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포로 집어는 아쿠아+찐버거 등 으로 집어제와 미끼 같이 쓰다가
요새 글루텐으로 자주 사용을 합니다..
머릿속에 당연히 집어는 아쿠아+찐버거라고 생각을 했었는데
지난 주말에 글루텐만 2바가지 사용을 했습니다.. 조과가.. 좋더군요..
아쿠아+찐버거 처럼 글루텐만 사용해도 집어 효과가 있나요?
아니면 그날 활성도가 좋아서. 잘 잡은것 인가요?
혹시 글루텐만 사용하시분들 있으신지요?
보통 관리형 저수지나..양어장을 잘 다닙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자료를 보니 글루텐도 집어 효과가 있기는 하다고 나오던데
알갱이의 확산에 의한 집어가 아니고 고래기름 냄새 (향유)가 집어효과를 가져온다고 나오더라구요...
경험상 아주 강한 집어 효과는 못되는듯 합니다.
어느날 예외적으로 대박친 일이 있다고 해서 그걸 집어효과 때문이라고 말하기는 좀 무리가 있지 않을까 싶네요...
30초마다 집어하는데 잘 잡힙니다.
2년째 그렇게 합니다.
붕어가 잘 모여서 그런지 가물치도
항상 따라 모여서 몇번 잡았습니다.
같은 장소 바로 양쪽에서해도 떡밥으로 집어하고 한쪽은 글루텐만 쓴다고 해도 조과에 다른 상황이 항상 존재하는거니까요.
고기의 맘이죠 머 ^^;
대물미끼로 사용은 하지만
집어의 의미보다는 기다리는 낚시로 하세요
30초마다 투척 하지 마시구요
한번 넣으면 입질 올때까지 기다리세요
바늘에서 이탈 없습니다
낚시는 한두번 정도의 결과로 결론을 내리면 오류가 생깁니다.
어분(아쿠아텍)과 보리(찐버거)를 집어제로 사용할 때보다 글루텐이 떡밥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채비의 수직정렬이 더 좋기에 찌올림이 더 잘 나타나서 그런 결과를 얻으신 것일 수도 있습니다.
특히 위에 월척100분과토론님의 경우, 외바늘에 글루텐만 사용하신다는데 그 경우 외바늘의 이점에다가
최소한의 떡밥무게가 되기 때문에 찌올림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낚시방식입니다.
어분(아쿠아텍)과 보리(찐버거)를 사용할 경우 반스윙 투척으로 수직정렬을 유도하거나
밑밥을 줄 때는 크게 달아서 넣고 잠시 후 바로 헛챔질로 걷어내고서
입질을 기다릴 때에는 작게 달아서 넣는 방법도 좋습니다.
한쪽에는 미끼용, 한쪽에는 집어용으로
각각 다른 성분의 글루텐을 사용하면 좋은 조과를 볼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이번 군계X학 부남호 동영상에서 성사장님이 그렇게 쓰신걸로 알고 있습니다)
물 글루텐으로 물성 조절해서 하룻밤에 5봉을 사용해본적 있습니다.
다른대는 일반 짝밥으로 4대 펴고요
결과는 머 그냥 그렇습니다 ㅋㅋㅋㅋ
집어가 된건지 만건지....
다른 집어제 단 바닥 낚시보다는 역시 내림대라 미약한 어신까지 볼수 있으니... 어신은 많이 봤습니다. 다른 집어제 없이도
아마도 어느정도 집어력은 있는것 같은데.. 꾸준히 투척하지 않으면 집어 된다고 해도 금방 빠질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붕어 입장에선 다같은 떡밥이니까여.
바늘에 걸리는 섬유질(정확히는 단백질 입니다.)성분을 제외한 나머지는 물에 미세하게 풀리면서 대류나, 물의 흐름을 따라 집어제로서의 역할도 일부 하는것입니다.
다만, 어분이나 보리가루처럼 냄새가 강하지 않을 뿐이죠.
이름, 성분의 차이 이지 어차피 떡밥 입니다.
글루텐 단품에도 귀찮을 정도로 많이 잡히기도 하죠. 너무 염려하지마시고,
저수지별 먹히는 미끼의 종류가 다르다 정도로 해석하시고, 잘 나오는 미끼를 택하시면 그게 답일듯 싶네요.
글루텐도 어느정도는 집어가 가능한거 같네요.
글루텐도 자주 사용을 해야겠습니다..
집어제만큼 쉬이 집어 시키기가 어렵지 일단 집어만 되면
절대 빠져 나가지 않는다고 하더군요...
물론 1봉지를 다 쓰고 그 뒤부터 입질이 오더군요...
글루텐의 집어력은 미미한 것 같고,고기(붕어)가 회유 시점에 미끼가 있느냐,없느냐의 차이에 따라 조과가 나타난다고 봅니다.
2009~2012년,특히 무더위가 한창인 요즘도 새벽 시간부터 저녘까지 낚시해 보면,무더위가 한창인 13시 전,후부터 입질이 들어오기 시작하여 해질 무렵까지 2~3차례 정도 연속 입질이 들어 오는걸 볼 수 있습니다.
※수온에 따라 글루텐의 분해 속도가 다르므로 낚시대 근처 물속에 글루텐을 투척하고 분해되는 시간을 체크하여 글루텐 교체 시기를 정하는것도 방법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