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여름철 빗물로 많은 새물이 유입되면서 흙탕물이 되어버린..이런 경우를 흔히들 물이 뒤집혔다고 표현 하기도 하죠.
물이 뒤집힌 흙탕물이 된 곳에서도 입질 받을 수 있습니다.또는 물이 뒤집혀야지만 큰사이즈의 붕어를 만날수 있는 곳도 있구요.
꼭 이런 물에서는 붕어를 만날 수 없다!단정짓긴 힘들구요.보통의 경우는 가라앉은 다음 입질 볼수 있지만 다른 예외인 경우가 있는 소류지 나 포인트가 있을 수 있겠네요
흙탕물이 유입된것이라면 사실상 입질을 받기는 힘든것이 사실입니다 허나 입질을 못받는다 단정지을수도 없습니다
흙탕물에는 지렁이 미끼가 그나마 입질을 받기가 좋으며
밤낚시 보단 낮낚시가 유리합니다 또한 부들이나 갈대가 있는 쪽이 물색이 빨리 돌아옵니다 그러므로 부들수초나 갈대 수초가 있다면 그쪽으로 포인트를 삼아 낚시를 한다면 입질을 볼수 있지 않을까라는 짧은 소견을 말씀드립니다 단 아직까지 흙탕물이 유입되고 있다면 다른곳으로 출조 하심이 맞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흙탕물때문에 조과가 안좋아지지 않습니다
흙탕물이 가라앉으면 조과가 살아난다 하셨는데
정말 큰대박은 씨뻘건 흙탕물이 콸콸 쏟아질때 나옵니다 이때가 붕어가 큰 군집을 지어서 미친듯이 회유하면서 먹이를 탐합니다~~또한 지금시기의 비는 도움이 안된다고 하시는 분들도 많은데요 장소에 따라 다르며 수위가 불어날정도 즉 흙탕물이 내려올때는 이시기라도 굉장히 호재로 나타납니다 다만 호재가 될만한 저수지를 고를수 있어야되고 그안에서도 포인트를 어떻게 선정하느냐에따라 조과가 달라지겠죠~~
결론은 위의 사진에 조과가 안좋은것은 흙탕물때문은 아니고 다른이유가 있지않나 생각됩니다
참고로 올해설연휴에도 비가 적지않게 내렸죠 잠깐 이지만 저는 오름수위 특수를 누렸습니다 그외에도 많은비로 해빙과 동시에 오름수위 대박을 맞은적도 많이 있습니다~~ 물론 다른 의견을 내신분들도 충분히 존중하며 위견해는 저의 개인적인 의견임을 밝혀둡니다~
흙물이라해서 낚시가 무조건 퍼펙트 꽝이진 않습니다.
어떤 상황이든지 분명히 먹고 살아야 하기 때문에 입질은 해야 하구요.
흙탕으로 인해 특정 협소한 장소(머물기 좋은 곳)에 어군(어장)이 형성 될 수도 있습니다.
오히려 자리만 잘 찾아 앉으면 평상시보다 몇배의 조과나 평소에 구경도 하기도 힘든 초대물의 기회가 오기도 합니다.
하지만, 현장여건의 조합이 맞아 떨어져야겠죠.
꾼이라면 그것을 알아볼 수 있는 눈이 필요하고요.
낚시터에 가자마자 차에서 내리기도 전에 흙탕진 것을 보고 핸들을 틀어서 다른곳으로 가는 것은 정말 초보적인 실수 입니다.
경험으론 아무리 흙탕이져도 입질 받을수 있는 포인트는 분명 존재합니다.
하지만 그곳은 평소에 낚시꾼들이 좋아하는 굿 포인트가 아닐 확률이 매우 높다는 것이죠.
흙탕이 막차오른 수심이 10~20cm밖에 안되는 풀밭, 콩밭, 옥수수밭, 깨밭일수도 있고요.
