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토종과 희나리는 다른가?

IP : d83731c45efa44e 날짜 : 조회 : 7826 본문+댓글추천 : 0

경북 안동에 살고 있는 낚시인의 한사람으로 참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안동호가 만들어진 이후에 우리 지역에선 붕어를 두 종류로 구분하며 지금도 그렇게 쓰는 분들이 많습니다! 떡붕어와 참붕어 입니다! 여기서 참붕어란 참"= 진짜와 붕어 즉 진짜붕어 우리가 지금 말하는 토종붕어를 뜻 합니다! 근래 들어서 낚시방송을 보면 희나리란 용어가 등장하고 희나리는 어쩌고 저쩌고 하는대 1 여기서 말하는 희나리가 토종인지 아닌지? 2 희나리란 종류의 붕어가 진짜 있는지? 3 희나리가 경상도 방언이면 도대체 어느지역에서 누가 사용하는가? 월척 회원님들께서 아시는분 계시면 답변 부탁드려 보며...늘 안출하시길 바랍니다!

1등! IP : 859b64443e9a2fe
1>>>>어류학상으로 희나리는 토종과 떡붕의 교잡종이 아니고 붕어의 아종으로 분류되며 순수토종의 일종으로 일반적인 토종과 는 다른 별도의 순수한 우리만의 붕어입니다

2>>>>>>>>>>>>
희나리붕어의 정의
어류학상 희나리를 붕어와다른종으로 구분하지는 않지만 외형적으론 붕어와 차이를 보이고있는 붕어의 일종이라 정의합니다
완전히 형질이 구분되지않아 유전적으로 다른종으로 구분할순 없으며 어류학에서는 아종이라 정의합니다
자료를 보면 일제치하의 양식기술이 보급되기 훨씬전부터 희나리가 존재했던것으로 보이나 과학적인 근거는 확인된바 없습니다
희나리는 우리나라 영남 부산 경남지역에서 주로 볼수 있으며 토종붕어와 일본붕어(떡붕어)의 중간형태로 보입니다


희나리붕어특징
1. 체고가 토종붕어보다 조금 높고 머리가 크다는 인상을 준다
2. 주둥이가 토종붕어보다 넓고 크며 위치또한 눈과 수평으로 있다(토종붕어는 눈과 수평으로 아래있음)
3. 꼬리끝 지느러미가 뜯긴듯이 지저분한것이 특징이다.
4. 척수골수도 토종붕어는 평균 27개 희나리는 평균 29개로 많다
5. 먹이활동도 토종은 곤충의유충 수초입과뿌리 모래등 잡식성인반면 희나리는 플랑크톤(부유생물)이 90%를 차지한다
6.붕어는 암컷(91%)이 수컷(9%)에 비해 현저히 많으나 희나리는 암컷(57%)수컷(43%) 이다

저도 자료를 보고 요약을 했지만 약간 아리송 하군요 여기서 가름하며 고수님의 추가 설명 부탁드립니다
추천 2

2등! IP : 84f55ddbf166d1f
허..안동에는 그게 많이 있는데요.
임하 보조 댐에서 나오는 붕어는 거의다 희나리 입니다.
토종이 아닌 것들은 거의 희나리 라고 보는 게 맞을 듯합니다.
허나 안동호에서 나오는 배가 무지 빵빵한넘들은 떡붕어가 많이 있습니다.
색상이나 체고나 자세히 보시면 차이가 있습니다.
추천 0

3등! IP : ad8d0ab303087c3
희나리도 순수 우리토종붕어 입니다.
그 맛이 일품이며 토종붕어보다 외소하고 머리일색이지만 살은 토종붕어보다 훨신많습니다.
70년대초에 할아버지들이 내낚으로 낚으면 맛이 뛰어나도고 무지좋아했던 기억이 납니다.

토종붕어와 다른점은 희나리붕어 4짜이상도 숫놈이 많이있다는 것입니다.
토종은 준척이상만되면 그의 암컷 이지만요.
우리의 좋은 물고기들을 사랑하고 아껴야 되겠읍니다.

