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배조사님들의 무탈함을 기원드립니다.
무더위 휴가는 잘 다녀오셨는지요...
휴가철 낚시하면서 갑자기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원봉돌만 써오다가 스위벨이니, 해결사니 몇가지 채비를 배워보고 있는중입니다^^조과는 계속 꽝이구요^^
제 채비는 3~4호 카본원줄에 합사목줄 사용합니다.
1. 얼마전부터 목줄을 한 20센치정도 주면서 가운데에 작은 좁쌀을 물려서 사용해 봤습니다. 부력은 0점맞춤이구요...
(좁쌀만 바닥에 닿게 하려고 해본것인데...글쎄요...)
1. 수심체크하는데 찌톱이 10~20센티 드러나있다가 한참있다가 가라앉은 후 수면과 캐미가 일치됩니다.
질문드리겠습니다.
1. 제가 부력을 예민하게 맞춰서 일어나는 현상일까요??
2. 아니면, 수심체크 시 처음엔 좁쌀이 바닥에 닿아있다가, 여러 원인에 의해서 원봉돌이 가라앉아 바닥에 닿아 버리는 걸까요??
속시원한 답글 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무더위에 항상 안낚즐낚하시고, 대물상면하시길 기원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처음엔 좁살봉돌까지만 안착됬다가
카본원줄의 침력에 의해 찌가 눌려 원봉돌까지 바닥에 안착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입니다
원줄홋수를 줄이던가, 아니면 세미플로팅으로 가던가
다른하나는 본봉돌까지 바닥에 닿지않도록 부력이 많이나가는 찌로 교환하는 방법입니다.
탈무님 질문하나만 더 드리자면...제가 선호하는 원줄홋수가 3,4호에 카본이며, 4~5호 부력찌를 계속 고집할 경우
목줄 가운데 좁쌀을 물리고 이 좁쌀이 바닥에 닿는 지점만 잘 찾아서 나중에 찌탑이 가라앉건 말건 신경안쓰고
낚수에 전념해도 문제가 없을까요??
찌를 끌어당겨서 그래요.
카본줄 2.5호로 가면
균형이 맞아가겠네요.
석천공님 말씀대로 카본 2.5호줄이면 해결되나요?? 반가운 답글입니다^^
원줄 0.5호 줄이는 건 얼마든지 할 수 있어서...^^
모노로바꾸세요
모노도 절번만좀 담구시면 쓸만해요
예민한채비해보시려
하시는거같은데
라인먼저바꿔보시는게 맞지싶네요
좁쌀크기도 조금 up시켜봤는데 똑같은 현상이 일어나더라구요^^
모노 등...원줄에 파마처럼 꼬이는게 어찌나 눈에 걸리던지^^
이번 주 주말에 여러 선배님 조언대로 다시 한 번 눈 빠지게 수심체크부터 부력조절 다시 한 번 배워가겠습니다~~~
좂할봉돌의 크기를 키우시는것도
한가지 방법입니다
좁쌀봉돌은 그 크기를 유지하면서
간신히 바닥에 닿을만큼 가벼운 찌맞춤을
하는것도 방법이겠으나
매우 까다롭고 내공이 필요한작업입니다
또한 채비가 안정적이지 못해서 싑게 흐를수 있습니다
카본줄 3~4호를 고수하면서
좁쌀봉돌 채비를 할때 좁쌀봉돌의
크기를 조금 키우시면 안정적인 채비가 됩니다
원줄 홋수를 내리고 분할봉돌 무게를 살짝 키워보세요 훨씬 안정적이며 카본줄에서 예민한 채비의 2단 입수는 어쩔수가 없네요. 입질 받는데 전혀 지장없으며 본봉돌은 떠있습니다.좁쌀만 가라앉죠
제가 하면 좁살봉돌을 더 큰걸로 싑게 편하게
가겠습니다. 좁살이 너무작아도 물의 탁도에 따라
덜가라않고 뜨고하니 1푼정도면 큰 무리는 없어 보입니다.
내꿈은5짜님..2단입수라고 하는군요^^또 하나 배웠습니다^^좁쌀만 조금 키운후 수심채크 및 바닥 잘 찾아 캐미가 가라앉건 신경안써도 문제가 없을까요??
