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내림 찌 를 쓰면서 바닥낚시에 사용하는 공작 슬림찌를 옥내림에도 쓰고 있습니다...
찌 맞춤만 정확하면 옥내림 전용이 아닌 일반 슬림 찌 로도 정확한 내림입질 표현됩니다...
옥내림 채비에 좁쌀물린 목줄만 바꿔서 올림낚시에도 쓰고 올림 찌로 부력 맞춰서
내림으로도 쓰는데 입질차이 별로 느끼지 못 합니다...
굳이 전용찌 따로쓰지 않고 올림과 내림 병행 할 수 있어 편 하게 낚시 합니다...
갈대 초슬림 찌를 떡내림과 옥내림에도 쓰고 있습니다.
옥내림이라 해서 찌의 부력이 작아야 한다는 것은 조금 이해가 안가는 부분입니다.
내림낚시의 기본이 예민한 찌맞춤이지 저부력을 요하지는 않습니다.
본인은 옥내림에 일부러 10푼 이상의 고부력찌를 선호합니다.
찌맞춤을 예민하게 맞추면 그만입니다.
그러나 떡내림에서 초슬림찌를 쓰는 이유중 하나가 순간 빨리는 입질에 챔질을 하기 위함입니다.
물론 떡내림시 슬로프를 주었을 때의 입질 표현이 다른 것도 사실입니다.
그러나 떡내림과 옥내림의 입질 표현이 다른 것은 다 아시는 사실이지만.....
나 혼자만의 생각입니다.
푼수가 낮은 저부력 슬림모양 즉 옥내림찌의 경우 찌 전체의 무게 및 찌 전체의 부력에서 찌톱과 캐미가 차지하는 비중이 일반 바닥 올림 찌에비해 높습니다
이로인해 바닥낚시의 찌맞춤 캐미끝과 수면일치 또는 캐미꽂이 상단 찌맞춤을 할경우 원래찌의 목적에 맞는 찌맞춤보다 무거운 찌맞춤이 되어 찌의 직립의 방해나 사선입수가 더 많이 생기는등의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찌 저찌 사용하는것은 상관없으나 장르에 맞는찌를사용하고 장르에맞는 기법을 사용해서 제생각대로 됐을때 더 큰 재미를주기 때문에 저는 장르에 맞는 찌를 사용합니다
님말씀대로 올림찌로 사용하여도 무방합니다.하지만 맹탕수준의 저수지라야 아마도 가능할것 같읍니다.
밑걸림이 있는곳이나 수초지대에서는 사용이 안되지는 않지만 많이 피곤한 낚시가 될겁니다.
몸통 가늘고 부력은 4호 이하 정도요
나루예에서 나온 얼음찌가 젤 좋던데요 전 ^^ 동한 5 동한6 ㅎㅎ 가격도싸고 톱은 쏠리드라 ㅋㅋㅋ
그냥 찌는 입질을표현해주는도구이지
그이상 그이하도아니라고봅니다
그냥다만 입질을 용의하게보고 섬세하게보기위해 장르에맞는찌를 선택하는게맟다고봅니다
예민한 채비와 붕어가 이물감 덜느끼게하기위해 슬림하고 찌맟춤이나 목수확인을 하기 용의하기위해 대략 그런모양과 부력의 찌목수확인이쉬운 그런찌를쓰는것이지 전용찌라는 의미는 크게생각안합니다
찌 맞춤만 정확하면 옥내림 전용이 아닌 일반 슬림 찌 로도 정확한 내림입질 표현됩니다...
옥내림 채비에 좁쌀물린 목줄만 바꿔서 올림낚시에도 쓰고 올림 찌로 부력 맞춰서
내림으로도 쓰는데 입질차이 별로 느끼지 못 합니다...
굳이 전용찌 따로쓰지 않고 올림과 내림 병행 할 수 있어 편 하게 낚시 합니다...
옥내림이라 해서 찌의 부력이 작아야 한다는 것은 조금 이해가 안가는 부분입니다.
내림낚시의 기본이 예민한 찌맞춤이지 저부력을 요하지는 않습니다.
본인은 옥내림에 일부러 10푼 이상의 고부력찌를 선호합니다.
찌맞춤을 예민하게 맞추면 그만입니다.
그러나 떡내림에서 초슬림찌를 쓰는 이유중 하나가 순간 빨리는 입질에 챔질을 하기 위함입니다.
물론 떡내림시 슬로프를 주었을 때의 입질 표현이 다른 것도 사실입니다.
그러나 떡내림과 옥내림의 입질 표현이 다른 것은 다 아시는 사실이지만.....
나 혼자만의 생각입니다.
이로인해 바닥낚시의 찌맞춤 캐미끝과 수면일치 또는 캐미꽂이 상단 찌맞춤을 할경우 원래찌의 목적에 맞는 찌맞춤보다 무거운 찌맞춤이 되어 찌의 직립의 방해나 사선입수가 더 많이 생기는등의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찌 저찌 사용하는것은 상관없으나 장르에 맞는찌를사용하고 장르에맞는 기법을 사용해서 제생각대로 됐을때 더 큰 재미를주기 때문에 저는 장르에 맞는 찌를 사용합니다
차이점이라면 몸통이 가늘고 긴 슬림형이라는것인데..
가급적 이물감을 적게주기위한 형태라고 보시면 됩니다.
찌라는게 부력균형을 이루고있다가 입질이 있으면 찌가 올라가거나 내려오게되는데..
수중에서 찌의 위치에 따라서 수압차이가 생기게되어 부력의 균형이 깨어지는것입니다.
부력이 균형이 깨어진다는것은 그만큼 붕어가 이물감을 느낀다는 이야기인데..
찌의 오르내리는 움직임에 따라서 이물감을 그나마 줄여줄수있는 형태가 긴 슬림형 형태라고 생각됩니다.
동그란 뚱단지모양의 찌라면 부력이 그만큼 한군데 모여있기때문에 입질에 따른 찌의 위치변화시에 그만큼 부력균형이 깨지는
정도가 심하게 되지만, 긴 슬림형찌는 부력이 수심에 따라 분산된 형태이기 때문에 그런 정도가 조금은 덜합니다.
특히 봉돌을 들어올리면서 자연스럽게 오르는 올림입질보다는 찌를 끌고내려가는 내림입질에서는 부력이 집중된 형태의 찌가
그만큼 불리하다고 보여집니다.
통상적인 찌의 형태를 봐도 그렇습니다.
떡밥올림낚시찌를 보시면 동그란 원추형 몸통에 긴 찌다리를 가지고있는 형태들이 많습니다.
부력이 집중된 형태로 찌다리를 길게 뽑게되면 그만큼 찌가 빨리 잘 서고, 찌오름이 느긋하기 때문입니다.
설명드린것처럼, 이런저런 이유로 가늘고 긴 형태로 옥내림찌가 만들어진 것이고, 친수성찌가 나온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이론일뿐이고, 실전낚시에서는 그다지 별다른 차이가 없다고 보시면 맞습니다.
저 또한 여러가지 찌를 써봤어도, 부력이나 재질에 따른 차이는 어느정도 있지만..
형태에 대해서는 별다른 차이점을 경험 하진 못했습니다.
친수성또한 많은 논란이 있었지만, 별반 차이없다는 것으로 거의 결론이 났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