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순이를 잡을수만 있다면 그어떤채비여도
다따라서하고 돈이 들어도 줄부터 다뜯어 다시채비하고 ᆢ그러기를 몇회하니 저절로 돌고돌아
결국 기존 바닥채비로 왔습니다.
옥내림이다 사슬이다 스위벨이다 등등등
월척서 활동하며 글로도배우고 그래도 안되면
직접채비만들어준거 그대로 달기도 해보고
별짓 다해가면서 느낀건 헛된 5짜꿈
에 털린 저의 빈지갑입니다.
그래서 여쭤보는건데 이것저것 다떠나서
영점 찌맞춤에 최상의 줄호수와 찌는 어떤게 나을까요?
수초에서 주로대를 널고있습니다
추천좀요
마지막이라 생각하고 단순영점맞춤으로 편하게
걸림없이 바닥낚시 해야겠습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2호줄쓰는데 일부러 수초에 걸려도 잘터지라고 한거고요 찌역시도 무거운것보단 가벼운게 마릿수조과가 좋던데요 저의경우엔요
뗏장 갈대 등지에서 주로하는데 위 거론한채비는 어지간히 걸려야 말이죠
그나마 원봉돌에 외바늘로 5센치내외가 가장조과좋고 걸림없고 좋더라고요
그래서 줄 호수와 모노? 카본? 찌는 어떤찌가 바닥채비에 가장좋을지 원론적으로 여쭤봅니다
그리고 아직 초짜에 지나지않는지라 앞으로도 계속 바뀔수있겠다 생각하지만, 그래도 지금이순간 최소한 올한해는 귀찮아서라도 바닥채비세팅후 안뜯을겁니다
결론은 원줄 2.5호 내외
4호~5호 봉돌 캐미 딸깍 맞춤
외바늘 그
요즘은 이렇게해서 다닙니다
아주 속편해요^^
부력조절이 가능하여 찌하나로 다양한 기법 구사가 가능하고
용도에 맞는 찌톱 교환도 가능합니다.
한 두개 구입하여 사용해보시고 판단하시면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합니다.
근데 사용법을 잘모른건지
옥내림이든 대물이든 잘안되더라고요
다만, 부레찌는 자유롭고 신속한 부력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채비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이지요.
제 경우는 원줄과 핀크립을 팔로마 매듭으로 연결하고
핀크립에 고리봉돌을 연결하는 방법을 쓰고 있습니다.
부레찌는 대물채비를 기준으로 기존으 풍덩 채비(수조 바닥에 6~7초 후 안착)로 맞추고
예민한 낚시가 필요할 경우는 부레를 뽑아가며 채비를 가볍게 하고
옥내림이나 옥올림을 할 경우는 대물찌톱 대신 가벼운 마스터찌톱을 삽입합니다.
이렇게 하면 채비가 현격히 가벼워져 봉돌을 원하는 높이까지 띄울 수 있어
채비운용 자체에는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그 다음 입질 여부는 붕어 맘이죠....
20대부터 55대까지 동일 세팅입니다.
잔챙이는 잔챙이대로 큰놈오면 땡큐
지금같은 봄철은 12호로 43까지잡고 즐기고있네요
결국 돌아오는데 이렇게 시간이 많이걸리네요 ㅎ
즐기는낚시하세요^^
잡혀도 좋고 안잡히면 힐링이고 낚시대도 5 ~7 대만 셋팅~ 40대 까지만 사용합니다~~
낚시에 무리하지 않고 그냥 즐기면서 낚시하는 스타일 입니다~~
그래서 맨날 꽝~
즐낚하세요~
원봉돌 표준찌맞춤 아주 편안 합니다
조과가 어쨌든 스트레스가 없어서 좋습니다
원줄 그랜드맥스 2.5 ~ 3호 목줄 케브라합사 2호 찌는 비교적 가벼운 동원작이나
죽향라텍스 씁니다
목줄 15센치 케브라 붕어 9호
봉돌 5.6호
캐미 딸깍 으로 사계절 합니다.
