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바늘 무게에 따른 조과

IP : 120418c63816139 날짜 : 조회 : 15067 본문+댓글추천 : 0

안녕하세요. 8호 바늘인데 굉장히 두꺼운 바늘을 쓰고 있습니다. 향어나 잉어가 물어도 줄이 터지면 터졌지 바늘이 펴지는 일은 없습니다. 다만, 붕어가 예민하게 굴면 바늘무게로 조과에 영향을 주지 않을지 약간 신경이 쓰입니다. 바늘 무게 때문에 조과가 달라질까요? 같은 호수 대비 무게는 적지만, 튼튼한 바늘은 뭐가 있을까요?

1등! IP : 562f7434adb9c35
저의 경험상 바늘 크기나 무게는 미끼에 따라 그리고 채비에 따라 조금은 다르게 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새우나 참붕어 지렁이여러마리꿰기 를 할때는 바늘의 크기와 무게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것 같고요
떡밥나 옥수수 미끼로 할때는 바늘의 무게에 영향을 미치는것 같습니다 특히 떡밥할때는 가벼운 바늘을 선호합니다
추천 0

2등! IP : cfa0d7f8f76bcf7
윗분 말씀에 공감 합니다. 생미끼 낚시는 바늘 무게와 큰 영향이 없겠지나 떡밥낚시 할 때에는 분명 영향이 있습니다.~
참고로 저는 긴꼬리벵어돔 바늘을 쓰며 나름 만족하고 있습니다.
요즘 잘나오는 바늘 많습니다. 붕어가 걸려 펴지거나 부러지는 경우는 없었습니다.
http://vivafishing.godo.co.kr/shop/goods/goods_view.php?goodsno=92&category=010
추천 0

3등! IP : e5a0ce2425bb6d0
바늘 크게(무거운) 것으로 바꾸고 나서 입질도 지져분하고 조과가 줄고 있습니다

바다 낚시 하시는 분들은 바늘이 무겁다고 민물 바늘 쓰시고....

민물 하시는 분들은 바늘이 약하다고 바다 바늘 사용 하시고~~~아리송 합니다~~ ㅋㅋ
추천 0

IP : 120418c63816139
제가 느낀 것이 맞는 것 같습니다.

어분과 글루텐 짝밥을 즐겨 쓰는데,

왠지 예전보다 조금 안좋은 느낌이었거든요.

오늘 바꿔서 도전해야겠습니다.
추천 0

IP : 1b75f86112880b7
8호에 두꺼운 바늘 저도 사용해봣습니다만 조과에 차이가 많이납니다 그래서 전 붕어6호 최대한 가는 바늘을 사용합니다 잉어 70 이하라면 바늘에 이상이 생긴적은 단한번도 없었습니다 붕어6호바늘이면 붕어와 잉어 같이노릴수잇고 또한 무난합니다
추천 2

IP : 34a75ae42db2a29
조과가 떨어진 이유가 낚시꾼의 실력 문제가 아니라
단순히 바늘이 무거운게 문제라면,

바늘무게를 감쇠 시켜줄 수 있는
물속에서 뜰 정도로 가벼운 미끼가 불티나듯 팔릴 것 같군요.

물속에서 뜨는 미끼종류는 상당히 오래전부터 팔려 왔었다는........
추천 2

IP : 856b6bbe59ef167
떡밥낚시는 붕어 6호바늘이 가장 많이 쓰입니다

우리나라 최고 전문가중에 70-80%는 붕어바늘 6호를 쓰는 것으로 알고 있읍니다

예전 언젠가 ,낚시춘추 잡지에서본것으로 생각 됩니다
추천 0

IP : 6285561130f650a
제 생각도 S스모그님과 같습니다..

바늘 무게가 조과에 영향....
그렇다면 무게로 따졌을때 지렁이가 무거울까요..
떡밥이 무거울까요..?

조과가 신통치 않으면 이것저것 생각하게 되는건 맞는듯 합니다..

제 생각은 조과의 8할은 그날의 포인트 입니다.

바늘무게가 아니구요..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오해없으시길...

전 지누 3호 바늘로 무거운 찌맞춤 하고,
글루텐,옥수수,지렁이,새우,참붕어..
그날그날 랜덤으로 씁니다.

작게는 5치 부터 38까지 문제없이 찌 올리고 후킹 됩니다.
추천 2

IP : e653fd1fbc37860
심해갈치 선상낚시를 다녀보면 바늘크기. 모양. 목줄길이. 굵기. 낚시대의 텐션.등등..............

