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님들 대목 입니다. 마음은 이미 물가에 있네요...
본론으로 들어가서..
최근 몇년간 떡밥낚시 위주로 했습니다.
노지든 양어장이든 떡밥은 차에 항상 넣고다니고 짬낚시 위주로 하다보니 자연스레 그리 되었습니다.
원줄은 떡밥낚시 기본으로 노모줄로 계속 사용 하였는데 요즘 카본줄을 한번 사용해 볼까 생각이 듭니다.
지금 채비는 노모 1.5~2호,다루마형찌,분납, 스위벨, 편대 등으로 맞춰져 있습니다.
원줄을 카본으로 바꿀때 장단점 문의 드립니다.
1. 노모와 카본의 찌올림 차이 (비슷한 조건에서.. 예:노모2호 카본3호)
2. 카본줄 바꾸면서 찌도 바꿔야 하는지
3. 바꾼다면 노모2호 기준 카본 어떤호수가 적합한지
4. 떡밥낚시 위주의 카본줄 추천 해 주세요.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노모"가 아니고 "모노"입니다 모노줄. . ^^
읽어면서 첨엔 오타인줄알았는데 계속 노모로 표현하시길래 잘못 아시는거같아 알려드려요^^
양어장은좀...모노로가심이...^^
떡밥낚시 원줄은 되도록 가늘고 가벼운 노모줄(ㅎㅎ)이 유리합니다.
하지만 노지에는 대류와 바람 수초등 원인으로 안정적인 본카줄(ㅎㅎ)이 유리합니다.
채비가 예민할경우에는 원줄의굵기도 대가 길어질수록 영향을 주기때문에
찌맞춤도 대가 길어질수록 좀더 무겁게 해줘야하지만
일반 전통바닥채비에서는 무시하고 즐기셔도 좋을것 같습니다.
저도 노지에서 모노줄만 쓰다가 카본줄로 갈아탔는데 만족스럽습니다.
그리고 양어장에서는 모노줄 1.2호 이하만 사용합니다.
떡밥찌는 줄에 따른 차이는 없구요.
찌맞춤만 예민하다면 모노나 카본이 별차이 없어 보이구요
카본줄이 퍼머 나지 않고 물에 뜨지 않고 대류에도 안정적인 편이라서 카본 2호줄 추천합니다.
찌부력은 3호 이상 사용하시면 좋을 것 같고요.
노지에서 1~2호 부력 찌들은 사용하기 좀 불편했다는 기억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별생각 없이 노모필라멘트 인줄 알았네요. ㅋㅋ
"모노필라멘트"로 정정 합니다.
같은찌를 사용할때 모노와 카본줄의 찌올림의 차이는 어떨까요?
원줄 카본 4호에 목줄 모노 3호 10 cm 주고 본봉돌에 목줄 연결 입니다..
찌길이 30 cm 부력 5호 정도의 조건에서 멋진 찌올림 수도 없이 봤습니다..
모노줄은 손맛터나 1.2호 줄 이하로 쓰시면 됩니다.
노지나 관리형저수지 자비터등은 카본 1.7부터-3호까지 골라서 사용하시면 될거같습니다.
참고로 전 노지만 다니기때문에 카본 2호줄만 씁니다. 1.7 카본줄은 자비터나 관리형저수지 같은데 가면 예비로 쓸대도 있습니다.
길이에 따라 원줄 홋수를 달리 해
주시면 좋아요!!
예를 들자면 1.7~2.9까지는카본사 2호
3.2~3.6까지는 2.5호
40~이상은 3호
전 노지에선 카본사만 씁니다
노지 떡밥낚시에서는 카본사나 모노
필라멘트나 입질의 차이는 육안으로
못느낍니다
문제는 찌맞춤이지 원줄의 차이는
아니라고 생각 되네요
물론 아주 미세한 차이는 나겠지만
그차이로 인해서 조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고 봅니다
건강 하세요~~^^
유료터같은경우는 정밀한 찌맞춤으로 모노사 사용하시는게 좋을듯합니다만
노지같은 경우는 카본사 스시는게 좋을 듯합니다
윗분 말씀처럼 모노사 카본사 조과면에서 크게 차이나지않을듯합니다
찌올림은 크게 다르지안을듯요 찌맞춤을 어떻게하느냐에따라 틀리겠지만
카본1.7~2호정도면 무난하지안나싶습니다 노지맨땅 조건하에
제가 낚시 초보는 아니기 때문에 다들 하시는 말씀 잘 알겠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구요 참고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안출 하시기 바랍니다.
아주 기본적인거만 생각한다면 고부력찌를 쓰고 계신다면, 원줄은 무거운(비중이 큰) 카본원줄을 쓰셔도 됩니다.
찌부력이 낮을수록 봉돌에서 찌까지 안착 상태가 90도 각도를 벗어나 경사도가 심해지구요.
원줄길이가 길수록(원줄 무게가 가중될수록) 봉돌에서 찌까지 안착 상태가 90도 각도를 벗어나 경사도가 심해지구요.
