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찌맞춤이 무거울수록 입질이 중후하게 나타날까요?

IP : 2fa46aa291e3337 날짜 : 조회 : 5391 본문+댓글추천 : 0

어제 지인과 낚시를 갔다가 찌맞춤에 대해 의견을 나누웠는데요..그분 말은 찌를 무겁게 맞출수록 찌솟음이 중후하다고 그러시더군요.... 저는 찌를 무겁게 쓰는 이유를 수초대에서 바닥안착이 용이하게 하기위해서 무겁게 쓴다라고 했습니다... 제가 낚시다니면서 월척도 잡고 3치,4치도 잡고 해봤는데요...아무리 무거운찌맞춤이라도 작은놈들은 빠르게 솟아올랐다 내려가는 입질을 보여주었고 8치이상되는 놈들은 가볍게 쓰던 무겁게 쓰던 중후하게 올라오는 입질을 받았던 기억이 있어서 그렇게 말씀드린겁니다... 제가 잘못 알고 있는건지요? 정말 무겁게 맞출수록 중후한입질이 나타나는걸까요?

1등! IP : e2573d24ff8b061
안녕하세요
찌를 무겁게 맞추면, 먹이가 이탈도 되지 않지만, 찌올라오는 것도 중후하게 올라옵니다.
몰론 잔챙이들이 덤빌때는 무겁게 맞춰도 깔짝 거리는 것은 있더라고요.
그러나 잔챙이가 이닌 제대로 된 입질들은 천천히 멋지게 찌맛을 볼수 있습니다.
추천 0

2등! IP : 51c13a0c06458d7
대어를 잡기위한
찌 맞춤은 여러가지 요소로 인해
무거운 찌 맞춤을 합니다 [수초 지역 바닥에 채비 안착과 ..
잔챙이 입질을 걸러 내기 위해서..]

가벼운 맞춤일 경우 먹성 좋은곳
붕애들 입질에도 찌가 예쁘게 올라와
자주 손이가고 조금 피곤한
낚시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찌를 무겁게 사용하면
찌놀림을 보고 씨알을 대충 짐작 할수 있기도 하고

위에서 설명 한것 처럼 수초 지역에서
낚시가 유리한것도 무겁게 사용 하는 이유에서 일겁니다...

조금 무겁든 0점이든 덩어리는
입질이 중후 합니다..
추천 1

3등! IP : 60332da9b01d5a5
저도 자세히는 모르겠으나

바람부는억덕님과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찌가 무거우면 약간의 영향은 있을수있겠지만 큰 영향은 없다라고 봅니다.

치어나 잡어들이 "까분다?"혹은 입에 넣고 뱉어내고 하다가

걸림이 생기면 빨리 뱉어 내고 해서 빠른 찌올림이 생기는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커뮤니티 동영상어도 보니깐 먹이 주변을 기웃 거리다가 먼가 찝찝하면 빠르게 움직이는걸 보았습니다.

해서 저도 님과 같은 생각을 해 봅니다.

제가 게을러서 그런지 봉돌 교환은 두번 합니다!

봄과 가을 엔 조금 예민하게 마추구요

지금 같은 혹서기철엔 조금 무겁게 해서 바닥 안착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아직 미흡해서 제 생각으로만 적어 봅니다.


★ 낚시전 5분만 청소 합시다 ★
추천 0

IP : 8612a343f403133
중후한 입질... ?
1. 찌맞춤을 무겁게 한다고 해서 찌올림이 중후 하지는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하는 찌맞춤은 되부분 표준 찌맞춤입니다.
(마이너스) 즉 가벼운 찌맞춤도 중후한 찌올림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찌 맞춤을 하셔도 중후한 찌올림이 있습니다.
2. 보편 적으로 준척. 월척급의 씨알은 되부분 중후한 찌올림을 합니다.
그러지 못할때도 가끔은 있습니다.
바닥이 깨끗하지 않고 자갈.돌이 있던가 여러 수초가 뒤엉켜서 있을때는 찌올림이 지저분하게 나타납니다.
그날 기후 환경에 따라 찌올림이 좋지않을때가 있습니다.
참붕어. 새우 미끼에 가끔 깨끗하지 못한 입질이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는 되부분 자기 입에 넣지도못할 크기의 미끼를 먹으려고 할때 지저분한 찌올림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3. 프러스 찌맞춤 약간은 무거운 찌맞춤을 하는 경우는.. ?
잡어의 입질
자잘 한 씨알의 입질
왜만한 입질에는 찌의 움직임이 나타나지 않았으면 하는 찌맞춤입니다.
그리고 20cm 이상 씨알이 입질이 왔을때 찌가 움직이기를 바라는 찌맞춤입니다.
4. 약간의 무거운 찌맞춤은 중후한 입질을 유도 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너무 무거운 찌맞춤은 입질도중 이물감을 빨리 느끼게 할수도 있습니다.
그러다 보면 하던 입질을 순간적으로 멈추수도 있습니다.
5. 적당히 약간 무거운 (+) 찌맞춤은 중후한 입질을 할수있도록 유도해 주기도 합니다.
찐짜 중후한 입질은 (붕어)가 만들어 낸다는 것입니다.
추천 6

