대가리님과 답글 달아주신 여러 선배님들께 감사드립니다..
추천 0

IP : 42e97a2e75c99ff
짤은찌나 장찌나 조과는 같다고 생각 됩니다.너무 짤은 찌를 사용 하지않는다면 30쎈치 이상 찌일때 큰차이는 없고 찌에 나타나는 어신 즉 찌올림에 차이가 있을 것입니다.나머지 조과는 붕어맘 아닐까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