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겨울엔 수심 깊은 곳이...좋다??

IP : 3fadb72ab42d89f 날짜 : 조회 : 14099 본문+댓글추천 : 0

낚시를 한지도 얼추 10년이 되어 갑니다. 책상에 오래 앉아 있는다고 공부잘하는것이 아니듯이 낚시 10년 했지만...낚시에대해 모르는것이 태반인 1인입니다. 각설하고....!! 겨울엔 수심 깊은 곳이 좋다.....라고 지인이 말씀하시던데 언뜻 듣기에는 이해가 잘 안됩니다. 겨울에는 수심이 깊을수록 해도 덜 받고해서 수온이 떨어지니 고기들도 덜 움직이고 그럴거 같은데.. 겨울엔 수심 깊은 곳이 좋다라는 얘기...맞는건가요? 맞다면...왜죠??? 대구리 하시고...로또는 1등으로가 대박나세요~~!!!

1등! IP : 2148c1a97e63d84
저는 시작하지얼마되지않은초보이지만 게시판보면서 배운겅로 종합해보면 깊은수심은 수온차로 인해 온도가 늦게 떨어지기고 천천히 오르기 때문에 한겨울 추운날은 그나마 더 낫다고 하더라고요 반대로 해뜨면 얉은물이 온도가 더 빨리올라가기때문에 그땐 얉은물이 낫고 이런저런 종합으로 답변드립니다
추천 0

2등! IP : 7b500080e550d34
저 역시도 수심이 깊은 곳일수로 수온의 변화가 느리다고 알고 있어요
추천 0

3등! IP : b3100efecb52cea
요즘은 3~ 4미터권으로 도전하라는 조언을 듣고 있읍니다마는
굳건하게 구둘장 잘 지키고 있읍니다,.
추천 0

IP : ea354ba4644aa0b
낮낚시 햇살좋을땐 2미터이하권
좀 춥다 또는 밤낚시를 할것이다 경우엔 2~3미터권
추천 0

IP : b59328436f51e05
동네 어르신들의 말씀은 겨울엔 깊은곳, 낚시TV를 보면 겨울에도 2M를 않 넘더군요. 어는것이 정답인지는 고기만 알뿐..
추천 0

IP : d95a93221ebafac
수심이깊으면 수온은 천천히 올라가지만
떨어지는 수온또한 늦게 떨어지겠죠?

요즘같은 시기에는 수심낮은 평지형저수지에가서
밤낚시 하시면 초저녁 반짝 입질하다
밤새 말뚝인 경우가 허다합니다.

수심이낮아 수온이 빨리오르고 밤이되면
바로 차가워지기 때문에 밤낚시를 하실거면
수심깊은 계곡지를 가셔야 입질받기 수월하실겁니다.
추천 0

IP : 6057584970651ef
활성도가 관건인것 같습니다.붕어가 움직이지 않으면 깊건 얕건 크게 차이가 없어보이는데,저수지 전체를 보면 낚시대 아무리 긴대를 던져도 연안에 있을뿐 중앙부에
근접하지 못하지요.다만 동절기엔 깊은곳이 수온의 변화가 덜하겠지요.
추천 0

IP : 929d5c1b17f20dc
활성도?란 뭘까요 어류가 움직이기 또는 먹이활동이
좋은 여건이 아닐까 생각해 봤습니다 여러 여건중에
서도 평상시 자기네들 살고 있던곳에 의 무변화가 아닐 련지요 년중에 가장 입질이 없을때가 갠적으로는겨울철 하고 배수기때 인듯합니다 고로 젤 우선이
온도 그담이 변화(온도,수위)라 생각합니다
겨울철 이라도 낮과밤 온도 차이가 10도 이상 차이납니다 그때그때 가장변화가 적은곳을 포인트로
삼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1인 입니다
뭐니뭐니 해도 일번은 온도입니다
추천 0

IP : 99643c5bf18358f
겨울철에는 밤에는 깊은 곳이 유리하겠지요
당연히 낮에는 얕은 곳이 유리할것이구요
수온변동이 적은 깊은 곳은 밤에 따숩고
동이트면 해볕이 내리쬐는 얕은곳이 수온상승이 빠르니 그곳이 포인트가 될수도 있습니다
허나.....그것도 저수지마다
약간식 차이가있으니..
역시나...