IP : 2fa46aa291e3337
여러 의견 감사히 잘 보았습니다....^^
산수부린님의 "찐짜 중후한 입질은 (붕어)가 만들어 낸다는 것입니다." 이말씀이 마음에 와 닿는군요...
암튼 답변주신 모든분 감사드립니다...
추천 0

IP : 6d74987ea5fae36
찌올림이 중후하건 촐싹맞건 봉똘이 무거우면 수초지대가 아니고 맨땅빠닥일경우 입수하는 과정에서

봉똘이 땅바닥에 통통 튀고 찌까지 통통 튑니다..

저는 그렁거 쪽실려서 못하지용~~~ㅋㅋ

아무리 찌올림이 중후해도 저처럼 (흐흠 흐흠)체면을 중시하는 가우다시파 낚시꾼은 왠지 찌 입수가 아주아주

스르르르 들어가 케미꽃이까지 초 슬로우비디오로 내려가야 캬~~~~

역쉬 난 고수야 소리가 절로 나옵니다...ㅋㅋ
추천 0

IP : df54d4f9209915f
산수부리님 께 한표요....
쉽게 얘기하자면 찌는 물에 뜨는 재질입니다봉돌을 달지 않으면 옆으로 누어서 뜨지요..여기에 봉돌을 달아 찌맞춤을 하면 찌가 눕지 않게 세우는 일..그게 바루 찌 맞춤 입니다..
근대 표준맞춤이라하면 찌와 봉돌의 부력을 아슬아슬하게 맞추어 봉돌과 찌의부력이 봉돌이 바닥에 겨우 닿게 하여 찌움직임을 예민하게 하는 것인데요 이때 봉돌은 서있게 됩니다..물결이 일렁이기만해도 찌가 움직일수가 있죠 그럼 떡밥을 달았을때 바늘과 떡밥이 이탈 될수도 있죠...
그래서 대부분 생미끼 낚시(대물)일때는 무거운 맞춤을 하게 되는데요 수조통에 넣으면 찌가 바닥에 내려가 닿게끔 하죠..
어짜피 씨알이 왠만한 놈이라면 미끼를 물어 봉돌만 들어 움직일 정도만 되면 어쨌든 찌는 하늘을 찌르게 되는 겁니다..그래서 잔씨알이 붙을땐 아예봉돌이 움직이지 않아서 찌올림이 없든가 그나마 쬐메 자란놈은 방정맞은 입질을 하죠 봉돌의 무게때문에 뱉어버리니까 입질이 조잡하게 보이게 됩니다..
참고로 붕어가 먹이를 취할때 몸을 기울여 바닦에 있는 먹이를 먹는데 잘은 씨알일수록 먹이를 먹고 다시 자세를 수평으로 잡는데 짧은 시간이 걸리므로 찌움직임이 조잡하고 큰놈일수록 느긋하게 자세를 잡으므로 찌의 움직임이 중후 하게 되는거죠..
한말씀 보태자면 잉어 입질 아시죠? 찌가 한두마디 올랐다 바루 빨려 내려가든지 아님 빨려 내려가는데요,이땐 찌맛은 정말 뭐 같죠..이유는 주둥이 모양이 바닦을 향하고 있기때문에 몸을 기울일 필요없이 바로 빨아 버리니까 찌움직임 그런겁니다..하지만 지금 까지 말씀 드린건 평지 에서입니다..경사진곳에선 몸을 기울일 필요가 없기때문에 찌가 끝까지 올려주는일은 거의 없게 되죠...^^ 그래서 한자리에 게속 입질은 오는데 찌올립이 뭐같은 경우는 바닦상태를 염두해 두실 필요가 있습니다..이저수지는 입질이 더러워 한마디도 못올려 라는 말은 사실 바닦 경사가 있던가 잔챙이던가 잉어나 잡어의 가능성을 생각해볼수 있는거죠..그넘의 징거미나 우렁이도...^^
찌의 중후함이라.....제생각엔 삼나무재질의 찌를 쓰신다면 아마 중후한 찌올림을 보실수 있으리라 사료됩니다..재질자체가 묵직하니 아마도 중후하게 올라가리라 믿습니다...
이만 초보 소물의 개념 없는 소리지만 고수님들의 질타가 두려워집니다..이만요 월 고수님들 안출 하시구요 더위와 모기와의 전쟁속에서도 498하십시요
추천 1

