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그런자린 무조건 피한다에 한표 던집니다.
억지로한 낚시치고 좋은조황 못봤습니다
낚시에서 바닥지형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바닥지형 불규칙 한곳에서 일반적으로 입질받기도 힘들지만
집어도 힘들고 입질도 더럽습니다.
처음간 낚시터는 바닥 체크 먼저 하신 후 대편성을 하심이 옳은듯
저의경우 긴대로 바늘을 껌같은걸로 감춘 후(밑걸림방지를위해)
멀리 던진 후 앞으로 조금씩 끌면서 바닥을 체크합니다
경사면과 평평한 면이 만나는 곳을 공략합니다
어느 낚시터는 긴대가 어디는 짧은대가 하는것들은
바닥지형과 연관이 있을듯합니다
그리고중충이나 내림같이 찌스기 전에 대를몸쪽으로 30~센치쯤 당겼다가 찌슬때 대를 앞으로 밀면 어느정도 해결됨니다
경사 심한 곳은 입질 형태도 꾸물꾸물 하다 잠기는 입질 형태가만으니 참고하십시요.
조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
급경사 지역은 붕어가 접근을 하면 대가리를 숙일 필요없이 미끼 흡입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평지나 완경사 처럼 미끼 흡입후 대가리를 들어올리는 행동이 상대적으로 없습니다.
즉, 찌오름이 거의 없지요.
한마디 또는 반마디만 오르고 옆으로 흐르든지 깊은 수심으로 끌고 들어가 버립니다.
급경사지대 넘 피곤합니다..
떡밥은 같은크기 정확한 앞치기와 투척후 손잡이만큼 뒤로빼놓고
찌가 서면 그때 앞으로 밀어넣는다..
정보감사드립니다.^^
억지로한 낚시치고 좋은조황 못봤습니다
낚시에서 바닥지형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바닥지형 불규칙 한곳에서 일반적으로 입질받기도 힘들지만
집어도 힘들고 입질도 더럽습니다.
처음간 낚시터는 바닥 체크 먼저 하신 후 대편성을 하심이 옳은듯
억지로한 낚시치고 좋은조황 못봤습니다
낚시에서 바닥지형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바닥지형 불규칙 한곳에서 일반적으로 입질받기도 힘들지만
집어도 힘들고 입질도 더럽습니다.
처음간 낚시터는 바닥 체크 먼저 하신 후 대편성을 하심이 옳은듯
저의경우 긴대로 바늘을 껌같은걸로 감춘 후(밑걸림방지를위해)
멀리 던진 후 앞으로 조금씩 끌면서 바닥을 체크합니다
경사면과 평평한 면이 만나는 곳을 공략합니다
어느 낚시터는 긴대가 어디는 짧은대가 하는것들은
바닥지형과 연관이 있을듯합니다
미끼달아서 투척한다음 찌상태를 응시하면서 자기쪽으로 살살땡겨 수심층을 맞추는 방법도 쓸만하던데요 ^^
도움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