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편납 홀더 채비를 많이 사용합니다...그런대 궁금한게 몇가지 있습니다..
제일 궁금 한것은 홀더의 위치를 스토퍼로 자유자재로 간격을 조절하는데 맨 밑부분에서 부터 홀더 간격을 얼마 정도 간격을 유지하는게 가장좋은지요... 두번째는 밑에 2호정도 되는 봉돌을 장착 하고 위에 홀더를 넣었서 사용하는 ..요즘 조사님들이 밑에 봉돌로 달지 말고 도래로 마무리 하느게 좋다고 하는데,,그말이 사실인지요??부력이 나가면 홀더를 두개로 넣으면 된다고 하구요....마지막으로 궁굼한것은 수심이 3m정도 깊은곳에서는 넘 예민한 체비는 오히려 역효과 난다고 하던데, 자체 대류도 많이 일어난다고하고 너무 예민한 채비가 않좋다고 하던데 맞는지요???
조사님들의 많은 조언 좋은 낚시 해보겠습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분산해서 썻는데요
의미는 별차이가 없읍니다
정말로 예민한곳이라면 차이가있겠지만
제가 봐서는 별반차이가없더군요
먼저 스토퍼...찌고무...스토퍼...스토퍼...홀더...스토퍼...스토퍼...홀더...스토퍼....팔자도래...바늘
처음홀더는 도래에붙여놓고 두번째홀더는 처음것하고 10~15센치정도 띄우고합니다
여름철에는 홀더를 두개붙여서 사용해도 상관없고
약간추운날씨에는 30~50정도 띄우고 사용하면 입질이 아주환상적입니다.
편납 도래 채비 방법에서 편납 홀더 하나 가지고 충분 합니다..두개 이상 장착해야 별 효과 없으시고요...오히려 원줄 손상의
큰 요인으로 작용을 합니다..그리고 제가 조금 실험을 해 보았는데요..만약 찌 부력이 약 4호 정도 봉돌을 사용하신다면
목줄 은 5cm 에 봉돌은 약 1.5호 정도의 봉돌을 달아 주시고 나머지는 편납 홀더에 편납을 달아서 부력을 맞추시면 좋습니다..
그리고 편납 홀더 간격은 활성도가 좋은경우에는 10~20cm 정도 이고요 활성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경우에는 30cm 까지
사용하면 좋으실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