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8호 바늘인데 굉장히 두꺼운 바늘을 쓰고 있습니다.
향어나 잉어가 물어도 줄이 터지면 터졌지 바늘이 펴지는 일은 없습니다.
다만, 붕어가 예민하게 굴면 바늘무게로 조과에 영향을 주지 않을지 약간 신경이 쓰입니다.
바늘 무게 때문에 조과가 달라질까요?
같은 호수 대비 무게는 적지만, 튼튼한 바늘은 뭐가 있을까요?
저의 경험상 바늘 크기나 무게는 미끼에 따라 그리고 채비에 따라 조금은 다르게 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새우나 참붕어 지렁이여러마리꿰기 를 할때는 바늘의 크기와 무게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것 같고요
떡밥나 옥수수 미끼로 할때는 바늘의 무게에 영향을 미치는것 같습니다 특히 떡밥할때는 가벼운 바늘을 선호합니다
바늘 무게는 조과에 심대한 영향을 끼칩니다.
그예를 소개한다면 산란기때 어느 낚시인이 잉어 를 연신 낚는데 바늘이 번번히 뻣는겁니다
초보자 같았구요 곁에서 구경하던 저는 보다못해 튼튼하고 무거운 바늘을 꺼내서 주었고 그낚시인은 연신 고맙다고 하며 그낚시바늘로
미끼를 달아 던졌는데 이제 절대로 바늘 뻣을 일은 없는거죠 이제 목줄이나 원줄 터질일 밖에 없는거죠,,,,,,,,근데 이런 ~ 입질 뚝 입니다
조금전까지 그렇게 왕성하게 입질하던 고기들이~
그래서 한편으로 조금 민망했습니다
좋은일하고 욕먹는다는 말이 이런때 를 말하는거구나~
늘 낚시해봐도 가벼운 바늘은 조황이 좋지만 무거운 바늘은 답답합니다.
중간지점의 무게에 어느정도 강도 까지 보장되는 그런바늘이 갑이라 생각합니다
내림 바늘 들이 가녀리고 탄성도 있고 입질도 잘합니다
그런바늘을 쓸때는 실리콘 오링 을 반드시 달아줘야만 어느정도는 버틸수있죠
바닥낚시에서 내림 용 바늘을 쓰기엔 무리가 있긴합니다
낚시대 자체가 내림대 만큼 유연하지 못하므로~
중층바늘은 바닥낚시 저리가라 할정도로 또 무지막지 합니다 특성상 미끼를 중층에서 안정되게 잡고있어야 하기 떄문에~그런듯합니다
어떻게 바늘 무게로 입질이 끊긴다는건 이해하기 힘든부분이네요. 바늘 크기보고 붕어가 건드냐 마느냐 문제인데
미끼의종류나 꿰임방식의 차이가 아닌 조과가 결정된다?
바늘의 무게는 입질을 받고 나서의 바늘이 안펴지고 잡히느냐 마느냐 즉 튼튼함의 이야기겠죠.
바늘이 조금 무거워졌다고 입질을 안한다는건 이해하기 힘듭니다.
채비가 무겁고 가볍고 여러가지 이유는 충분히 이해할수있고 그런 상황이 많았지만 여러바늘을 다수 사용해본 저로써는 도무지 이해하기 힘든 부분들이 있네요.
그것도 바늘이 중간에 떠있는것도 아니고 바닥에 올림낚시를 하는 붕어낚시에서
채비에 대한지식을 공유하고 또 배우면 분명히 기술적인 낚시가 될것이고 진보하는 낚시를 즐기게되리라봅니다 조과도 좋아지구요 근데 어째 낚시가 하면할수록 어려워지는 느낌이드네요 예전에는 그냥 재미있고좋았는데 지금은 낚싯대 선택부터 채비의정석 수많은찌 그리고 봉돌 캐미까지 스트레스투성이네요 ㅠ
고기 크기에 맞게 바늘 쓰면됩니다.
바늘이 작아도 큰붕어를 잡을수는 있지만 후킹이 제대로 안되거나 바늘이 펴지거나하면 정말 어이없잖아요.