흔히 꾼들이 말하는 노하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첫번째로 중요한것은 포인트. 선장의 노하우가 필요하고

고기가 있는 수심층찾기................

고기가 없는곳에서 별수단을 다부려도 무용지물입니다. 즉 고기가 있는곳.. 포인트가 젤 중요합니다.

어부들의 채비는 정말 단순하고 투박하기까지 합니다. 그러나 조과는 대단하더군요.

감성돔은 하루에 천기를 열두번을 본다는 영물이라며 대단하게 여기기도 하지만 투박한 카고(원투)낚시에 낚시대를 가져갈 만큼

시원하 입질을 보여줍니다. 붕어도 마찬가지 릴낚시중 초릿대를 시원하게 가져가기도 합니다.

감성돔이든.붕어든 생선에 불과할뿐 그이상도 그이하도 아닙니다.

낚시를 하다보면 블루길등 잡어들이 종종 바늘에 걸려 옵니다. 귀찮을 정도로 자주 올라옵니다.

블루길 잘 잡는 채비도 아닌데, 붕어채비에 잘도 올라 옵니다.큰바늘에 잘도 물어며 후킹도 기가막히게 잘됩니다

블루길이 주 대상 어종이 되었다고 칩시다. 블루길 전용바늘. 전용줄. 전용찌. 전용채비....등등 수많은 조구용품들이 쏟아집니다.

월척에는 블루길 잘잡는 채비라며 여가지 채비와 찌맞춤법등이 소개되고 몇몇 상업적인 ***채비.@@@채비.하며

꾼들을 유혹할겁니다.
추천 6

IP : b64a182af3917b8
수입붕어(중국붕어.떡붕어)가 있는 관리지나 양어장에서는 채비 원줄.목줄.바늘 굵기 사이즈도 무시하면 안되겠지만 자연지에서는 미끼에따라 틀려질뿐 크게 신경쓰는것또한 낚시에 방해만 된다고 생각됩니다.
터센 배스터 옥수수 한알만 쓰니까 5호 6호 정도쓰는거겠지요.^^자연지에서는 7호이상 써도 요즘시기엔 크게 문제없다고 생각합니다.^^
추천 0

IP : 70f9489cb88ca2f
바다 벵에돔 낚시에서는 바늘무게까지 생각하지만 띄울낚시말고는 일반바닥낚시에서는 꼭 그럴필요가 있나 싶네요 오히려 바늘크기나 미끼가 더 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나 싶습니다
추천 0

IP : 8599b9c15c42cec
바늘 무게는 조과에 심대한 영향을 끼칩니다.
그예를 소개한다면 산란기때 어느 낚시인이 잉어 를 연신 낚는데 바늘이 번번히 뻣는겁니다
초보자 같았구요 곁에서 구경하던 저는 보다못해 튼튼하고 무거운 바늘을 꺼내서 주었고 그낚시인은 연신 고맙다고 하며 그낚시바늘로
미끼를 달아 던졌는데 이제 절대로 바늘 뻣을 일은 없는거죠 이제 목줄이나 원줄 터질일 밖에 없는거죠,,,,,,,,근데 이런 ~ 입질 뚝 입니다
조금전까지 그렇게 왕성하게 입질하던 고기들이~
그래서 한편으로 조금 민망했습니다
좋은일하고 욕먹는다는 말이 이런때 를 말하는거구나~
추천 0

IP : 8599b9c15c42cec
늘 낚시해봐도 가벼운 바늘은 조황이 좋지만 무거운 바늘은 답답합니다.
중간지점의 무게에 어느정도 강도 까지 보장되는 그런바늘이 갑이라 생각합니다
내림 바늘 들이 가녀리고 탄성도 있고 입질도 잘합니다
그런바늘을 쓸때는 실리콘 오링 을 반드시 달아줘야만 어느정도는 버틸수있죠
바닥낚시에서 내림 용 바늘을 쓰기엔 무리가 있긴합니다
낚시대 자체가 내림대 만큼 유연하지 못하므로~
중층바늘은 바닥낚시 저리가라 할정도로 또 무지막지 합니다 특성상 미끼를 중층에서 안정되게 잡고있어야 하기 떄문에~그런듯합니다
추천 0

IP : 8a9906998996bf4
떡밥낚시는 가벼운바늘ᆞ대물이나 생미끼낚시는 무게와는 다른 문제라고봅니다ᆞ저는 감성돔바늘보다 훨씬 무거운 벵에돔9호 쓰는데 왜이리 붕애도 잘나오는지ᆞᆞ
찌 맞춤을 무겁게 하느냐ᆞ가볍고 예민하게 하는지가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추천 0

