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어낚시처럼 작은 바늘을 쓰고, 대형 혹은 상어 같은 초대형 어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씨알이 작은 물고기를 낚는 낚시에서는
목줄이 풀리지 않게 잘 묶는 것이 더 중요하지, 바늘과 목줄 위치는 크게 중요하지는 않은 편입니다.
설마,
붕어낚시유저들 중에서
고작 바늘귀에 쓸려서 목줄이 터져나갈 정도로 목줄이 노화되도록 방치해서 쓰는 유저분들이 계실지...
(바늘을 직접 손에 쥐고, 바늘귀로 낚시줄을 잘라보시며 체감해 보시길. 바늘귀에 낚시줄이 쓸려서 터져나가려면 그게 얼마나 힘든일인지........)
(현자라면, 앞인지 뒤인지만 고민할게 아니라 좌, 우도 생각해봐야 하지 않을 지....)
아래 사진은 목줄위치의 앞뒤논란이 많아서, 각각 앞과 뒤로 묶은 목줄을
바늘이 고기입에 후킹되었을때의 상황을 보여주고자 서로 당기고 있는 상황을 찍은 사진입니다.
바늘귀에 낚시줄이 덜 쓸리려면 "앞으로 vs 뒤로" 어느 게 유리할 지 알아서 판단해보시길.
위에 s모그님 말씀처럼 낚시하다보면 목줄이 어쩐지 돌아서 귀 뒤로 돌아가 있었는데 모르고 그냥 쓴 적도 많이 있습니다.
근데 잘 입걸림 되긴 했습니다.
제가 알기로
원래는 목줄이 귀 앞으로 (위에 s모그님 사진 참조 : 오른쪽 바늘) 오는게 정상이긴 합니다.
저게 앞으로 오게 만드는 이유는
챔질시 강하게 땡겨질때 바늘귀가 받침이 됩니다. 아무래도 바늘끝이 앞으로 튀게끔 하는 거죠. 귀 받침을 밀면 바늘끝이
앞으로 튀어 나오게 되면서... 지렛대 원리죠.. 좀 더 후킹이 잘 되게끔..
목줄을 굵은 줄로 묶어보면 티가 많이 납니다. 귀 앞으로 올때랑 뒤로 올때랑...
노안이 와서 잘 안보여서 .. 감으로 묶어 쓰는 중이라 어떨땐 옆으로 어떨땐 뒤로 .. 가 있는데
묶을땐 정상으로 묶으려 하지만 ㅎㅎㅎ
어디로 가도 왠만큼 후킹은 되는 듯 합니다. 그래도 가능하면 목줄이 앞으로 오게끔 해서 묶죠...
바늘 귀를 자세히 보시면 약간 각이 져 있습니다. 챔질과 동시에 바늘 끝을피부 안쪽에 조금이라도 더 깊숙히 박을려면 미끼를 꿰는 궤적이 나와야 하는데 당기면 그냥 바늘 끝만 걸리죠. 챔질의 찰라 순간에 바늘끝이 입술에 걸리고 그와 동시에 바늘 귀쪽에 힘이 걸리면 귀쪽이 지렛대가 되에 조금이라도 더 안쪽으로 파고 듭니다. 각을 주지않으면 바늘 귀에 줄이 쓸려 목줄의 내구성이 떨어지고 각을 너무 많이 주면 지렛대역할을 잘 못하고... 그 절충점을 찾아서 각도를 설계한거라 추정합니다.
바늘마다 조금씩 생김새가 다르나 이두와 감성 빈 바늘로 실험(영상 촬영 후 느린화면)해 본 적이 있습니다.
뒤로 묶었을 때는 바늘 귀가 앞으로 나오면서 바늘 끝이 뒤고 가는 상황이 많았고,
앞으로 묶었을 때는 바늘 귀가 앞으로 덜 나오고(줄이 받쳐주면서)
바늘 끝이 살짝 앞으로 또는 줄 방향 그대로 나오는 상황이 많았습니다.
찌승전결님이 말씀하신 원리가 작동하는 것이죠.
S모그님이 올려주신 그림도 보시면 이해 가실 겁니다.
바늘의 각도의 차이나 힘을 받는 느낌의 차이.
그리고 바늘 귀가 어떤 방향으로 꺾여 있는지도 보시면 알 수 있고,
물론 조구사의 묶음 바늘도 모두 앞으로 묶여져 있죠.
다만, 묽은 미끼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원리가 중요하게 작동하여 후킹에 큰 역할을 할 수 있겠으나,
미끼가 끼워진(또는 둘러쌓인) 상황에서는 그런 원리가 크게 작동은 하지 못하게 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후킹 후 물고기에 의해 바늘 끝이 이러저리 흔들린다고 가정하면
어떤 경우가 라인에 더 쓸릴지 충분히 예상해 볼 수 있고,
어떤 경우에 바늘 귀가 라인에 지지하면서 힘을 더 받으면 랜딩할 수 있는지는
충분히 예측이 가능한 것 같습니다.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도 아닌데.....
붕어입에 후킹이되고나면 바늘귀와 목줄의각도가 바뀌어서 쓸리지는 않게됩니다
사이즈가 작아서 잘 안 보입니다만
쓸데없이 귀에다 홈을 파진 않았겠지요?
묶음바늘을
어떻게 제조해서
파는지 살펴보시죠.