바늘 종류도 많고 크기도 다양한 이유는 고기의 싸이즈와 입구조 아닐까요?
전 대물낚시 시작하면서 감생이 3호이하를 써 본적이 없습니다.
물론 작은 바늘이 붕어를 많이 잡는데 유리하다고 생각은 합니다.
무거운 바늘과 가벼운바늘에 따라 조과 차이가 있느냐? 이게 질문이신데
전 차이가 있다 라고 생각합니다
미끼가 떡밥이든 생미끼건 바늘이 크고 무거운건 그리 좋지 못하다 봅니다
어쩔수 없이 큰바늘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작고 가벼운 바늘이 효과적이라 봅니다
특히 떡밥 낚시의 경우 바늘이 크고 무겁다는건 물고기가 미끼를 흡입시 바늘의 저항값?을 무시 할수는 없다 봅니다.
우리가 주로 하는 바닥낚시의 경우 바늘은 서있는 것이 아닌 바닥에 눕게 된 형태로 놓여 있는데 물고기가 미끼를 흡입하는데 바늘이 무거우면
물고기의 흡입력으로 바늘이 안딸려 오는 경우가 발생 한다는게 저의 생각입니다
작고 가벼운 바늘 그리고 쉽게 바늘에서 미끼가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물성의 떡밥이 조과에 도움이 된다 봅니다...
바늘이 무거우면 바늘을 흡입하고 아무런 무계를 모르는 대어는 상관없지만 ,,,,흡입력이 약한 어종은 미끼만 삼키고 ,,,바늘은 그대로 두는 경우가 많이 발생합니다 원하는 어종의 입질을 보고도 정확한 찌올림을 몰라 챔질을 못하죠,,,특히 떡밥 낚시에 경우죠,,,좋은 바늘은 가볍고 강하고 날카롭습니다 ,,,물고기가 삼켰을때 가벼워서 이물감이 없고 ,,,날카로워 훅킹성공률이 높죠,,,주로 후진국에서 생산한 ,,가격이 싼 바늘이 그런것이 많더라구요,,
개인적인 생각엔 붕어가 바닥에 우리가 던져놓은 미끼만 있는것이 아니고 여러가지 이물질들(나무가지 모래등)이 있기에 붕어가 미끼흡입시 선택해서 먹을수 없으므로 흡입후 뱉기를 하리라고 생각합니다. 그과정에서 미끼와 바늘이 함께 입속에 들어가기 때문에 바늘이 붕어입보다 크다면 모를까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어떤때는 13호바늘에 바늘보다 작은 물고기가 입질해서 잡혀나올때가 있었습니다. 고로 큰 영향은 받지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생각합니다 새우나 참붕어 지렁이여러마리꿰기 를 할때는 바늘의 크기와 무게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것 같고요
떡밥나 옥수수 미끼로 할때는 바늘의 무게에 영향을 미치는것 같습니다 특히 떡밥할때는 가벼운 바늘을 선호합니다
참고로 저는 긴꼬리벵어돔 바늘을 쓰며 나름 만족하고 있습니다.
요즘 잘나오는 바늘 많습니다. 붕어가 걸려 펴지거나 부러지는 경우는 없었습니다.
http://vivafishing.godo.co.kr/shop/goods/goods_view.php?goodsno=92&category=010
바다 낚시 하시는 분들은 바늘이 무겁다고 민물 바늘 쓰시고....
민물 하시는 분들은 바늘이 약하다고 바다 바늘 사용 하시고~~~아리송 합니다~~ ㅋㅋ
어분과 글루텐 짝밥을 즐겨 쓰는데,
왠지 예전보다 조금 안좋은 느낌이었거든요.
오늘 바꿔서 도전해야겠습니다.
단순히 바늘이 무거운게 문제라면,
바늘무게를 감쇠 시켜줄 수 있는
물속에서 뜰 정도로 가벼운 미끼가 불티나듯 팔릴 것 같군요.
물속에서 뜨는 미끼종류는 상당히 오래전부터 팔려 왔었다는........
우리나라 최고 전문가중에 70-80%는 붕어바늘 6호를 쓰는 것으로 알고 있읍니다
예전 언젠가 ,낚시춘추 잡지에서본것으로 생각 됩니다
바늘 무게가 조과에 영향....