잡힐건잡히고 안집힐건 안잡혀요.
그래도 채비스트레스 제로요
적당합니다.
찌맞춤은 풍덩에서 영점까지...
참고로 전 푹잠겨서 보이지 않는
무거운채비를 씁니다만...
목줄은 상황에 따라5~15cm까지
씁니다...보통은 10cm내외...
예술찌올림 자주봅니다.
올릴녀석은 올린다는
믿음을 가지세요!
올해도4짜 3수 상면 하였습니다!
건방진 말씀같지만...
상술과 3치 혀에 흔들리지 마시고
붕어를 믿으십시요!.
기분이 상하신분이
계시다면 죄송합니다.
조과는 어떤분들보다 우세하다고 자부합니다
저또한 많은 채비 사용해 보았습니다 1대 찌맞추는 시간은 엄청들어요 캐미 꼽고 캐미끝 이말을 이해하셔야 합니다 가라않았다가 천천히 수면에 일치하느냐 내려가면서 수면과 일치하느냐 조과는 다름니다 다대편성10대 1곳 2곳 입질 시원하게 들어 오는 대가있을 꺼예요 그곳은 정말 원하는 찌 맞춤이 완성된 대일 꺼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같은 찌로 세팅 하셔야 저의말을 이해하실꺼여요
였던것같습니다 저도 원봉돌과 채비변화 주면서 낚시하지만 수초권은 그냥 원봉돌로 해야 성질안버리죠
맹탕지역이나 예민한곳이나 예민한 시기때는 저는 구찮아도
채비 바꿉니다
그리고 많은분들 답변감사합니다^;^
제가 지난주주말 출조해서 간만에 찌올림 맘것 봤습니다. 역시 낚시는 찌올림이죠
원봉돌 바닥채비가 최고의채비라는걸
다시한번 느낌니다
회원님들 모두 대물하세요
어제부터 원줄 모노4호로 바꾸고 있습니다.
평생 한번 올까말까한 기회를 채비가 약해서 터뜨리는 불상사,이제는 없겠죠.
기존 바닥 채비로 왔습니다.
그래서 여쭤 보는 건데 이것 저것 다 떠나서
영점 찌 맞춤에 최상의 줄 호수와 찌는 어떤게 나을까요? 수초에서 주로 대를 널고있습니다 .
마지막이라 생각하고
단순 영점 맞춤으로 편하게
걸림 없이 바닥 낚시 해야겠습니다.
바닦 낚시/수초낚시 기준으로
먼저 최상의 줄 호수와 찌와 없습니다.
비르투오스님 만의 낚시 스타일에 따라 결정 되어 지는 것입니다.
수초 바닦 낚시라면?
챔질과 뜰채의 사용 여부에 따라서
원줄은 카본,모노3호~카본,모노5호가 적당하고, 5호라인 추천
목줄은 (카본, 모노)경심줄 한홋수 내려 쓰심 됩니다. 예)원줄 카본5호면 목줄 카본4호나 모노4호.
찌는 튼튼한 오동나무 찌를 추천합니다.
별짓 다해가면서 느낀건 헛된 5짜꿈
에 털린 저의 빈지갑입니다.
