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잔입질들은 사라지고 오랜 기다림은 필요하지만 덩어리들과 만날 확률이 점점 높아지는 시기인것 같습니다.
이런 저수온기에는 찌를 맞춤목 보다 얼마나 더 노출 시켜야 유리할까요?
즉 슬로프를 더 많이 주는 쪽이 이물감을 덜 느끼게 하지 않을까 하는 질문 입니다.
요즘 경험상 올리는 입질보다는 빨고 들어가는 입질을 자주 접하게 되다보니 이런 질문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고수님들의 명쾌한 답을 기다려 봅니다....^ ^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딱히 찌맞춤에 신경쓰기보다는 현장에서 맞춘 찌맞춤 그대로 윗바늘에 지렁이 한마리씩 꿰어서 사용해본 경험입니다
슬로프낚시의 특성상 올리는 입질도 있고 빨려 들어가는 입질도 있는게 당연한 것이니만큼
그부분에 대해서는 너무 예민하게 신경쓰지 않아도 될듯합니다
슬로프를 많이 주시는건 바람직한 방법입니다 이물감이 현저히 줄어드니까요
저는 예민해지면 슬로프를 덜 줄려고 노력을 합니다만..
조과는 항상 좋읍니다.
슬로프.. 싫어합니다..
그냥 옥내림 밑바늘 땅이 닿이고 윗바늘 살짝 떠잇고..
스르륵 내려가는 입질에 조금 늦추어 대를 듭니다..
저수지 상황을 활성도 잇게 바꾸는건 무리가 될테니..
바늘도 한 단계 작은 바늘 목줄도 개인에 따라 한단계..아래..
그리고..
잦은 투척을 피하시면 시원한 입질 받으시리라 봅니다.
대구리 하이소
여름이라고 어떻게 하고 가을이라고 어떻게하고. 그렇게 정해지는건 어렵습니다.
그때그때 상황에따라서 슬로프를 줄것인지 목줄의 긴장감을 줄것인지.
목줄을 길게 또는짧게쓸껀지. 또는 라인을 가늘게 쓸건지. 바늘을 작게 쓸것인지
찌맞춤을 몇목할건지, 몇목을 내놓을껀지는 어느시기이기때문에 어떻게 하는게 아니고
그때 그때 그날 상황에따라 맞게쓰심이 좋을듯 싶네요.
활성도가 좋을땐 조금 무겁게 하고 바늘도 좀 커도, 떡밥도 콩만하게 달아서 해도 죽 -올려 주었지요
10여일 전만해도 그랬어요
하지만 영하를 넘나드는 요즘같은 시기에 그런채비로는 꽝하기 일수입니다
대물이라도 이물감과 소음에 아주 민감하거든요
따라서 채비와 미끼 모두 바꿔어야 대물과의 상면이 이루어 진다고 보심 정확할 겁니다
올리는 입질은 바닦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다구 생각 합니다..
제경험으로는 바닦이 지저분한곳(수초가 있는곳)에서는 주로 올리는 입질은 봅니다..
90%이상이 올린다구 보며 됩니다..
그리구 맹탕이나 바닦이 깨끗한 곳에서는 마찬가지루 90%이상이 들어가는 입질을 봅니다..
저수지 형태 지형에 따라 수심차이에따라 압질이 여러 가지 패턴이 나옵니다..
빠는 입질이든 올리는 입질이든 챔질시 90%이상은 고기 다 걸려있습니다..
토막 지렁이에 옥수수 달고 투척!
곧바로 준수한 씨알 한 수!
계속 해보니 그것도 뜸합니다! ㅋ
고수님들 어찌하면 좋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