즐거운 낚시 하십시오.
추천 5

IP : 38d500576f19356
희나리는 저희 동네 인근에도 많이 분포합니다. 낙동강계의 대표어종 중 하나라고 보셔도 될것같습니다.

대를 차고나가는 힘, 낚시대에 전해오는 힘은 오히려 일반 붕어보다 더 강하다고 저는 느낍니다.
추천 0

IP : 6c468efee2419b3
70년대 말경에 대구에 저력있는 노 조사님께 들은 이야기 입니다.

외정시대때 일본에서 들어온 붕어라고 알고있습니다.

희나리 라는 붕어를 키워서 판매하는 양식에 목적으로 가지고 들어와서 부산 경남 지역에서 강이나 호수로 풀렸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윗분들에 말씀과 같이 대형급에 희나리붕어는 숫놈이 많다고 말씀 하시고 순수 우리 토종 붕어로 인정을 하시드군요

대구경북쪽으로는 많이 흔하지는 않지만 부산경남지역에는 희나리 붕어가 많이 있는 것으로 압니다.

저역시 떡붕어와 중국부어와는 달리 희나리 붕어는 우리붕어로 인정하는 편입니다.

힘 또한 대단하고 손맛은 아주 좋다고 들 하십니다.

건강하십시요...
추천 2

IP : b11a073477fd663
하지만 지금은 떡과 토종의 교잡종이 생겼습니다.

분명 우리토종 희나리와는 다른 교잡종이 있습니다.

이걸 다 희나리라고 보긴 힘든데 ~~~~~~~~~~~~``

달리 부를 ㅇㅣ름이 없어니 희나리라고 `~~~~~~~~~~~~~~~
추천 0

IP : cb7972a7c401fb7
저는 희나리인줄도 모르고 월척 잡았다고
이곳에 올린 기억이 있습니다.
비록 토종은 아니지만 월로 인정하는 분위기더군요.
아무렴 어떻습니까?
붕어를 사랑하고 아낄 줄 안다면 >>>>
안출하세요..^*^
추천 0

IP : 57e201a593a3266
나의대명 흰나리 가 희나라의 우리동네 방언입니다. 경남 창녕 입니다 어릴적부터 강붕어로 알고 많이 잡앗어요
물론 토종으로 취급되고 잇어요
붕어와 구분하는방법은 노란빛이 없고 회백색이며 붕어와는달리 날신한모습 날렵한 모습이에요
추천 1

IP : edb730c020019c1
내고향 충청도에서 이곳 포항으로 이주 해 온지 어언 36년 이란 세월이 흘렀지만 이곳에 온 뒤로 주변의 저수지나 강에서
잡은 붕어들은 알고 보니 거의 히나리 였다는 것을 알았고, 그러나 히나리든 토종이든 상관 않고 손맛 보고 때론 매운탕도
해 먹고 하였는데 토종이든 히나리든 뭐 그리 대단한가요? 그저 조사님들의 무료함을 달래주고 손맛을 떙겨주고 골치 아픈
일 들 잠시 밀쳐두고 머리도 식힐겸 물가에 앉으면 세상 부러울 것이 없는 취미중의 취미생활 인 것을..... 어쩌랴!
추천 0

IP : 6a84fe7af19050b
안동 강계에는 반수는 토종 반수는 희나리와 짜장이 분포(짐작컨데)
안동뗌에서 4짜하면 무조껀 희나리입니다
토종과 희나리나 떡은 금방 구분이되지요
결정적인건 색갈과 몸통 꼬리부분 좀 잘록하다는걸 알수있지요
또한 희나리는 토종붕어라할수 있답니다
얼마전 어떤이의 말씀에서 문헌에서 모셧다든데
추천 0

IP : a820b0046ecebec
참붕어는 토종붕어가 아닌 송사리과 수서동물입니다. 엄밀히 붕어는 아닌샘입니다. 어느 어류학자가 참붕어라고 이름을 붙혔다는데 이해가 잘 안되네요. 토종붕어와 구분되어야 하겠죠? 참붕어는 대물미끼로 많이 쓰이는 그 참붕어입니다.
희나리는 경상권에서 예민한 채비로 낚을수 있는 토종붕어입니다. 내림이나 중층으로도 흔히 낚을수 있습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