그렇다면 무게로 따졌을때 지렁이가 무거울까요..
떡밥이 무거울까요..?
조과가 신통치 않으면 이것저것 생각하게 되는건 맞는듯 합니다..
제 생각은 조과의 8할은 그날의 포인트 입니다.
바늘무게가 아니구요..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오해없으시길...
전 지누 3호 바늘로 무거운 찌맞춤 하고,
글루텐,옥수수,지렁이,새우,참붕어..
그날그날 랜덤으로 씁니다.
작게는 5치 부터 38까지 문제없이 찌 올리고 후킹 됩니다.
흔히 꾼들이 말하는 노하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첫번째로 중요한것은 포인트. 선장의 노하우가 필요하고
고기가 있는 수심층찾기................
고기가 없는곳에서 별수단을 다부려도 무용지물입니다. 즉 고기가 있는곳.. 포인트가 젤 중요합니다.
어부들의 채비는 정말 단순하고 투박하기까지 합니다. 그러나 조과는 대단하더군요.
감성돔은 하루에 천기를 열두번을 본다는 영물이라며 대단하게 여기기도 하지만 투박한 카고(원투)낚시에 낚시대를 가져갈 만큼
시원하 입질을 보여줍니다. 붕어도 마찬가지 릴낚시중 초릿대를 시원하게 가져가기도 합니다.
감성돔이든.붕어든 생선에 불과할뿐 그이상도 그이하도 아닙니다.
낚시를 하다보면 블루길등 잡어들이 종종 바늘에 걸려 옵니다. 귀찮을 정도로 자주 올라옵니다.
블루길 잘 잡는 채비도 아닌데, 붕어채비에 잘도 올라 옵니다.큰바늘에 잘도 물어며 후킹도 기가막히게 잘됩니다
블루길이 주 대상 어종이 되었다고 칩시다. 블루길 전용바늘. 전용줄. 전용찌. 전용채비....등등 수많은 조구용품들이 쏟아집니다.
월척에는 블루길 잘잡는 채비라며 여가지 채비와 찌맞춤법등이 소개되고 몇몇 상업적인 ***채비.@@@채비.하며
꾼들을 유혹할겁니다.
터센 배스터 옥수수 한알만 쓰니까 5호 6호 정도쓰는거겠지요.^^자연지에서는 7호이상 써도 요즘시기엔 크게 문제없다고 생각합니다.^^
그예를 소개한다면 산란기때 어느 낚시인이 잉어 를 연신 낚는데 바늘이 번번히 뻣는겁니다
초보자 같았구요 곁에서 구경하던 저는 보다못해 튼튼하고 무거운 바늘을 꺼내서 주었고 그낚시인은 연신 고맙다고 하며 그낚시바늘로
미끼를 달아 던졌는데 이제 절대로 바늘 뻣을 일은 없는거죠 이제 목줄이나 원줄 터질일 밖에 없는거죠,,,,,,,,근데 이런 ~ 입질 뚝 입니다
조금전까지 그렇게 왕성하게 입질하던 고기들이~
그래서 한편으로 조금 민망했습니다
좋은일하고 욕먹는다는 말이 이런때 를 말하는거구나~
중간지점의 무게에 어느정도 강도 까지 보장되는 그런바늘이 갑이라 생각합니다
내림 바늘 들이 가녀리고 탄성도 있고 입질도 잘합니다
그런바늘을 쓸때는 실리콘 오링 을 반드시 달아줘야만 어느정도는 버틸수있죠
바닥낚시에서 내림 용 바늘을 쓰기엔 무리가 있긴합니다
낚시대 자체가 내림대 만큼 유연하지 못하므로~
중층바늘은 바닥낚시 저리가라 할정도로 또 무지막지 합니다 특성상 미끼를 중층에서 안정되게 잡고있어야 하기 떄문에~그런듯합니다
찌 맞춤을 무겁게 하느냐ᆞ가볍고 예민하게 하는지가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둔탁한낚시는 대물한방위주
미끼의종류나 꿰임방식의 차이가 아닌 조과가 결정된다?
