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 봉돌에 찌 맞춤은 살짝 쿵 정도 하는 채비입니다.(원 봉돌에 찌맞춤이 안됐을시 좁쌀 추가)
아주 가끔 관리형도 가고 좌대도 동출시 가끔 탑니다.
거의 대부분 노지입니다.
궁금한 점은 요즘 추세가 봉돌의 무게감을 줄이고 좋은 찌올림을 보기위해 목줄을 상당히 길게쓰시는 추세 같은데요.
목줄을 상당히 길게 했을경우 바닥이 맹탕인 지역이야 상관 없겠습니다만....
저 같이 노지에 갈대 혹은 수몰나무...부들 등등 장애물이 많은 자리에서의 긴 목줄 채비가 영 불편할듯한데요.
뭐 당연히 바닥도 상태가 좋치를 않다고 봐야죠
어떨까요?
바닥 상황이 별로 좋치 않은 노지에서도 긴 목줄 채비를 해볼만큼 메리트가 있을까요?

글로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기 난해해서, 그냥 간단히 그림으로 긁적여 봤습니다.
판단은 '프란'님께서 하시길.
* 목줄이 합사가 아닌, 모노(?), 나일론, 세미, 카본등과 같은 원통형 한가닥짜리 빳빳한 목줄을 쓰는 경우입니다.
입질없어 미끼교체 할려고 당겨보면 자주 붕어 걸려있는것보고
이제 수초지역에서는 짧은 목줄로 사용합니다.
그림까지 설명에 감사합니다.
그런데 그림에서 바닥상황이 똑 같다라는 조건하에서 짧은 목줄은 미끼가 감춰지고
이물질을 걸고 있을 확율이 높은가요?
똑 같은 바닥이면 짧으나 길거나 같지 않을까요?
전 현재 떡밥낚시에 합사로 목줄을 사용합니다만 긴 목줄시에는 모노줄 사용할거구요.
그리고 낮은수심(1m내외)에서 장애물(수몰나무,갈대,부들....등등)에 바짝 붙이고 싶을 경우
목줄 길이가 길어서 그만큼 바짝 못 붙일듯한데요
어떨까요?
더불어 목줄이 원줄을 휘감는 경우도 많이 생기고, 목줄이 직진성을 유지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서
입질표현도 생각하는 것 만큼 정교하게 표현되지 않는 경우가 많을겁니다.
합사목줄을 이용한 떡밥낚시의 경우 아주 미세한 입질까지 보려면,
바늘(바닥)-합사목줄(직립)-본봉돌(수중에 떠있게) ->이런식으로 본봉돌에서 바늘까지가 수직으로 직립해 있는 채비가 유리합니다.
합사의 장점은 부드러워서 흡입시 부드럽게 목구멍으로 빨려들어가죠.
하지만 단점은 위에 말씀 드린대로....
입질을 빠르고, 깨끗하게 받을 수 있는 기본요건은 미끼가 흡입하기 좋은 장소에 놓여져 있을때가 좋은 편이죠.
얼마전 고인이 되신 서찬수님도 깨끗한 바닥(미끼가 발견되기 좋은 자리)를 상당히 강조 했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미끼를 내리는 자리가 최소 일반적인 접시 크기 정도의 평편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으면,
차라리 낚시대를 접어버리던가, 수초제거기의 사거리 안이라면 갈퀴로 바닥을 소정량을 긁어내고 낚시합니다.
그 정도의 공간을 가지는 곳이라면, 목줄길이 몇센티 차이는 큰 의미가 없을 겁니다.
제 경험으로는 그 어떤 방식의 채비였던지 간에, 수십번을 던져서도 바닥에 안착시키기도 힘든 자리(청태많은 포인트 포함해서)에서는
좋은 조과를 얻어낸 기억이 별로 없습니다.
그런곳 보다는 차라리 맨바닥이 낫고, 차라리 가슴장화 신고 들어가서 찌 내리는 자리를 수초제거기로 긁어낸 후의 낚시가 나았습니다.
생각하시는 바가 있다면, 이래저래 현장에서 낚시로 그에 다른 조과로
이래저래 시험해보시는 것도 낚시의 재미중에 하나라고 생각됩니다.
한번 연구해보시는 것도 좋은 것 같습니다.
저도 나름 연구하며 낚시를 한다고 생각했는데...
조금은 더 생각을 하며 낚시를 해야겠습니다.
지금은 12센티 합사로 운영중입니다.
위 두조건의 차이는 후킹성공시 붕어입안 바늘이 걸리는
위치가 달라집니다. 8센티 길이의 합사에서는 윗주둥이
에 .. 12 센티길이의 목줄에서는 목구멍 안쪽 깊숙히 박혀
나오더군요. 8센티에서는 충분한 찌올림 후에야 후킹이
성공 12센티에서는 2마디 이하의 소폭 상승에도 무난한
성공확률을 보이는데...아마도 긴목줄로 인한 자연스런 흡입
때문이 아닐까 생각되네요.
위 두가지 조건속에 후킹성공 확률은 12센티에서 훨씬
좋게 나왔습니다.
각자의 채비를 현장에서 찌높이 따른 평균후킹점을 찾아야 합니다
목줄의 길이에 의한 챔질타이밍에 차이가 크므로
목줄길이 기준은 이 기준으로 보시면 되고
바닥 수초층의 구멍 찾기는 숙련된 던지기로 해결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목줄이 길고 짧음에 따라서 수초에 잠긴다 얹힌다는 것은 바닥의 환경에 따라서 항상 달라지는 부분입니다
물밑 작은 수초구멍에 정확한 투척이 관건입니다
주로 가는 필드는 경남 산남지애서 30분 내외 거리 저수지, 수로들입니다. 한 여름 수초가 축구장처럼 빽빽하게 자라있는 필드죠...목줄의 장단점은 그때그때 상황에 맞춰 합사,모노,카본 등을 바꾸셔야합니다.
합사사용시 10센전후로 사용하시고 모노줄은 12센티 전후, 카본줄은 15센치 전후로 하심이 찌올림및 입걸림이 좋습니다
요즘엔 이런 채비로 입질 받기가
어려워서 2년을 버티다가 요즘엔
찌를 가볍게 맞추어 낚시 하니까
이제야 입질을 받네요..
4호원줄에 합사 1.5호 목줄 길이는
생미끼 10cm치 옥수수엔 15cm치로
하고 있네요 그런데 입질은 받아서
붕어는 낚는데 2년전에 무거운 채비로
낚시 할때는 중후한 입질을 받았는데
가볍고 목줄 길게 쓰니까 중후한
입질은 보기가 힘들 더군요..
맹탕지역아니면 모노줄을 쓰는것이 유리하리라 생긱됩니다
합사~10센티.15센티에 바늘7호.목줄1.5호와2호 이런씩으로하고
모노.카본같은경우~15.20.25센티까지 묵어서 다닙니다 외바늘에 한봉돌채비구요
중요한것은 현장에가셨어 상황에맞게 사용하시면 무난할듯합니다.안출하세요~
맨바닥 카본줄 15cm
합니다
하지만 이게 항상 나쁜것만은 아니니 (역설적으로 늦게 보이기에 안정된 챔질이 되는 경우도 생기므로)
좋다 나쁘다라고 단정짓기는 어려운것 같습니다.
목줄의 재질이나 길이는 무엇을 목표로 하는데 도움이 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수 있다고 봅니다.
정확한 어신의 전달인지, 붕어가 느끼는 이물감을 최소화 하는게 목표인지, 지저분한 바닥사정을 극복하는게 목표인지에 따라
메리트를 갖는 경계점이 다르게 나올수 있을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