흙탕이 엄청나게 타고 넘어가고 있는 무너미 바로 옆 석축일수도,
대량으로 물을 방류하고 있는 수문과 정반대 방향쪽 석축 코너 일수도 있습니다.
모험심이 필요한 법이죠.
지금 시기 빗물로 인한 흙탕물 유입은 따뜻한 남도권이 아니고는, 타지역은 악조건일 확률이 높습니다.
다른 포인트를 찾으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만...
물괴기는 살고 있을듯 해 보입니다.
이유인즉
붕어는 아가미로 호흡을하는데이러한흙탕물형태에서는 붕어들이 수면아래에서는
호흡하기가힘들기때문에 수면위로 떠올라 호흡을하게되므로
바닦층에서먹이활동을하기힘든조건이라보시면 될것같습니다
이러한연유로
낚시또한 힘들다는라는게 저의개인적인 경험상의 지론입니다
댐에서 오름수위전에 땅바닥에 낚시대 깔아놓고 물이오르기만기다리다가
낚시를한적이여러번잇었는데요
물론 입질을전혀받지못하는것은아니지만 오름수위가시작되어 흙탕물속에서 낚시를하는것보단
물색이 어느정도 나아졌을때의낚시조과가 훨씬좋았던기억이 있네요
보통이러한경우에 낚시터에관리인들에 전화를드려보면
흙탕물이 어느정도가라앉아야 조황이살아날것이라는대답을
들을수가 있었던것같습니다
저는 반대로 맑은물에대하여 몇말씀드리고자합니다
우리가말하는
물색
물색이너무맑아도 역시낚시가힘들다라는말씀들을하시죠
이유도 여러가지들을
말씀하시는데
장비가 물속깊이까지 비추기때문에 지렁이와떡밥을잡고있는바늘이 붕어눈에 보여서...등등
하지만가장큰이유는
물속에
붕어의주식인 플랑크톤이없기때문입니다
이렇게 플랑크톤이없어지게되면 붕어들의주식이 없으므로
먹이활동을 플랑크톤이풍부한곳으로 이동을하게된다는것이죠
조력이오래되신조사님들께서야 이정도상식은 다알고계실거라보고요
걸음마조사님들중만약모르고계신조사님이계시다면 참고가되었음하는맘으로
오지랍을떨어봅니다
그러므로 물색이 너무맑은곳또한
낚시를피해야할 장소중하나라는거 밑줄쫘~~~~악..ㅋ
어복충만하시길
물이 뒤집힌 흙탕물이 된 곳에서도 입질 받을 수 있습니다.또는 물이 뒤집혀야지만 큰사이즈의 붕어를 만날수 있는 곳도 있구요.
꼭 이런 물에서는 붕어를 만날 수 없다!단정짓긴 힘들구요.보통의 경우는 가라앉은 다음 입질 볼수 있지만 다른 예외인 경우가 있는 소류지 나 포인트가 있을 수 있겠네요
아가미로 호흡하기 때문에 흑탕물이 발생된 곳에서는 낚시가 힘듭니다.