바늘의 무게는 입질을 받고 나서의 바늘이 안펴지고 잡히느냐 마느냐 즉 튼튼함의 이야기겠죠.
바늘이 조금 무거워졌다고 입질을 안한다는건 이해하기 힘듭니다.
채비가 무겁고 가볍고 여러가지 이유는 충분히 이해할수있고 그런 상황이 많았지만 여러바늘을 다수 사용해본 저로써는 도무지 이해하기 힘든 부분들이 있네요.
그것도 바늘이 중간에 떠있는것도 아니고 바닥에 올림낚시를 하는 붕어낚시에서
같은바늘을 쓰겠습니까.양어장은 보통 붕어바늘 6호-8호
대물노지낚시는 감성돔이나뱅어돔3-4호 등 또한
미끼마다 글루텐낚시는작은바늘 생미끼낚시는 큰바늘
보통다 그렇치 않나요?
단 약할뿐이죠 ㅎㅎ
작고 가벼운 바늘이 입질받을. 확율이.
휘얼. 높읍니다
본인이 맏고 쓰면 최고의 채비입니다
경험으로 늘고 만지면서 이해하고 등등~ㅎ
바늘이 작아도 큰붕어를 잡을수는 있지만 후킹이 제대로 안되거나 바늘이 펴지거나하면 정말 어이없잖아요.
바늘 종류도 많고 크기도 다양한 이유는 고기의 싸이즈와 입구조 아닐까요?
전 대물낚시 시작하면서 감생이 3호이하를 써 본적이 없습니다.
물론 작은 바늘이 붕어를 많이 잡는데 유리하다고 생각은 합니다.
고기 걸어 펴진적은 없지만 장애물 걸려 펴진적은 있습니다. 원줄과 낚시대 보호에는 펴지는 바늘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냥 본인께 익숙하고 편한채비에 포인트나 대상씨알에 따라 선호하는 바늘 쓰시면 됩니다
요즘 무슨 채비다 무슨 기법이다 상술에 현혹되지마시고 그저 웃어넘기시고 즐낚하세요
거기에 뚝에서잡은 지렁이 많이끼워서 하실때보면
그땐 월척이엄청귀했었죠
그래도 그무거운봉돌과큰바늘과 몇마리의지렁이를 홀딱먹고 찌올리던기억이납니다
시기에따라영향있고없고말씀들이많씁니다.
허나무겁거나커서좋을건없습니다.
우리가스위밸채비를사용하는이유를들자면그렇습니다.
조금이나마이물감을덜기위해,
미세하게0.01고람까지의찌맞춤도신경을쓰게됩니다.
사람이확느낄수있을정도의조과차이는없을수도있지만,
분명차이가나는건확실합니다.
붕어나잉어나, 먹이흡입후뱉기를반복합니다.
수조에고기넣어두시고미끼만던져놔보십쇼.
바늘없는먹이도입에들어갔다가
뱉는모습을볼수있을겁니다.
그런고기를상대로낚시를하는데,
지장이없진않겠죠?
전 차이가 있다 라고 생각합니다
미끼가 떡밥이든 생미끼건 바늘이 크고 무거운건 그리 좋지 못하다 봅니다
어쩔수 없이 큰바늘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작고 가벼운 바늘이 효과적이라 봅니다
특히 떡밥 낚시의 경우 바늘이 크고 무겁다는건 물고기가 미끼를 흡입시 바늘의 저항값?을 무시 할수는 없다 봅니다.
우리가 주로 하는 바닥낚시의 경우 바늘은 서있는 것이 아닌 바닥에 눕게 된 형태로 놓여 있는데 물고기가 미끼를 흡입하는데 바늘이 무거우면
물고기의 흡입력으로 바늘이 안딸려 오는 경우가 발생 한다는게 저의 생각입니다
작고 가벼운 바늘 그리고 쉽게 바늘에서 미끼가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물성의 떡밥이 조과에 도움이 된다 봅니다...
물론 요즘 시기는 큰 영향이 없겠지만...........
분명 차이가 있다고 믿습니다만
한방터만 다니다 보니 그냥 지누4호 5호로 갑니다....
맞다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