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밑밥달고 투척시 찌 가라앉음이요..

IP : c515bdc62c20777 날짜 : 조회 : 5873 본문+댓글추천 : 0

수심,찌맞춤 다하고나서 밑밥달고 투척시에 찌맞춤보다 한두마디 더 가라앉는건 찌맞춤이가벼워서 봉돌이 살짝떠있다가 밑밥무게로 더 가라앉는건가요? 아니면 밑밥무게로 사선입수때문인가요? 얼마전부터 미끼달고 던졌을때 찌가 더 들어가는 차이가 커졌네요. 부력이 적은 찌를 쓸때부터 그런건지...;;

1등! IP : c515bdc62c20777
투척하고 낚시대 들거나 당기면서 대를건들면 찌가 다시 올라오긴하는데 이렇게해도 입질에 괜찮은건지요.
추천 0

2등! IP : 30ac55b995b57cc
바닥의 요철, 사선입수, 뜬봉돌, 원줄에 찌 당겨져옴 등의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겠지요.
아무튼 찌 밑 바닥이 고른 경우이고 수직입수 만 이뤄진다면 부력이 아무리 가벼운 찌라도 봉돌이 바닥에 닿는다면 찌톱의 변화가 없거나 아주 적어야 합니다.
가급적 최대한 수직입수를 유도 하는 방법 중 하나로 찌맞춤과 수심 측정 단계 부터 채비 투입 직후, 원줄은 확실히 수면에서 가라앉게 하시고 대 손잡이는 코 앞으로 올리고 있다가 찌가 직립하고 찌톱이 절반 정도 가라앉을 즈음에 손잡이를 뒷받침대에 원위치 시킵니다. 대를 내 쪽으로 당겨 줬다 앞으로 미는 형식이지요.
그렇게 찌맞춤이 끝나면 떡밥 투척도 똑같이 해 보세요. 보통은 찌톱의 변화가 없거나 변화가 많아도 반마디 정도로 끝날 겁니다.그리고 입질을 기다리는 동안 찌톱의 변화가 슬금 슬금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는 원줄이 서서히 가라앉으면서 찌가 앞쪽(낚시인)당겨져 오는 현상이라 생각 하시면 됩니다.
추천 0

IP : 994a31b27f2ddb0
사선입수일 가능성이 큽니다

빈바늘 던질때와 떡밥달고 던질때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사선입수는 저부력찌일수록, 떡밥의 비중과 크기가 클수록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글루텐보다 어분류의 비중이 큽니다

사선입수일 경우 입질 받는데 오히려 유리할 수 있으나 빠는 입질이 나타나는 경우의 수가 크며
빨았다 밷을 때 나타나는 반동으로 찌가 올라와 헛 챔질 횟수가 늘어날겁니다.
찌가 올라온다고 무조건 떡밥을 물고 있지는 않고 반동일 경우가 종종 있으니
헛챔질에 스트레스만 안 받으시면 됩니다.
추천 0

IP : e8a0d1c35bc94e4
위와같은현상은 찌맞춤이잘못된것이아닙니다
우리가말하는2단입수라일컫는데요
이런현상은 찌맞춤이너무예민하여 생기는현상이라
할수있겠습니다
우리가흔히찌맞춤을할때
세가지요소만생각하는경우가 대부분일것입니다
바늘,찌,봉돌만을놓고본다면 위에서의찌맞춤은
잘못되었다고볼수없을것이며
여기서 놓치고가는한가지가있습니다
바로원줄입니다
원줄이입수를하면서끌어댕기는힘
바로그것이가장큰원인이라생각합니다
2단입수현상이있다고하여
조과에미치는영향은없다고 판단되며
제가설명드린 부분은 바닦이고른 형태에서의찌가입수되는것을 말씀드린것이며
또하나의
2단입수는
바닦에수초가많거나 그외의것으로 바닥이고르지
못해 나타나는현상일수도있다는겁니다
편납을이용하여 저수온기때사용하는 이중부력채비가
아니라면 대부분2단입수의 현상은 이와같은 원인이라할수있겠습니다
추천 0

IP : 1ede7e8a7e7f868
깊은 수심일 수록 편차가 더 심할겁니다.

해결책으로는 떡밥을 좀더 작게 달아보시거나
찰기를 덜 하게(부슬부슬하게) 하여 떡밥이잘 풀리게 하면 도움이됩니다.
추천 0

IP : 6057584970651ef
사선입수 보다도 찌맞춤이 너무 예민하지 않은가 싶네요.봉돌이 바닥에 닿는
찌마춤이면 미끼 유무에 상관없이 찌톱의 변화가 없지 싶은데요.사선입수는
수심이 깊거나 모노줄이 물을 먹지않을때 자주 보이는 현상이네요.
추천 0

IP : c515bdc62c20777
답변해주신 조사님들 모두 감사합니다. 덕분에 많이 배우고 알아갑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