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선입수때문에 당겼다가 찌가서게되면 낚싯대를 놓는다고 하시는데..
당길때 떡밥이안풀어질까요? 그리고 원줄이 팽팽하게 긴장이안되어있지않나요?
한가지더 여쭤보고싶습니다
두칸반에서 세칸반정도쓰구요 카본2.5호줄에 노지만 다닙니다 수조찌맞춤으로 케미보일랑말랑약간노출했습니다
유동에 방랑자채비를 쓰고있는데 찌를 보고있어도 모를정도로 미세하게 오르락내리락하다가 멈춥니다
바닥이 경사가있겠거니 대류가있겠거니 생각하려해도 볼수가없으니 찝찝합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원줄의 직진성이 높으면 좋겠지만 높다고 좋은것만은 아닙니다 대류의영향,바람의영향등 찌가 움직일 염려가 있기에 적당하면 됩니다. 또한 사선입수를 막았다고 해도 원줄의 홋수나 재질에 따라.. 찌~초릿대 사이의 원줄의 무게로 인해 처짐현상이 생겨 약간의 사선입수가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카본 3호이상을 쓰신다면 어느정도는 각오하셔야 하지만 낚시에 크게 지장을 줄정도는 아닙니다
오르락내리락에 대해선 다음분에게 패스 ~
음... 케미가 보일락 말락이면 무겁게 마춘건데 그럴려면 왜 방랑자를? 미생물이기도 하지만 붕어가 왔다가도 모르겠는데요~
현장찌맞춤을안해서 영찜찜했는데 다음출조에는 꼭해야겠네요
사선입수를 방지하기 위한 좋은 습관인것 같습니다 하지만 구지 하지 않으셔도 무방하며
실제로 물에 봉돌과 미끼가 들어갈때에는 봉돌이 먼저 바닥에 닿고 미끼가 나중에 닿게 되므로
사선입수가 되더라도 입질 전달하는데 큰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질문2 : 무거운 찌마춤에 찌가 미세하게 요동친다
당연한 현상이겠네요 ^^*
방랑자채비 찌마춤은 주간케미와 수면일치 하라고 나와 있습니다만 실제로 사용해본 결과
주간케미 중간이나 케미고무중앙과 수면일치시켜야 보다 예민하고 정확한 입질이 표현됩니다
처음 예신이 올때 흔히 깔딱 하고 아래로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오는데 이는 윗바늘에 반응한
것이며, 그 뒤로 살짝 들리듯이 한마디 정도 올라온 상태로 있다가 본신때에는 주르륵 하고
찌가 올라오는 것이 방랑자 채비의 정확한 입질표현입니다.
헌데, 무거운 찌마춤으로 인해 찌를 올리지 못하고 계속 깔짝대다가 끝나게 되는 것이죠
올라오더라도 무서운 속도로 올라오던가 혹은 아래로 끌어가던가 하는 무식한 입질로 표현
될것입니다.
목줄달린 바늘이 먼저 내려감
책 티비방송 실험 결과
미끼닿고 봉돌이 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