결론은 물놈은 물어준다에..한표;;;
추천 0

IP : 1fc46bfe7b895ff
고기잡는데 수심 수온이 필요할까요?
내가 좋아하는 곳에서 나만에 별을 바라보며 하룻밤 편히 지내고 오는게 행복이고 낚시죠.
거기다 멋진 찌올림 보여준다면 바랄것도 없구요...
깊은물... 낮은물... 전 대물낚시 하면서 그런거 따지며
낚시한적은 한번도 없는거 같습니다.
추천 0

IP : 006ecbccdfdd8d7
요즘 같은 저수온기에는
발앞이 직벽으로 2~3m 수심이나오는
포인트면 명당이죠
넘 깊은 수심(4~5m)에는 입질이 빈도수가
떨어지더군요.
추천 0

IP : 694486bbc5c09cb
물은 섭씨4도일 때가 비중이 제일 높습니다. 깊을수록 바닥온도는 섭씨4도에 가깝게되고, 온도 변화가 적겠지요.
수중생물이 한겨울에도 얼어죽지 않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추천 1

IP : a7fd889f23e4462
최근 2주동안 14마리의 대물과 월척을 잡았습니다 모두1m20 내에서 잡았습니다 물론 밤낚시구요
추천 0

IP : ec087f7ee83a905
어제 낚싯대한대로 3미터 조금 안되는곳에서 아홉시간정도 낚시했습니다. 입질 꾸준히 해주더군요~
누치한마리 옆에 던져놓았더니 한2시간 지났을까? 동태되어있더군요~
추천 0

IP : c07db6ce201e39d
물속에서는 밖에와는 반대로 작용한다는 말을 얼듯들은적이 있습니다.
수심이 깊은수록 뜨겁고 낮을수록 차갑다.
겨울엔 깊은곳이 따뜻하여 좋고 여름엔 뜨겁기 때문에 상층부가 오히려 공략이 좋다.
추천 0

IP : ec9d011689a0772
낮은 수심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으나 저는 산란기 잠깐 말고는
항시 3m 수심 이상만 노리고 대부분 계곡지나 반 계곡지로 주로 갑니다.
계곡지도 상류에는 수초가 많이 있는곳도 있고 수심또한 1m 내외 인곳도 많아
대부분의 사람들은 수초가 있는 곳을 좋아하고 1.5m 수심이 넘으면 낚시를 못할것 처럼 생각합니다

그러나 저는 붕어가 상류 수초대로 이동하는 수심 3~4m 물골에서 낚시를 즐기며
항시 주변 분들보다 나은 조과를 얻고 있습니다
대물 붕어가 수초옆에서 일년 열두달 사는것은 아니고
산란기 또는 새물찬스 잠깐을 제외 하고는 은신처에 있다가 먹이 활동을 위해
일정 시간대에 물골을 따라 회유를 하게됩니다.
결국 지나는 길목을 지키는 거지요

너무 덥거나 추울때 또 기온 변화가 심할때 붕어는 낮은 곳 보다는
깊은 수심에서 더 오래 머물고 물골을 따라 이동 하며 최상류까지 가다가
돌아가 버리는 경우도 다반사 이기에 상류로 이어지는 물골 깊은 곳에 대를 피면
저수지 전체가 몰황 수준 일때도 최소한 낱마리 조황을 기대할수 있으며
간혹 대박을 맞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밑걸림이 없어 자유롭게 스윙을 할수 있고 상대적으로 가는줄로
손맛을 배가 시킬수 있기에 전 항시 3m 이상에서만 대를 피고 환상적인 찌 의 향연을 즐깁니다.

개인적 견해 입니다^^
추천 1

IP : 98ca12df1cb9e66
음... 깊은 샘물은 여름에는 냉수요...겨울에는 온수로 변하는 줄 아뢰옵니다...

조금은 과장되게 표현 되엇지요...ㅎㅎ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