원줄의 비중이 높을수록(원줄 무게가 커질수록) 봉돌에서 찌까지 안착 상태가 90도 각도를 벗어나 경사도가 심해집니다.
이 경사각이 커질수록 찌가 움직일때 수직상승을 벗어나 살짝 옆으로 움직이면서 찌 올림이나 찌 내림이 생김니다.
스모그님 말씀은 아주 과학적, 전문가적이라 너무 맞는말이긴 합니다만 붕어잡는데 저정도는 안하셔도 됩니다.
알고 있으면 좋을듯 하다고 느끼시기만 하시면 될듯... 하지만 극도의 예민한 상태의 붕어입장이라면 한번 써볼만 하다고 여겨집니다. 즐낚하세요...^^
채비는 원줄 카본 2호. 사슬채비3호
붕어바늘 7호. 목줄은 합사로 된 기성품사용했구여
찌올림도 좋았구여
3시간정도에 약 30수 정도했구요
낚시대는 2.5칸대 한대로 거의했구요
카본줄도 아무런 어려움없드라구여
항상 즐낚하시길...
찌를 팍팍 올려주는 상황에서는 모노나 카본이나 다 잘 잡힙니다.
하지만 두마디 이하로 미약한 상황에서는? 모노가 최소 한마디 이상 더 올려줍니다.
카본줄이 움찔거리고 끝날 때 모노는 한마디 정도 찌가 올라오니 그 한마디를 놓치지 않고 챔질해준다면 특정한 상황에서는
카본줄은 꽝조과 모노줄은 대박조과의 차이를 내기도 합니다. 특히 중국붕어나 떡붕어 밤낚시 상황에서 이렇게 미약한 입질 상황은 흔합니다. 자주 다니는 낚시터가 중국붕어, 떡붕어 비중이 낮지 않다면 모노줄 사용을 권합니다.
주로 수초권에서 토종붕어 대상으로 낚시하는 분들은 물론 카본줄을 사용하는게 더 낫습니다.
모노줄의 단점은 가벼워서 대류에 더 약해 잘 흐른다는 점입니다. 대류가 있어서 찌가 흐를 땐 모노 대신 카본줄 1.2호 정도로 쓰는게 좋다고 합니다.
모노줄을 사용할 때 주의해야할 점은 1.5호 이하로 가는 줄을 사용해야하며 그러므로 만원 이상의 강도가 좋은 고품질의 줄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잘 늘어나는 저렴한 모노줄은 차라리 안 쓰는게 좋습니다.
수심이 얕은 곳에서 할 경우에 모노줄은 가볍기 때문에 초릿대에서 찌까지의 뒷줄이 가라앉기도 전에 찌가 안착되어 이 뒷줄이 물에 뜬 채로 낚시하기 쉽습니다. 물에 뜬 줄이 잘 안보이므로 이를 눈치채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손잡이를 들어주고 초릿대를 깊이 내려주어서 뒷줄을 잘 가라앉히면서 사용하는 습관이 들어야 합니다.
카본줄은 견뎌주나 2호줄도 약해요
그래서 카본2.5호줄로 떡밥낚시 예민하게 맞추고 쓰면되고
양어장에서는 카본줄 사용시에는 찌맞춤을 더욱더 신경써서 하시기를 바랍니다.
날이면 날마다 노지 대물 상면하는 것은 아닙니다.
터져버리면 환장합니다.
올해도 2호모노줄로 3차례나 노지 대물 걸었다가 다 줄 끊어져서
카본줄2.5로 전원 교체 했습니다.
카본줄이 두꺼워지면서 줄의 뻣뻣함이 채비정렬 등에 영향을 줄 수는 있지만,
찌 부력이 올라갈 수록 그 영향은 점점 적어집니다.
루어낚시처럼 루어를 띄우느냐, 가라앉히느냐, 감도전달에 주력하느냐, 입걸림에 주력하느냐와같은
직접적인 영향은 크게 없는듯 합니다.
대낚시에서 줄 선택은 미세한 영향은 있을 수 있지만, 어디까지나 취향적인 측면에서만
생각하고 굳이 머리가 아플 필요는 없는듯 합니다.
저부력찌 사용시에는 주로 떡밥낚시를 일때 모노줄이 최상이죠.
모노줄 원줄2호에 목줄 0.4 사용해도 4짜 대물도 큰 지장없이 걸어낼수 있습니다.
다만 한가지 원줄2호가 터진다면 낚시대 채비를 다시 정비 해야합니다.
일반적으로 낚시대에 원줄 3호에 고리봉돌에 바로 목줄합사2호나3호 일경우에 4짜가 걸리면 바늘이나 목줄. 원줄중 거의 40%이상 터진다 보면 될겁니다.
원인은 단순히 쿠션이 없다는것이 채비손실이겠죠. 고로 원줄과 목줄 연결시 받드시 회전고리를 부착하면 원줄. 목줄. 바늘등 채비손실이 월씬 덜하겠죠 이에 고무링이라도 부착된다면 엄청난 두배효과가 발생 될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