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관계상 가까운 잉어손맛보러 다니는초보조사입니다..채비2분할 초리서4호 2호순80짜리 다루마형6호 봉돌... 3분할 4호4호2호순 1미터 오뚜기형
나름 보고듣고하여분할이란곳까지 도달해는데요 요것이멋진 찌올림,끝까지다밀어 올리진 못하더라도 무한 솟구치는걸 보고싶은데 올리다가 중도에 다시내려옵니다 서두가 길어네요 질문들어갑니다
이경우 중간 분할 상태를 올리고 내리고 햇ᆞ 찌올림을 조절함에 패닉상태입니다 2분할이든 3분할이던 봉돌서 얼마에 거리를 올리고 내리는지요? 제발 패닉 상태인 초보좀 살려주세요 많은 댓글 부탁드려요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단지 투척후 찌가 서고 물에 들어가는데 차이는 생기더군요.. 아무래도 약간은 간격을 주고(약 30Cm 정도 또는 그이상) 낚시하는게 찌가 예쁘게 서고 천천히 입수하게 되어 보기는 좋더군요...
분할은 대충하시면 됩니다.. 꼭 정해진것 없고 이렇게 하는게 좋다 저렇게 하는게 좋다 말들은 많지만 그닥 차이 없구요 단 가장 하단 봉돌(바늘에 가까운 봉돌)을 제일 가볍게 쓰시는게 좋습니다(이건 좁살봉돌 채비와 일맥 상통하는 부분이죠 양어장 입질이 미약하고 예민한곳에 스위벨을 작은걸 쓰라는것과 마찬가지입니다)그리고 지켜야 할것 또하나는 가장 하단 봉돌은 반드시 찌톱무개보다는 무거워야 한다는겁니다 찌톱보다 하단 봉돌이 가벼운경우 찌가 올라오는 도중에 봉돌과 봉돌 사이의 원줄이 휘어지는경우가 생깁니다 이건 원리를 잘 생각해보시면 알겁니다.
그리고 가장 하단봉돌이 무거울수록 찌올림이 조금 예뻐집니다만 작은 입질은 보기가 힘들어지구요 반대로 가벼우면 예신때 찌가 조금 가볍게 움직이고 빨리는 입질이 자주 생기게 됩니다.
그리고 가장 상단에 위치한 봉돌(찌에 가까운 봉돌)이 찌에 가까이 붙을수록 투척후 찌가 일찍일어서구요(너무 일찍 일어서게되면 마치 자립찌처럼 보여 오히려 보기가 안좋습니다 낚시는 모든 자연스러운게 보기가 좋은데) 또 무거울수록 일찍 일어섭니다.
조과나 찌올림에는 큰차이가 없구요.
그리고 중간에 위치한 봉돌은 상단 하단을 뺀 나머지이니 무개조절이야 뻔한것이구요.
제경우를 말씀드리자면 가장 하단봉돌은 1.6g을 사용합니다 (찌탑이 1m 에서 왔다갔다하는데 평균 1.2~1.4g 정도 되더군요)
간격은 보통 30cm ~ 50cm 까지 사용하구요 그리고 가장 위에것하고 중간것은 4분할일경우 5:3:2 (가장아래의 1.6g 짜리 봉돌은 빼고 말슴드리는겁니다) 3분할일경우 6:4 정도 사용합니다 위에있는 봉돌일수록 큰게 좋다해서 저렇게 사용하긴 하는데 사실 바꿔 써도 큰차이 모르겠습니다.
음.. 그리고 님이 예기하신 80cm 정도의 찌는 그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찌중에 약간 긴축이라고 해야할듯 싶은데요..
이경우 그냥 요즘 많이쓰시는 스위벨 채비 사용하세요...
스위벨채비가 장찌에서 많이 사용하는 분할봉돌채비를 편하게 쓸수있게 만든것이라 아무래도 채비하기도 쉽고 사용하기도 편합니다.
많은 조과를 원하신다면 2호나 3호 쓰시면 될것같구 안정적인 찌움직임을 보시길 원하신다면 스위벨 5호쓰시면 되실듯하네요
마지막으로 찌가 멋지게 들어가는건 사람이 채비를 잘하고 잘투척하고 함에 따라 예쁘게 들어가고 안예쁘게 들어가고 합니다.
하지만 예쁘게 잘올라오는건 사실 채비보다 붕어맘이죠 채비에 너무 신경쓰지 마세요.
제 의견과 너무 똑같아서 추천 한 방 합니다. 물론 다른 의견 갖고 계신 분들도 많겠지만.....
아직 초보라 다 이해가 되는건 벅차구요 궁금한게 위글중찌탑 1미터? 그럼몸통이랑찌다리 하심 긴 장찌신가봐요? 그리고 스위벨 그람수 알수잇을라나요 아휴 모르는거 투성이라 죄송합니다!!
분할봉돌 쉽다면 쉽고 어렵다면 어려운 그런채비인것 같습니다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