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곰입니다
다름이 아니고 제가 2분할 채비나 3분할 채비를 사용중인데요
2분할 채비는 그렇다 치고.. 3분할 채비시..
맨밑에 스위벨 중가운데 분납추 그위에 유동편납홀더를 사용중인데요
찌마다 유격을 다르게 하잖아요 저같은경우는
스위벨에서 분납추까지의 거리를 사용하는 찌의 찌톱길이 만큼 주고요..
분납추에서 유동편납홀더까지의 길이를 15cm 주고..
사용중인데요..
월척지식의 글을 보니.. 상황에 맞게.. 간격을 늘리거나 줄이라고 써있던거같은데요..
당췌.. 조정을 해야될께 2개나 되다보니..
몰 어떻게 조정해야되며.. 어떤찌올림일때 몰 조절해야되고.. 그런걸 잘모르겠습니다
예를들면.. 찌올림이 1마디밖에못올리고 깔짝 거리는 입질일시.. 유동편납홀더를 위로 5cm 올려라..
아니면.. 분납추를 5cm 올려라.. 아님 반대로 .. 5cm 내려라..
이런거있짢아요.. 이렇게 입질이 약할땐 몰 올리거나 내려라.. 라던가..
아님 빠르게 찌가 올라올땐 몰 올리거나 내려라.. 이런식으로..
설명좀 해주시면 안될까요.. ㅠ 나름대로 이것도해보고 저것도 해보는데.. 당췌.. 변화가 있는거같기도
하고.. 없는것같기도하고.. 정말 3분할채비때문에.. 머리가 터질꺼같아요 ㅠㅠ 도움좀주세요..ㅠ
( 참.. 2분할 3분할 채비 안쓰고 원봉돌로해도된다고 말씀하시는분들 있으실꺼같은데요...
저도.. 입질 예민한시기에만 2분할 3분할 쓸꺼에요.. ^ ^;;
단지 너무 궁금해서 그러는거랍니다.. ㅠ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
행복한 하루되세요 조사님들^- ^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곰님이 사용하시는 3분할기준으로,
1. 찌오름 속도가 여유있게 천천히 올라올수 있도록 전체적인 찌마춤후,
2. 이쁜 찌올림에 훅킹이 안될 경우에는 분납추를 스위벨쪽으로 점점 내려주고,
3. 한두마디 천천히 올리다가 못 올릴 경우는 바닥에 닿는 스위벨에 오링 하나씩 점차적으로 걸어줍니다.
저는 활성도가 좋은 시기에는 스위벨도 최소무게로 하고 간격도 많이 벌려주며, 저활성도시기에는 반대로
상대적으로 무거운 스위벨, 그리고 간격도 많이 좁혀서 사용합니다.
몇센티를 올려라, 내려라에 너무 신경쓰지 마십시오. 몸통 찍을 환경 조성되면 붕어가 다 올려준다고 생각합니다.
확실한 것은 분납이 외봉에 비해서 길고 느린 찌올림을 연출하기에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주로 2분할 선호하고 3,4,5분할 채비를 해 놓은 1미터~1.8미터찌를 차에 두고 장찌를 걸어도 되겠다하는
시기에만 장찌 사용합니다. 자세한 것은 다른 고수님께 패스합니다.
2분할 이상 그 이상은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는 1인입니다..
분할 채비의 포인트는 아래 좁살 봉돌과 찌톱의 부력에 맞추어 조절 해야 합니다. 또한 2분할시 본봉돌과 좁살봉돌과의 거리는 찌
톱의 거리 이상이 되어야 됩니다.. 찌톱만큼의 침력을 가지는 좁살이 상승시 찌톱 이상의 길이 이상에 본봉돌이 있어야 찌올림에
본봉돌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입니다. 만약 3분할 시라면 찌톱 절반식의 부력을 나누어 사용하시리라 생각을 합니다.. 허나. 찌
톱의 부력이 거의 나가지 않고.. 또한 물속에서는 더욱 물의 부력때문에 무게가 실제로 더 작게 나가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3분
할을 할시에 채비 엉킴 채비의 간결정도가 떨어져 오히려 더 좋지 못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만약 3분할을 하신다면 가운데 봉돌은
마찬가지로 맨 아래 좁쌀의 찌톱 침력에 영향을 안받는 길이 정도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
활성도가 좋을 시에는 찌톱 전체 정도의 부력에 맞는 좁살을 사용하여야 이 좁살이 들리면 찌톱만큼의 상승력이 작용하여 시원
한 찌올림을 보이고 만약 겨울 하우스 처럼 극악의 입질이라면 시원한 찌올림을 포기한 찌톱 절반.. 혹은 절반이하의 좁살 봉돌을
사용하여 이봉돌이 들리면 찌톱의 절반정도라도 상승하는 효과를 보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제가 생각하는 것이 잘못 되었을 수도 있지만 2분할 이상의 분할은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3분할시 어짜피 2개의 봉돌은 떠 있습니다.. 즉 입질시나 입질을 안할시 어짜피 2개의 봉돌은 떠 있는 것이기때문에 찌의 움직임엔 크게 영향이 없어보입니다.. 즉 1개의 봉돌이 바닥에 닿아 이것이 뜨면서 봉돌의 무게가 상실되어 찌가 올라오기에..그렇다고 생각합니다..