옛고서를 응용하면서
세간의 여러 사물은 대개 헛것인 경우가 많다. 초목 중에 작약은 꽃이 한창 피었을 때는 지극히 참되고 보배롭기 짝이 없다. 하지만 시들어 떨어지고 나면 진실로 허깨비일 뿐이다. 소나무와 잣나무가 비록 오래 산다 해도 수백 년의 사이에 지나지 않는다. 도끼에 찍혀서 땔감이 되지 않으면 또한 바람에 꺾이거나 벌레 먹어서 죽고 만다. 이 같은 종류가 그러한 줄은 모든 선비가 다 안다. 다만 유독 토전(土田)이 허깨비에 지나지 않은 줄은 아는 자가 드물다. 세속에서 밭을 사거나 집을 마련하는 것을 실답고도 든든하다고들 한다. 사람들은 토지란 것이 바람으로 불려버릴 수도 없고 불로 태워버릴 수도 없으며, 도둑이 훔쳐갈 수도 없어서 천 년 백 년이 지나도 없어지거나 손상되지 않는다고 여기므로, 무릇 이것을 마련하는 것을 두고 든든하고 실답다고 말한다. 하지만 내가 사람들의 토지 문서를 살피다가 내력을 조사해보니 매번 1백 년 이내에 주인이 바뀐 것이 문득 대여섯 번에 이르거나 심한 경우에는 일고여덟 번 또는 아홉 번까지 되었다. 그 성질이 가만히 있지 않고 잘 달아나기가 이와 같았다. 어찌 남에게는 가벼우면서 나에게만 오래 충성하기를 바라, 아무리 쳐도 깨지지 않는 물건이 되리라 믿는단 말인가? 창기나 노는 여자는 여러 번 남자를 바꾼다. 그런데도 내게 이르러서는 어찌 홀로 오래도록 나만 지켜주기를 바라겠는가? 토지를 믿는 것은 창기의 정절을 믿는 것일 뿐이다. 부자가 넓은 땅에 밭이 잇대어 있으면 반드시 뜻에 차고 기운이 성해져서 베개를 높이 베고서 자손을 살펴보며 이렇게 말한다. “만세의 터전을 내가 너희에게 준다.” 하지만 예전에 진시황(秦始皇)이 호해(胡亥)에게 전한 것이 이 정도에 그치지 않았음은 잘 알지 못한다. 이 일을 어찌 족히 믿겠는가?
라인: 카본 2.5호 목줄 케브라 1호 또는 0.75호,
찌: 부력 3.2g 20~52대 까지 동일
봉돌: 핸드피싱 유동봉돌 , 매듭을 하나 줄이기 위해 유동봉돌 사용
찌 맞춤: 캐미달고 캐미 머리까지 맞춤 => 캐미 고무까지 맞추면 바닥에 닿은건지? 뜬건지 구분하기 어려워 케미 머리 까지 맞춥니다.
채비 마지막에 핀클립 하나 달아줌, 바늘 교환 빠르게 하기 위해
쌍바늘, 외바늘에만 변화주고 동일하게 사용합니다.
잠깐씩 지렁이 옥시기 외도도 해보았지만 그냥 다시 떡밥으로 턴했습니다
사람마다 취미가 틀리듯이 같은 붕어조사들도 취향이 다들 다르십니다
4짜가 목표인 분들도 게시고. . 멋진 좌판 쫙깔아야 흡족한 분들도 게시고.. 지인분들과 어울리면서 출조의 즐거움을 만끽하시는분들도 계시고..
멋진 출조사진을 찍어와야 다녀온 느낌을 가지는분들도 계시고.. 그냥 외대 일침으로 만족하시는 분들도 계시고..
너무 만족감은 다양합니다..^^
그 만족감을 얻기위해 채비도 바꾸고 낚시대도 바꾸고 찌도 바꾸고 하시는거죠..
이렇게해도 저렇게해도 만족이 안되면 낚시라는 취미는 시들해진겁니다,,,ㅎ
만족감을 얻을 수 있는 채비로 하심 됩니다...^^ 아직은 붕어낚시 사랑하시네요...
돈과 시간만 빼앗기는 미친짓 이라는것을 3년전 깨닫고 원래 바닥 영점채비로 돌아 왔읍니다
요즈음 무슨 세미줄 등등 별의별 줄타령들 하는데 이역시 해보닌까 큰 효과가 없더군요
바뀐것이 있다면 목줄을 바다원줄 인세미플로팅 2호로 사용 한다는점 입니다
원줄은 나만의 수제* 에서 바다낚시용 에서 목줄로 사용하는 카본줄 3호를 사용. 합니다
60m 에 12000원 하는데. 2~3만원하는 시중의 수입카본 보다 저렴하고 튼튼하기때문에. 7~8년 전
부터 구매해서 사용합니다
붕어도 토종붕어가 좋듯이 채비도 본래것이 좋더라구요...
