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칸수별로 찌 무게를 달리 사용하나요?

IP : ce78ca4ad453af8 날짜 : 조회 : 2511 본문+댓글추천 : 3

낚시대 길이에 따라

찌를 달리 운용하나요?

 

~28대까지 2g대

29대~35대까지 3g대

36대~40대까지 4g대

41대 이상 5g대

사용하면 노지 다대편성 (수초권,맹탕)에 무난할까요?

 

몇년째 조과가 현찮아서

작년부터 찌맞춤,채비에 변화를

주고 있습니다.


1등! IP : 2c3354200e0d868
전 44 까지는 4.5g 쓰고 46~70까지는 6g 사용합니다.

원래는 동절기랑 아닐때 따로 찌를 가지고 다니는게 좋긴한데 귀찮고 돈도 많이 들고
추천 0

2등! IP : 78e370a3c385640
저는, ~32까지는 3g대,
36칸대는 4g대,
40대 이상은 5g대를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추천 0

3등! IP : 0a54acf04549ce1
최대한 저부력을 지향하고 계시는 것 같은데요.
찌부력의 크기는
"구사하는 채비 구사에 안정성를 주냐? vs 부족하냐?"로 갈리는
중요한 Key가 되기 때문에

추구하시는 채비메카니즘 내에서 안정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당히 합의점을 찾아서 쓰는 것이 좋긴합니다.

그 적당한 필요충분조건을 알아내는 것은 두가지가 있습니다만.
[1] 이론적인 채비구조를 해석해서 즉흥적으로 계산하려면, 꽤나 머리 아픈 일이고.
[2] 사용 중인 해당 채비로 다양한 포인트, 다양한 칸수를 통한 오랜 낚시경험치를 통해 조율하는 것은 머리는 아프지 않지만,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드는 셈이죠.

노지낚시의 경우,
[2]번의 경우가 상당히 어려운 일이죠.
대부분이 합의점을 제대로 찾아내지 못하고,
매우 단순한 '맹탕+32칸이하의 짧은 낚시대'를 기반으로 한 채비도(설명)을
짧은 대 부터 60칸이 넘어가는 매우 긴 장대까지 고스란히 채비도를 카피해서 낚시하다가,
'맹탕+32칸이하의 짧은 낚시대'를 기반으로 한 채비도(설명)의 낚시법이 그대로 되지 않는 상황에 부딛혀서
"돌고 돌아 원봉돌"이라는 말을 하며, 회귀하는 유저들이 많죠.
'예민하다'는 채비들을 통해 노지에서 낚시를 해보면,
[2]번의 방법으로 채비조합의 합의점을 찾다보면 대부분 이러한 벽에 부딪히는 것은 필연인 셈이죠.

그렇다고
[1]번의 방법으로 설명을 해주거나, 답을 내주면,
"그렇게 머리 아픈 공부 안해도 고기만 잘 잡는다."
"낚시는 아날로그 감성의 영역이다, 낚시가 재미없게 꼭 그럴 필요까지 있겠느냐?"라는 말을 하며,
귀를 아예 닫아버리는 말을 듣기 쉽더군요.

지금 월척 커뮤니티 내에서도 현재 진형형으로
잘 알지 못하는 채비의 미궁에 빠진 유저가 이곳에 채비에 대한 질문 글을 올리면,
오히려 정답과 다른 반대 방향의 답을 댓글로 달아주는 유저들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추천 1

IP : 0a54acf04549ce1
아래는 제가 만든 수십 개의 표들 중 하나인데요.
나일론 3호 원줄을 사용 할 때와 카본 3호원줄을 사용했을 때의 채비 해석표입니다.
아무리 고해상도 이미지를 올려도, 월척사이트 자체에서 이미지 파일 크기를 형편없이 작게 만들어 버리기 때문에 공유해드리기도 힘드네요.


