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년간 낚시에대한지식이 쥐꼬리만한 아직초보조사입니다.
요몇일간 찌맞춤에대한 생각을계속하게대네요ㅠ
우선 지금저가쓰는 채비는 방랑자채비 이고 찌맞춤은
방랑자채비 FM찌맞춤입니다.
근데 어느날 찌맞춤을하다 헷갈려서 봉돌만단 상태로
캐미끝과 수면이 일치대는 영점찌맞춤으로낚시를 하였습니다.
그런데 찌올림이 기존 정석 찌맞춤보다 입질과 찌올림이훨씬깔끔했습니다.
겨울인데도불구하고 유료터에서요!!!
흠...여기서 궁금한건 봉돌만단상태에서 캐미와수면이 일치대어 봉돌이 바닥에닿는 맞춤과
바늘까지 단상태에서 바늘이 바닥에닿는 맞춤과의 이물감 차이가큰가요?
그리구 영점맞춤 표준맞춤 마이너스맞춤 이러한 맞춤들의 특징과 맞춤법 설명부탁드립니다ㅠ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특히나 토종터에선 잔입질로 아주피곤해지죠...
같은 수평맞춤이라도 너무예민하지도 그렇다고
너무 무겁지도않은 그런찌맞춤이 가장이상적일듯
합니다... 배스터에서도 경험상 너무예민하게
맞추니 헛챔질이 마니나는 경우가 생기더라구요
지금처럼 찌맞춤하시는게 더나을듯합니다...
동절기에도...더무거운맞춤에 대물채비에서
잔챙이들 찌올리는거보면 잘올려줍니다...
그러하믄 조금더무겁다라는 찌맞춤이 봉돌만단상태에서 영점잡은뒤 바늘달고 낚시를 시작하는건가요?
저도 예민하게 찌맞춤을하니 헛챔질이많아지는것도 많이느꼈습니다.
유료터에서도 바늘까지단상태에서 캐미꽂이 하단까찌맞춤을하여 낚시를진행하니
이것도 히트가않대?라는 입질이많았네요...
수평마춤 영점마춤은
봉돌달고 케미꽂고 던져서 봉돌이 뜨고 케미가 보이고 케미꽂이가 보일랑 말랑하면 가벼운 마춤이고요
케미가 수면에 보일랑 말랑 하면 무거운 마춤이고요
케미만 보이면 안정적수평마춤이라고 보면됩니다.
양어장은 가볍게 노지는 무겁게 가야 안정적이 됩니다 마이너스란 수심측정하고 케미까지 나왔는데 봉돌이 동동떠있게 되는 마춤입니다 이럴땐 입질이 빨려들어가는 상태가 되고 사각도 많이생겨 헛챔질이 됩니다~
너무 무거우면 입질표현이 안나타나구요.
방랑자채비는 분할봉돌이 목줄에달려있어서 바늘을 달고 찌맞춤을 하는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