제 채비는 바닥이깨끗한 곳에서는 합사 5센치
저수지나 바닥이 지저분한 곳에는 경심줄(나일론.카본) 미끼는 옥수수 글루텐입니다 목줄이 길거나 짤거나 얄거나에 중심을 두지마시고 바닥상황을 먼저생각 하심이 어떨런지
항상 안출하세요
낚시는.낚시대를드리우면.어느곳이나무릉도원이요,낚시대를걷으면어느곳이나삶의안식처라생각하심이------
수초위주로 낚시를 하신다하니 더욱이 그렇습니다!
낚시가 어제 다르고 오늘이 다릅니다!
스트레스 받지 마시고 채비보단 차라리 붕어습성 연구하시는게 조과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요즘낚시보면 진짜 나올때까지 한자리 파는사람 아니면 거의가 정보력입니다! 오늘 나온데가 내일은 안나오지요!
자리에 앉아있는 시간이 많은 사람이 기회가 옵니다! 결론은 노지에선 채비보다는 지구력과 현장파악이 우선이라 생각합니다!
결국은 원줄4~5호 원봉돌 목줄 2,5~3호,케브라 및 모노줄,,이젠 어디가도 손맛이기보단 싸이즈 아닐까요?
휜님들 아직도 이런 생각들 하시요? 아니 낚시인이라면 누구나 포인트선정할때 이런생각들 한번씩은 할껍니다,,
초대박 날벼락 입질 받을수도 있다란 생각,,,,,하지만 매번 결과는 어떻습니까? 항상 같지않나요,,,
초저녁 쪼꼼 쪼다가 슬슬 잠들면 아침,,,ㅠㅠ
옆으로 말이 샛지만 말인즉슨 정통 바닥채비만큼 편하고 강한것과 스릴없다!!란말에 한표 던집니다
어차피 무엇을 하던 원조로 오게되있는것 같습니다,
원줄4호 목줄3호 고리봉돌8호 가마까스감생이5호바늘
고집인지 아집인지는 몰라도 전끝까지 이채비로갑니다
합니다.
배워도배워도안느는게 낚시인듯 합니다.
수조에 담궈서 캐미수면에 맞춤끝 좀 무겁게 맞추고 O링 두어개 추가 해서 사용중입니다.
예전에 봉돌 없어서 자동차보조키 매달아 풍덩 던져놓아더니 제인생 최대어 낚은적이 있습니다.
월줄은 2.5~3호 로 찌맞춤은 개개인마다 다르니 패스합니다.
3호 원줄에
목줄은 당줄2호씁니다
그래야 수초.바닦걸림 등에
원줄은 무사하게 되고
목줄이 잘려야 되는거. . . .
다 아시잖아요? ? ?
세상 편합니다.
원줄4호에목줄옥라인2ᆞ5호
감생이3호에서4호쓰죠
저 또한 그과정 거쳤죠... 7~8년 전에요....ㅋㅋ
그냥 가볍게 생각하세요
파고들어 봐야 그밥에 그나물 입니다.
이 채비 저 채비 해봐야 결국 양어장 또는 관리터에서나 약간의 효과가 있을까 그저 그래요
그냥 가벼운 맘으로 마음 비우시고 힐링하면서 낚시 하세요
결국 가벼워지고 얇아지는 것은 마음 과 지갑 뿐 입이다....^^
긴 낚시의 여정속 일부분이고
그러기에 낚시란 끝이없는 정답을 찾으려
고민하고 해보고 그러는거 아니겟읍니까?
비록 지갑은 비워졋어도
그로인해 배워진것이 있으니 ᆢ
최소한 본전은 되겟지요^^
저역시 동변상련이였기에
늦게나마 글보고 댓글남겨봅니다
다 아시듯 최적의 최상의 채비란 없읍니다
님께서 스트레스 안받는 채비가
최고의 채비가 될순있겟죠
물론 그것도 님에게만 적용입니다
원하는 대물 품으시고ᆢ
다시 지갑이 채워지면
또 다른 무엇인가를 찾겠죠
그 또한 낚시의 일부이기에 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