추천 2

IP : dd6c9a5aeb9df7c
짧으면 가볍게 길면 무겁게 보통하는데요
바닥낚시 기준으로 3g 미만은
오히려 찌표현이애매하게 나와서
저는 3g 부터 출발 합니다
추천 0

IP : 608883d24b68554
3, 4호 봉돌의 찌를 선호하는데 대가 길어질수록 투척이 불편해 세칸반 이상의 대들은 5, 6호 사용합니다.
추천 0

IP : 368a136fd714bf9
원줄도 길어지고 바람이나 물의 흐름에 영향을 더 많이 받기 때문에, 더 무거운 찌를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추천 0

IP : 3da92ce74dce9fa
저도 20~36칸대까지는 3그람대, 40~48칸대까지는 4그람대, 그이상은 5~6그람대를 씁니다...전부 같은 부력으로 쓰시는분도 계시구요...보통은 투척때문에 칸수별로 달리쓰지 조과때문에 달리쓰지는 않습니다~참고만 하세요~
추천 0

IP : 9b052a08e6bde8e
어떤 낚시 장르에 따라서
찌와 관련 봉돌 무게는 당연히 차이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붕어 낚시를 한다면 ?
낚시대 칸수대로 2칸대 기준 봉돌무게 2g대,
3칸대 기준 봉돌무게 3g대 ...
.
.
봉돌을 무겁게 사용하면 ?
이물감이나, 봉돌이 퇴적물에 조금이라도 박히면
붕어 에게 이물감을 주고, 찌오름도 짧고, 조과도 떨어 집니다

봉돌의 무게 기준은?
내가 사용하는 낚시대를 던져서

내가 원하는 포인트에 좌우 상하가 아닌
(봉돌이 무겁거나 가벼울 경우에 해당됨)

100점에 떨어지는 무게가 최고 입니다.

내가 사용하는 낚시대의 탄성, 원줄을 길게 사용하느냐, 짧게 사용 하느냐
또한 줄의 호수도 봉돌 무게가 연관이 있어 매우 중요 합니다.

내가 사용하는 1대의 낚시대에 실험적으로 봉돌 무게를 실험해 보면
나에 맞는 낚시대 = 봉돌 무게가 나올것 입니다.

그것을 기준으로 해 보시기를 추천 합니다.
추천 0

IP : fa5a0155fbb6178
예전에는 칸수별로 길이 무게 다르게 사용했지만..지금은 길이 무게 같은거 씁니다. 봉돌도 호환되고 편합니딘
추천 0

IP : af09776573fc3b7
32칸 이하 짧은대는 3.5그램 기준으로 내려가면서 2.5그램까지.

34칸 부터 40칸 까지는 3.5그램 기준으로 올려가면서 4.5그램까지.

42칸 이상은 4.5그램 부터 올려가면서 맞추고 사용합니다.
추천 0

IP : 3c713062799065f
짦은대 3그램 긴대 4.5그램 사용하다 귀찮으즘에 이제는 4.5그램으로 통일해서 사용하는데

앞치기 잘 돼고 조과차이 없어서 편해 졌습니다
추천 0

IP : d26e43a2e457d48
낚시대 길고 짧고에 찌무게 봉돌 무게가 다르지
안을까 생각 됩니다 그래도 개체수가 만은 곳에 입질을 만이 하느냐 안느냐 니까요
조과가 없어서 채비를 바꾼다 그건 아닐까 생각됩니다
포인트에 여건이 문제지 어짜피 유동채비는 얼래채비든 예민한 채비든
물을놈들은 다 물어요 자원이 풍부한 곳을 가보세요
붕어 못 잡는다고 장비 채비만 바꾸면 돈 만이 들어요
추천 0

IP : 55893364c2102fa
저도 달리 사용합니다. 어심전심님과 유사하겠네요.
~3칸대 2.9~3.2g / ~4칸대 3.4~4.5g / ~5칸대 5~5.4g / 5칸대 이상 6~7g 정도
거리에 따른 수심의 차이, 원줄 무게(누름) 영향도, 앞치기 편의성 등을 감안해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다만, 대의 성질에 따라서는 약간씩 조정하고 있습니다. 특히 장대
추천 0

IP : 43a0ff6ca3cb5bf
만사가 귀찮아서 18대부터 60대까지 5g 부력의 찌 한가지로 통일해서 씁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