IP : 6e8640a7eeabec5
산수부리님 께 한표요....
중후한 입질 낄작대는 입질 모두다 붕어에 따라 일어나는 현상이지요.
무거운 찌맞춤도 잔챙이일 경우에는 깔작대는 입질이구요(마이너스 보다는 조금 덜하겠지요)
가벼운(마이너스) 찌맞춤을 해도 25cm 이상의 붕어는 중후한 입질을 합니다
추천 0

IP : 1ba88812e0bd9fe
나도 한마디...원래 제가 좀 늦어요..ㅎㅎ

중후한 찌놀음??

1) 찌맞춤
2) 붕어맘 <===요까지... <br/>한가지 더 보태면 목줄길이.....<=== 요놈도 한목 거듭니다
추천 0

IP : 81403233a08c1db
무거운 찌맞춤이나 가벼운 맞춤이나 찌 올림의 중후한맛은 고기의 크기와 관계가 있다고 봐요
고기가크면 대체로 중후하게올라오며 반대인 경우 찌올림도 그래요 제 경험상
추천 0

IP : 2fa46aa291e3337
여러회원님의 의견 감사히 잘 보았습니다...
여러회원님 의견을 종합해서 생각해보면,
찌가 솟아오르는 속도(중후함)는 붕어의 크기와 소물낚시꾼님의 말씀처럼 찌의 몸통재질에 결정짓는다고 생각되어집니다...
붕어가 물고 천천이 올라오느냐,빨리올라오느냐 이것이 첫번째고 물고 올라오는 속도를 느릿하게 표현해주는 찌의 몸통이 속도를 결정짓는다고 생각이 드네요...
찌의 올림폭 차이는 마춤에따라 달라질수 있다고 생각되어지구요.....
암튼 고수님들 의견 많은 도움이 되었네요...
더운여름 건강 조심하시면서 안출하시구요 어복충만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추천 0

IP : 6305ac144d5235d
대물낚시 특성상 무거운 찌맞춤 위주로 하는것이지
중후한 찌올림은 붕어의 크기가 준척급 이상되면
가벼운 찌맞춤에도 아주 중후한 찌올림을 볼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추천 0

IP : 925f88bea3dded0
무거운찌맞춤 전는 선호하지 않습니다

수평찌 맞춤후 소형봉돌 1개만 다세요

사람마다 , 저수지 특성에 마추어 해야겠지만

넘 무거운 찌 맞춤은 별도움 않됩디다 ( 특히 미끼도둑발생시)

본인의 채비가 가장 좋은채비 입니다
추천 0

IP : a2a1c7fe405e059
저의 경우 수초지역이 아닌 맹탕지역에서는 세대정도는 떡밥찌(60cm정도)로 수평 찌맞춤으로 낚시합니다

대신 바늘은 감성동6호로 조금은 큰 새우를 달고요

그리하면 잔챙이 입질은 없고

대부분 준척 이상으로 입질을 받는데

찌올림이 환상입니다
추천 0

IP : ff7883e25cdbeec
중후한 찌올림은 봉돌의 무게뿐만 아니라 목줄의 길이와도 관계가 있지 않을까요????
추천 0

IP : 15de50f7ff16236
낚시초보 .... 찌가 조금만 움직여도 대가뿌러져라 챔질을한다
낚시중수 .... 올라오는 찌를 보면서(일명 찌맛) 여유있는챔질을한다
낚시고수 .... 찌끝의 움직임을보면서 바닥 지형 붕어의 활성도 챔질타이밍을 조절한다

고수가 대시기위해서는 자기의 채비에 믿음을가지시고 수없는 헛챔질에 후회를 하는 반성의시간을 가져야
고수의 길로 가지안하생각듭니다

찌올림은 전적으로 붕어의 맘입니다
그런 붕어의 맘을 읽는게 진정한 낚시고수가 아닐가 생각대네여

...무더운 여름 출조 안출 하시고 498하시길 기원합니다 현란한챔질-올림
추천 0

IP : 210dc746febd889
수평찌맞춤으로 맞추셔도 중후한 찌올림을 보실수있습니다..다만 계곡지의 경우 잔챙이붕어의 성화에 찌놀림이 까불게되면 피곤하기에 무거운 찌맞춤을 하는것 뿐이구요..
대물낚시에도 정통 수평찌맞춤이 정상적입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