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 가는 저수지가 물이 깨끗한 곳인데 확실히 물색이 흐린 날 붕어가 나오고 맑은 날은 꽝이더군요. 거의 예외없이.. 아무래도 물색이 흐린 날 붕어들이 활동을 더 많이 할거 같기는 한데 물색이 흐려지는 이유, 맑아지는 이유가 뭘까요?
1.물색(탁도)이 좋아 좋은 조과를 거두었는데...
2.다음에 그곳에 가보니 물색이 맑아 입질이 전혀 없습니다.
3.물색이 맑은것은...
4.식물성 (플랑크톤)이 부족해서 입니다.
5.양수형 저수지에서 배수를하고 양수를하면 대부분 물색이 맑습니다.
6.양수한 수로의 물이 맑아서 그렇습니다.
7.반대로 물색이 맑았는데...
8.양수한 수로의 물색이 좋으면 물색이 아주 좋습니다.
9.물색이 좋은것은 식물성(플랑크톤)이 왕성해서 물색이 좋습니다.
붕어는 3급수 어종이라 적당히 지저분해야 빨리 자라고 개체수도 풍부하죠
3급수의 대물 보다도 1급수의 7치가 더 짜릿하지 않을까요
바다고기들도 플랑크톤을 따라 다닙니다.
민물고기도 식물성 플랑크톤이 많은 곳에 개체수가 더 많습니다.
민물낚시는 붕어를 잡기 위한 낚시다 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정도로 대상어종은 자타가 공인하는 붕어겠죠
1급수라고 함은 식수로 써도 무방할 정도의 물인데 과연 이런 물에 붕어가 있을까요?
계곡지에서 잡히는 붕어들도 1급수는 아닐뿐더러 3급수에서 공수해온 붕어들이 대부분일겁니다.
오염도와 탁도는 엄연히 다릅니다.
플랑크톤이 많아서 탁도가 높은 물이라고 해서 더럽거나 오염이 된 물은 아니라는 말이죠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