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하세요..
후 나름 바쁘게 지내다보니 낚시도 거의 가질 못하고 가끔 월척만 뒤적 거립니다.
일반적으로 떡밥 낚시는 2봉 채비 ( 좁살, 편대.전통 채비 등등) 가 보편화 되 있습니다..
저도 나름대로 위 방식이나 그에 따른 찌마춤 ,떡밥 운용 등등에 대해서는 많이 해 보았습니다만,,
올해 부터는 그냥 외바늘 떡밥 낚시로 전향 하려 합니다.
이유는 지인중 한분이 해보면 훨씬 깔금한 찌올림과 번거러움이 극복 된다고 하더군요,
일단 이론적으로 생각해 바도 더 깔금 할거라고만 생각 하고 있습니다,
다만 집어효과에서 좀 실이 있지 않을까도 생각 되서,, 첫 집어시 봉돌에 살짝 집어제를 달어서 투척 하는 방법도 생각 해 보았는데요 ,,그 지인분 말씀은 그런거도 하지 말라고 하십니다,
2바늘 채비에서 바늘 한개만 없애면 되지 않을까 합니다만,,
실전 경험이 없어서 아직 감이 안옵니다,
외바늘 떡밥 낚시만의 노하우,,찌마춤 ..미끼 운용..장.단점 등등 궁금 한게 많습니다,
떡밥 외바늘을 즐기시는 분이나 경험이 풍부하신 회원님들의 조언 부탁드려 봅니다.
올해 좋은 조황이 많이 이어 지는듯 합니다, 회원님들도 어복 충만 하세요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외봉의 장점 찌올림 깔끔시원 밥줄때 간단하다 체비엉킴 줄어든다 기타등등 많이
있는거 같습니다
옷에 바늘걸려도 잘빠집니다 ^^
외바늘에 초기집어시 조금 크게달아서 하다가 작게하는 편입니다...
찌올림 양바늘보다 이쁩니다...
집어에 밀린다면 조금더 부지런하시면 될겁니다...
아무쪼록 이쁜찌올림만끽하시고...
즐건 출조하시길바랍니다...
경우에 따라 예민한 입질을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바늘 하나로만 새로 찌맞춤 하시는게 맞을 듯 싶군요.
바늘하나 무게에 따라 찌올림 폭이 차이가 납니다.
찌맞춤을 예민하게 했을경우 바늘하나 제거해버리면 부력차이가 많이 납니다.
얼마전에 동절기 2바늘 달고 케미가 다 나오는 찌맞춤을 한것이 바늘 하나 제거하니 찌가 반톱정도 올라오더군요
한대, 외낚...
두세대 펴는 것보다 지나고 나서 보면 조과도 나은 듯해요.
많이 펴면 헷갈리고, 바닥 파악도 그렇고, 바쁘기만 하더군요.
대물 한방을 노리면 많이 펴는 게 이해가 되는데,
떡밥은 어수선하기만 하더군요, 저 개인의 취향입니다.
괜히 욕심만 부리는 것 같기도 하고...
하여간, 편합니다.
허나...
외바늘 쓰실이유가 없다고 봅니다...
깔끔하다....확실하다....등등의 차이는 바늘이 하나냐 둘이냐의 차이는 아닌듯 싶은데요...
이유는 다름아니고 입질이 깨끗하다는 표현을 사용하시는데 제가 봤을땐 어떤것이 깨끗한 입질인지 모르겠네여(내공부족)
초짜라서 전 그냥 둘중에 하나는 붙이 있겠지하는 안도감에 양봉을 사용합니다
단지 심리적 안정감 이죠
목줄길이- 10센치내외,더길게 하면 찌올림이 더 좋은것 같음
장점 - 목 줄이 꼬이지 않음 , 붕어를 잡을때 나머지 한바늘에 찔리지 않음,
단점 - 집어, 한꺼번에 두마리 못낚음,
한바늘이나 두바늘이나 조과의 차이는 거의 없다고 생각 합니다. 포인트나 떡밥운용술에 차이일 뿐.
이상 개인적인 생각이었습니다.
원줄굵기 목줄의 부드러움 바늘의크기 찌의모양 그리고 가장중요한 떡밥운용술에 따라 찌오름이 아주 달라집니다
물론 자연현상은 배제하구요
32칸 기준 찌는 80cm전후 몸통은 부력이 집중된 둥근것보단 유선형의 좀 길죽한것이 훨씬 부드럽고 많이 올립니다
봉돌은 주로 5-6호정도 분할봉돌을 사용하며 아래 좁쌀은 B- 2B사이로 사용 원봉돌과의 거리는 3-40cm 정도두며
원줄은 붕어는 그랜드맥스fxㅡ1.7호 잉/향어는 2호사용합니다 (떡밥낚시대 )
목줄은 7cm정도에 1.5- 2호 스파이더합사 바늘은 지누 (A1토너먼트 아부미)1-4호 (붕어는 1-2호 잉향어는 예민할땐 3호
큰거노릴땐 4호 주로 3호 사용)
검**님사용채비와 비교해보시라고 써봅니다
찌맞춤은 캐미꽂고 바늘은 제거한 상태로 잔잔한 날엔 캐미꽂이 하단 자연현상에 신경써야할 날엔 캐미꽂이 상단에서
캐미중간정도 그리고 잉/향어엔 캐미 중간정도에 맞춤니다(2호이상 원줄사용시엔 제찌맞춤이 맞지않습니다 채비가 원줄에
영향으로 끌려옴)
외봉사용시 바늘의 무게는 고려하지않습니다 왜냐하면 바늘은 고기입속에 있으니 찌오름에 영향이 없다생각되며
혹 바늘의 무게감으로 고기가 뱉어내지않을까 생각도 하지만 그것보단 바늘의 이물감때문에 뱉어낸다 생각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가장중요한것은 떡밥운용술이 아닌가 합니다
손으로 만져지는 떡밥의 느낌이 아주 좋은날일수록 찌오름이 아주 좋은거같습니다
너무 딱딱하지않으면서도 고기입속에 오래 오물거릴수 있도록 하는것 이것이 찌오름을 높이는 요소라 생각합니다
부슬부슬 촉촉 그러면서 한두번의 누름으로 바늘엔 잘 붙는 떡밥 양파껍질처럼 조금씩 잘 풀리면서도 오래 바늘에 붙어있는떡밥
예신 입질이 오면 대에 손만대고 찌오름을 즐겨보십시요 기다리면 생각보다 정말 많이 올립니다.
제 채비는 많이 잡는 채비가 아니라 찌오름을 즐기는데 중점을 두고있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시길바라며
건강하시고 어복충만하십시요^^
찌올림은 그때그때 낚시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것 같아서 그냥 이봉채비 쓰고 있습니다.
외봉채비 확실한 방법 터득하시면 월척에 공유해주세요~ ^^;
찌 환상적을 올라옵니다(찌는 나루예 녹수 씁니다.)
올해 외바늘 시도해보고 경험담이나 느낌점 등등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 합니다
효과봅니다
집어를 어떻게 하느냐가 더 중요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