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내림을 하신분들은 다들 줄을 짧게 매신다는 의견이 많군요..
하지만 제 생각은 다릅니다..
경험을 해보시면 아실듯 합니다..
전북 전주근처 구이지에서 보트에서 5짜 4짜 월척 그리고 미터급 잉어까지 걸어보신
지인분 경험에 비추어 본다면....(채비는 신수향 해마1 원줄 1.75호 목줄 1.5호)
낚시대 끝부분지나 보통 20~30cm더 길게 사용하여야하구요...
만약 수심이 조금 깊은 2m이상권에서 4짜이상을 걸어보시면 낚시대 성능이 정말 탁월하지
않다면 목줄이 나가기 쉽다고 하시더군요.
처음에 줄을 짧게 매었다가 4짜이상은 거의 터져버리는 상황때문에 낚시줄이 짧으면 낚시대가
받춰주지 못하면 힘겨루다 아웃이라하여 저두 지금은 원줄을 길게쓰고있네요..
36대 이상은 무조건 스윙하구요..
원줄이 길게 쓰니까 단점도 많아요...
포인트 뒷쪽에 나무가 있음 낚시하기 불편합니다..
단순 의견이니만치 태클은.....ㅎㅎ
연질대에는 경질대보다는 조금더 짧게 매고 경질로 갈수록 원줄은 조금더 길게 하셔도 됩니다
또한 낚시대의 길이에 따른 원줄길이 조절도 중요합니다
같은 낚시대라도 3.2칸보다는 3.6칸이 손잡이대 기준으로 원줄길이를 조금더 줄여야 투척이 편해집니다
그러나 모노줄의 특성인지는 모르겠으나 줄이 점점 짧아 지지요 ㅎㅎㅎ
저같은 경우엔 보통 25칸까지는 낚시대길이 정도로 하구여.
36대까지는 한뼘반(약30~35센치)
40대부터 44대는 세뼘정도 짧게 맵니다.
낚시대가 경질대이면 조금 길게 매셔도 앞치기가 가능하겠죠.
낚시대마다..
자리의 위치에따라..
대의 길이에 따라...
예를들어 36대나40대부터 스윙낚시하신다면 굳이 원줄이 짧아질 필요가 없는거 같습니다.
스윙해서 투척하는데 원줄 줄여 사용한다면 낚시줄이 줄어든 만큰..바로 아래칸수랑 총길이가 가까워 집니다.
특히 옥내림하시는 조사님들 대부분 장대 선호 하시는데..36대,40대,44대를 대물(풍덩채비)낚시 처럼 앞치기 하시는분 없을듯합니다.저부력으로 채비라 잘 날아가지도 않습니다..
하지만 제 생각은 다릅니다..
경험을 해보시면 아실듯 합니다..
전북 전주근처 구이지에서 보트에서 5짜 4짜 월척 그리고 미터급 잉어까지 걸어보신
지인분 경험에 비추어 본다면....(채비는 신수향 해마1 원줄 1.75호 목줄 1.5호)
낚시대 끝부분지나 보통 20~30cm더 길게 사용하여야하구요...
만약 수심이 조금 깊은 2m이상권에서 4짜이상을 걸어보시면 낚시대 성능이 정말 탁월하지
않다면 목줄이 나가기 쉽다고 하시더군요.
처음에 줄을 짧게 매었다가 4짜이상은 거의 터져버리는 상황때문에 낚시줄이 짧으면 낚시대가
받춰주지 못하면 힘겨루다 아웃이라하여 저두 지금은 원줄을 길게쓰고있네요..
36대 이상은 무조건 스윙하구요..
원줄이 길게 쓰니까 단점도 많아요...
포인트 뒷쪽에 나무가 있음 낚시하기 불편합니다..
단순 의견이니만치 태클은.....ㅎㅎ
대가 길어질수록 한뻠.두뻠.짤게 메구요.
초릿대에 원줄 무메듭을 해서 상황에 맞게 원줄 길이를 줄었다 길게했다 합니다.
초릿대에 여유줄이 남아있어도 큰 지장이 없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