혹여 제가 잘 못생각하고 계시다고 생각하신다면 다른 댓글도 부탁드리겠습니다.
3분할 채비는 써본적은 없지만 ...이유는 제가 추구하는 낚시에서는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 해서구요
내 사랑 블루길님의 답글에 한표 드립니다,,제 생각도 블루길님 의견과 별반 다를바 없네요,,
제가 3분할 채비를 사용한다면 1 m터이상 장찌에 수심이 깊은 곳에서 낚시 할때는 써볼만 할거 같네요
이유는 본 봉돌과 스위벨의 거리가 너무 멀면 목줄이 대류및 기타 영향으로 많이 휠거 같네요..그 휨새를 잡어 주는 용도 정도로
쓸거 같네요.,
위와 같은 장찌를 사용한 낚시가 아니라면 좁살(스위벨) 채비로도 아주 아주 예민 하게 낚시 할수 있습니다.^^
예민한 낚시를 위해,,굳이 3분할 채비를 써야할 이유는 ,,글쎄요^^
저도 3분할채비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기보다는..
3분할채비도 사용하기에.. 사용할때 정확하게 알고 사용하려고 이렇게 남긴겁니다..
장찌에 사용하면 좋다는 글.. 보고 또한번 또다른사실을 알게되었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나머지는 좁쌀과 O링을 이용해서 찌맞춤을 하고 있는데요
언젠가 지인이 운영중인 양어장에서 짬낚시를 할 기회가 있었는데 상단의 편납홀더를 아래위로
올려가면서 어느정도 간격일때 찌올림이 가장 이상적인지 확인해 본적이 있는데요
결과는 찌톱길이만큼 편납홀더를 올려놨을때가 가장좋았던거 같습니다.
워낙에 잘 올려주는 환경이라 테스트 자체가 의미가 없을지도 모르겠지만
그래도 편납홀더의 위치에 따라서 그 올리는 정도가 차이가 있더군요.
그리고 3분할은 2분할시 상단의 편납홀더가 너무 무거울때라고 해야 할까요
편납이 너무 많이 감기게 되는 경우에 편납을 3:2정도 비율로 분할해서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때 상단의 편납홀더는 찌와 아래 편납홀더의 사이에 위치시켜서 사용하기도합니다.
워낙에 조력이 짧아서 도움을 드리기 보다는 혹시나 제 밥법에 문제가 있지나 않을까
걱정이 앞서네요. 여러 선배 조사님들의 조언 부탁 드리겠습니다.
3분할시에는 아래쪽 편납홀더와 찌홀더의 중간에 위치시켜서 사용합니다.
아...그리고 질문하나...
보통 자립형찌를 사용하고 있는데 찌를 몸통까지 올리고 난 이후
다른 분들보다 오랫동안 멈춰있는 경우는 이 찌의 영향이 맞는거겠죠?
저도 양어장채비랍시고 배우기시작한지가 얼마되지않았는데요...
2분할과 3분할은 찌의 부력의정도에 따라서 차이가 많이 납니다.
예를들어 고리봉돌 1호정도의 찌를 3분할을 했다치면 환상적으로 까불어대겠죠....
제가 양어장에서 이것저것 해보고 느낀건 고리봉돌 3호이상은 3분할채비를하고 부력발란스 그때붕어 입질상황에 맞다면
아주 중후하고 멋진입질을 볼수있고요
반면 3의 미만의 찌는 2분할을 했을때 제일 까불지 않고 점잖은 입질을 볼수잇더군요
3분할의 경우 초보자들은 상황에 따른 유동홀더와 중간추 의 간격조절이 상당히 어렵습니다.
유동홀더는 보통 찌의 올림속도조절을 생각하구요 중간추는 찌탑의 몸통찍기를 위해 조절하는경우가 많습니다.
저도 3분할채비를 쓰지만 잘올리다가도 계속빠는 입질이 오면 간격조절을 해가면서 찌올림을 보기위해
노력하는데요 그때마다 신경쓰이는게 한두가지가 아니다보니...
첫째 유동홀더의 조절, 둘재 중간추의 조절, 쌧째 스위벨의 크기조절, 넷째 내놓은 찌탑의 길이조절
머리아프죠...ㅎㅎㅎ
그래서 전 어지간하면 걍 2분할쓰고 필받을때한번씩 3분할씁니다....
도움되셨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