불금 많은 가르침 감사합니다요~~~
카본사 2호기준 요즈리 2B인데 카본사 3~4호 쓰면 더 무거운 요즈리 3B~4B 쓰면 해결됩니다~^^
지금사용하고있습니다~~원줄카본3호에목줄모노2호사용중입니다~~
그냥 시간이 지나서 잠기는 찌 끝의 폭까지 감안하시어 더 올리시고 하시면
바닥 올림 채비는 별 상관이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편한 낚시가 좋습니다~
첫번째 수평찌맛춤을 하던 한목 맞춤을 하던 맞추시고
수심측정을 하신다음에 찌고무를 벌리지마신다음
찌고정시키고 다시투척을 하면 바닥에 쿵 하고 찍히는 느낌이 나실겁니다 그럼 그때부터 봉돌을 조금씩 깍으세요
깍고 던지고 깍고 던지고 해서 콩하고 떨어지게 맞추심됩니다
2중입수는 원줄교체아님 잡기힘들고요 2중 입수가 되도
입질 다 해주니 2중입수 되는만큼 찌를 더올려주시고 하세요 지금시기에는 전혀 상관없습니다
님이 입질을 못받으신건 님자리에 붕어가 안온것뿐입니다
김포님 댓글에 위안이 됩니다...'붕어가 안 온것뿐이다' 참 멋있는 말씀이시네요^^
견귀님..요즈리라는 게 좁쌀홋수인가요?? 제가 사용했던게 해동B인데요...
대박터치기님 제가 배웠던 스타일은 안 바꾸면서 다른 예민한 것을 흉내내려고 하는 어리석음을 범했네요...주말에 한번만 더 시험해보고 원줄을 바꿔보는 것도 고려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세미로바꾸시면 그런현상 절대안나와용 ~
집에서 찌 맞춤통에 해도 됩니다. 필요한 원줄도 물속에 다 넣구요....
분할채비에서 카본줄을 사용하시면 모노줄로 하실때보다 좁쌀이던 스위벨이던 더 커져야하지요..안정성때문에 그렇습니다..줄의 특성이 달라서..아무튼
카본줄3호로 원줄쓰시고 분할채비를 하시는데 찌가 점점 가라앉아서 수면에 잡히면 찌맞춤이 얼머나 무거워 졌는지는 알수가 없어집니다..
지금시기에는 활성도가 좋으니 별차이가 없이 올림입질을 보실수도 있겠지만..
분할채비라는게 예민한 채비로 가는길이기때문에 장점이 많이 사라집니다...차라리 편하게 원봉돌하시는게 더 좋아보일수도 있죠..
분할로 하는경우는 바닥이 고른지 수초나 돌맨이 혹은 홈이 파인곳에 봉돌이 닿아있는지도 알수있도록 신호를 조는 채비라서 가급적 그 장점을 살리시고 운용하시는게 옳다고 봅니다
증상이 그렇게 나타나는 이유는
어설픈 낚시꾼이지만 제가보기엔..카본줄이 가라앉으면서 초릿대쪽으로 당겨진거라고 봅니다
수직입수를 시켰을망정 차차 가라앉아 사선입수꼴이 되는거죠..찌의 부력으로 그나마 수면에 잡혀있는 상태구요..
이런 증상은 원봉돌을 한다한들 아주 없어지지는 않습니다
어느정도 안고 가야하는 카본줄의 숙명이라고 생각하는데..떡밥을 크게달거나 풀스윙을 하거나 할때 더 그런증상이 자주 나옵니다..
수심깊은 곳에서 풀스윙하지 않잖아요..
군계일학 성제현씨가 말하는 반스윙이라는 기법으로 이런증상은 어느정도 해소가 된다고 봅니다..
전 좁쌀을 물리는걸 선호하지 않아서 스위벨방식을 쓰는데 혹 수심이 잘못잡힌건가 분할봉돌이 바닥에 안 닿은건가 궁금하면 채비를 뒤집어서 확인을 해볼수도 있거든요..
주저리 주저리 말이 길었습니다..
그 상태 그대로 낚시를 하셔도 이시즌에는 충분히 낚시가 된다라고 보이구요..
하지만 분할채비를 쓰는데 굳이 그런상태로 낚실ㄹ 한다는건 비효율적이므로 차라리 원봉돌을 쓰겠다..혹은
윗분들이 말씀하시는 방식으로 밑 봉돌을 좀더 큰걸로 사용하면서 투척하는 방법을 조금 수정해보시는게 좋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항상 즐낚하시고 월이 하시고...도움이 되셨다면 좋겠네요
배불띠기님 내공이 느껴지십니다^^제가 쫌 잘못생각했었나봅니다.
어설프게 근본적인것 고집하면서 민감한 것 흉내내다가...주말에 눈빠진줄 알았습니다^^
원줄을 바꾸어보려고 생각중입니다. 배불띠기 말씀처럼 원봉돌에 충실하려고도 생각하고 있구요.
항상 안낚즐낚하세요~~~
저는 본봉돌만달고 찌탑전부노출이나 몸통 끝(정말 끝 )노출맞추고 원줄에 좁쌀봉돌 작은거 달아서 케미꽂이 노출로 맞추고 긴물줄 달고 좁쌀봉돌을 목줄중간에 옮겨 찝어줍니다 암튼 붕어는 만났네요
이모두 현장 찌맞춤입니다 생각보다 찌맞추기가 편해요 ㅎㅎ 안출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