굳이 하셔야되면 지렁이 구루텐파이브정도 입니다
흙탕물에는 지렁이 미끼가 그나마 입질을 받기가 좋으며
밤낚시 보단 낮낚시가 유리합니다 또한 부들이나 갈대가 있는 쪽이 물색이 빨리 돌아옵니다 그러므로 부들수초나 갈대 수초가 있다면 그쪽으로 포인트를 삼아 낚시를 한다면 입질을 볼수 있지 않을까라는 짧은 소견을 말씀드립니다 단 아직까지 흙탕물이 유입되고 있다면 다른곳으로 출조 하심이 맞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흙탕물이 가라앉으면 조과가 살아난다 하셨는데
정말 큰대박은 씨뻘건 흙탕물이 콸콸 쏟아질때 나옵니다 이때가 붕어가 큰 군집을 지어서 미친듯이 회유하면서 먹이를 탐합니다~~또한 지금시기의 비는 도움이 안된다고 하시는 분들도 많은데요 장소에 따라 다르며 수위가 불어날정도 즉 흙탕물이 내려올때는 이시기라도 굉장히 호재로 나타납니다 다만 호재가 될만한 저수지를 고를수 있어야되고 그안에서도 포인트를 어떻게 선정하느냐에따라 조과가 달라지겠죠~~
결론은 위의 사진에 조과가 안좋은것은 흙탕물때문은 아니고 다른이유가 있지않나 생각됩니다
참고로 올해설연휴에도 비가 적지않게 내렸죠 잠깐 이지만 저는 오름수위 특수를 누렸습니다 그외에도 많은비로 해빙과 동시에 오름수위 대박을 맞은적도 많이 있습니다~~ 물론 다른 의견을 내신분들도 충분히 존중하며 위견해는 저의 개인적인 의견임을 밝혀둡니다~
보통 상식적으로는 흙물이 지면 지렁이등 생미끼는 통한다 하는데 제가 주로가는곳은 흙물에 유속까지 있을때 글루텐낚시 잘됬습니다.
무작정 흙물이다 해서 안된다는법은 없고요,, 다만 수온 체크는 이시기에는 필히 하셔야할듯합니다.
어떤 상황이든지 분명히 먹고 살아야 하기 때문에 입질은 해야 하구요.
흙탕으로 인해 특정 협소한 장소(머물기 좋은 곳)에 어군(어장)이 형성 될 수도 있습니다.
오히려 자리만 잘 찾아 앉으면 평상시보다 몇배의 조과나 평소에 구경도 하기도 힘든 초대물의 기회가 오기도 합니다.
하지만, 현장여건의 조합이 맞아 떨어져야겠죠.
꾼이라면 그것을 알아볼 수 있는 눈이 필요하고요.
낚시터에 가자마자 차에서 내리기도 전에 흙탕진 것을 보고 핸들을 틀어서 다른곳으로 가는 것은 정말 초보적인 실수 입니다.
경험으론 아무리 흙탕이져도 입질 받을수 있는 포인트는 분명 존재합니다.
하지만 그곳은 평소에 낚시꾼들이 좋아하는 굿 포인트가 아닐 확률이 매우 높다는 것이죠.
흙탕이 막차오른 수심이 10~20cm밖에 안되는 풀밭, 콩밭, 옥수수밭, 깨밭일수도 있고요.
흙탕이 엄청나게 타고 넘어가고 있는 무너미 바로 옆 석축일수도,
대량으로 물을 방류하고 있는 수문과 정반대 방향쪽 석축 코너 일수도 있습니다.
모험심이 필요한 법이죠.
정답은 없는것 같습니다~
물색이 탁하고..맑고하면 최대한 수초대 빠짝 붙히는방법이
가장 효율적인것 같습니다.
수초대옆은 탁하면 정화 역활을...
맑으면 은신처 역활을...
저렇게되는두가지 요인이 있습니다
첫번째는 많은비로인한 오름수위 == 이때는 물빠진곳의 육초지대가 물에잠기면 거기에 붙어있는 여러 풀씨 곤충을 잡아먹기위해
육초지대로 고기가 몰립니다 그때 지렁이 미끼로 낚시하면서 노리는 모두가 다아시는 오름수위 특수가 잇씁니다
두번째 상류의 공사나 비없이 다른 어떤이유로 뻘물이 유입되는경우 입니다
이때는 수위 의 변동없이 물쌕만 흙탕물이 됩니다 저때는 오름수위 특수가 되질않습니다
오히려 낚시가 거의 않됩니다 붕어가 피하는것 같더군요 ㅠ
이렇게 두가지로 흙탕물색을 분류할수 있씁니다 참고하세요
개체수가 많고 적고 활성도 차이지. 며칠전에 완전 진흙탕 우유 수로에서도 준척급 손맛봤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