바늘의 특정모양으로 만들어
줄을 묶어서 파는데요.
이유가 있을테니까요.
목줄이 풀리지 않게 잘 묶는 것이 더 중요하지, 바늘과 목줄 위치는 크게 중요하지는 않은 편입니다.
설마,
붕어낚시유저들 중에서
고작 바늘귀에 쓸려서 목줄이 터져나갈 정도로 목줄이 노화되도록 방치해서 쓰는 유저분들이 계실지...
(바늘을 직접 손에 쥐고, 바늘귀로 낚시줄을 잘라보시며 체감해 보시길. 바늘귀에 낚시줄이 쓸려서 터져나가려면 그게 얼마나 힘든일인지........)
(현자라면, 앞인지 뒤인지만 고민할게 아니라 좌, 우도 생각해봐야 하지 않을 지....)
아래 사진은 목줄위치의 앞뒤논란이 많아서, 각각 앞과 뒤로 묶은 목줄을
바늘이 고기입에 후킹되었을때의 상황을 보여주고자 서로 당기고 있는 상황을 찍은 사진입니다.
바늘귀에 낚시줄이 덜 쓸리려면 "앞으로 vs 뒤로" 어느 게 유리할 지 알아서 판단해보시길.
근데 잘 입걸림 되긴 했습니다.
제가 알기로
원래는 목줄이 귀 앞으로 (위에 s모그님 사진 참조 : 오른쪽 바늘) 오는게 정상이긴 합니다.
저게 앞으로 오게 만드는 이유는
챔질시 강하게 땡겨질때 바늘귀가 받침이 됩니다. 아무래도 바늘끝이 앞으로 튀게끔 하는 거죠. 귀 받침을 밀면 바늘끝이
앞으로 튀어 나오게 되면서... 지렛대 원리죠.. 좀 더 후킹이 잘 되게끔..
목줄을 굵은 줄로 묶어보면 티가 많이 납니다. 귀 앞으로 올때랑 뒤로 올때랑...
노안이 와서 잘 안보여서 .. 감으로 묶어 쓰는 중이라 어떨땐 옆으로 어떨땐 뒤로 .. 가 있는데
묶을땐 정상으로 묶으려 하지만 ㅎㅎㅎ
어디로 가도 왠만큼 후킹은 되는 듯 합니다. 그래도 가능하면 목줄이 앞으로 오게끔 해서 묶죠...
목줄이 귀 뒤로가면 바늘 입부분이 붕어 아랫입술로 향하고
목줄이 귀 안쪽으로 가면 붕어 윗 입술로 향합니다.
바늘 입부분이란 뾰족한 부분입니다.
제결론입니다 해서 (강성돔바늘5호
떡밥 옥수수 지렁이 콩 사용중 4호이하바늘 뻐들어져 폐기 )(볼락바늘 13호 세우 옥수수 콩 지렁이 참붕어 사용 12호 뻐들어짐 이하폐기)
우리 대상어종이 민물이지 바닷고기 아닙니다
암찍케나 하셔도 됩니다
일본 바늘의 묶음 그림을 보면
귀 안쪽으로 묶게끔 표시 되어 있습니다
그때문인지 모르나
대부분 붕어 바늘 매듭 법이나, 바다 바늘 매듭 법이나
귀 안쪽으로 묶어서 사용 합니다.
나는 다나고 붕어바늘의 각을 생각해서
다나고 바늘은 귀 바깥쪽으로,
바다 바늘은 귀 안쪽으로 매어서 사용 합니다.
평생 붕어바늘을 귀 바깥쪽으로 매고 사용해도
목줄이 쓸려서 터진적은 없습니다
혹시 목줄을 덜 잡아 당겨서
헐거워서 풀린적은 있으나, 끊어진적은 없습니다.
붕어바늘을 귀 바깥쪽으로 묶어 사용하는 이유는?
챕질시 바늘의 각도가 넓게 벌어져서
입걸림이 더 잘 된다고 생각하고
평생 사용하고 있습니다.
뒤로 묶었을 때는 바늘 귀가 앞으로 나오면서 바늘 끝이 뒤고 가는 상황이 많았고,
앞으로 묶었을 때는 바늘 귀가 앞으로 덜 나오고(줄이 받쳐주면서)
바늘 끝이 살짝 앞으로 또는 줄 방향 그대로 나오는 상황이 많았습니다.
찌승전결님이 말씀하신 원리가 작동하는 것이죠.
S모그님이 올려주신 그림도 보시면 이해 가실 겁니다.
바늘의 각도의 차이나 힘을 받는 느낌의 차이.
그리고 바늘 귀가 어떤 방향으로 꺾여 있는지도 보시면 알 수 있고,
물론 조구사의 묶음 바늘도 모두 앞으로 묶여져 있죠.
다만, 묽은 미끼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원리가 중요하게 작동하여 후킹에 큰 역할을 할 수 있겠으나,
미끼가 끼워진(또는 둘러쌓인) 상황에서는 그런 원리가 크게 작동은 하지 못하게 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후킹 후 물고기에 의해 바늘 끝이 이러저리 흔들린다고 가정하면
어떤 경우가 라인에 더 쓸릴지 충분히 예상해 볼 수 있고,
어떤 경우에 바늘 귀가 라인에 지지하면서 힘을 더 받으면 랜딩할 수 있는지는
충분히 예측이 가능한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