IP : faaf907b576b376
어떻게 바늘 무게로 입질이 끊긴다는건 이해하기 힘든부분이네요. 바늘 크기보고 붕어가 건드냐 마느냐 문제인데
미끼의종류나 꿰임방식의 차이가 아닌 조과가 결정된다?
바늘의 무게는 입질을 받고 나서의 바늘이 안펴지고 잡히느냐 마느냐 즉 튼튼함의 이야기겠죠.
바늘이 조금 무거워졌다고 입질을 안한다는건 이해하기 힘듭니다.
채비가 무겁고 가볍고 여러가지 이유는 충분히 이해할수있고 그런 상황이 많았지만 여러바늘을 다수 사용해본 저로써는 도무지 이해하기 힘든 부분들이 있네요.
그것도 바늘이 중간에 떠있는것도 아니고 바닥에 올림낚시를 하는 붕어낚시에서
추천 1

IP : 1a87d2d61c0438c
정답은 정해저있지않다 입니다.어떻게 매번 다른장소에서
같은바늘을 쓰겠습니까.양어장은 보통 붕어바늘 6호-8호
대물노지낚시는 감성돔이나뱅어돔3-4호 등 또한
미끼마다 글루텐낚시는작은바늘 생미끼낚시는 큰바늘
보통다 그렇치 않나요?
추천 0

IP : 1a87d2d61c0438c
유리하긴 당연히 작은바늘이 유리하죠 이물감이 덜하니
단 약할뿐이죠 ㅎㅎ
추천 0

IP : 3231e226fd71c3f
분명한건. 같은조건이라면.
작고 가벼운 바늘이 입질받을. 확율이.
휘얼. 높읍니다
추천 1

IP : 219ec091d506bac
채비에 대한지식을 공유하고 또 배우면 분명히 기술적인 낚시가 될것이고 진보하는 낚시를 즐기게되리라봅니다 조과도 좋아지구요 근데 어째 낚시가 하면할수록 어려워지는 느낌이드네요 예전에는 그냥 재미있고좋았는데 지금은 낚싯대 선택부터 채비의정석 수많은찌 그리고 봉돌 캐미까지 스트레스투성이네요 ㅠ
추천 0

IP : 43873bcba4ecbfb
낚시는 나만의 과학입니다
본인이 맏고 쓰면 최고의 채비입니다
경험으로 늘고 만지면서 이해하고 등등~ㅎ
추천 0

IP : 8fefb27e7b86975
고기 크기에 맞게 바늘 쓰면됩니다.
바늘이 작아도 큰붕어를 잡을수는 있지만 후킹이 제대로 안되거나 바늘이 펴지거나하면 정말 어이없잖아요.
바늘 종류도 많고 크기도 다양한 이유는 고기의 싸이즈와 입구조 아닐까요?
전 대물낚시 시작하면서 감생이 3호이하를 써 본적이 없습니다.
물론 작은 바늘이 붕어를 많이 잡는데 유리하다고 생각은 합니다.
추천 0

IP : 8fefb27e7b86975
또한 작은 바늘이 큰붕어를 잡는데는 유리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추천 0

IP : 8fefb27e7b86975
아 가볍고 예리한 바늘 추천 드리면 가마가츠 토너먼트 지누 백바늘 추천드립니다.
고기 걸어 펴진적은 없지만 장애물 걸려 펴진적은 있습니다. 원줄과 낚시대 보호에는 펴지는 바늘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추천 0

IP : b7ea296c05ece1a
하우스낚시라면 예민한 채비를 고려해봐야 되겠지만 노지낚시에서는 그닥 중요하지않습니다
그냥 본인께 익숙하고 편한채비에 포인트나 대상씨알에 따라 선호하는 바늘 쓰시면 됩니다
요즘 무슨 채비다 무슨 기법이다 상술에 현혹되지마시고 그저 웃어넘기시고 즐낚하세요
추천 0

IP : 763cc755e0f96e2
중학교시절 아버지께서낚시하실때보면 원봉돌 풍덩과 바늘도크고
거기에 뚝에서잡은 지렁이 많이끼워서 하실때보면
그땐 월척이엄청귀했었죠
그래도 그무거운봉돌과큰바늘과 몇마리의지렁이를 홀딱먹고 찌올리던기억이납니다
추천 0

IP : 27af2807111aa87
댓글 읽다보니 괜히 어려워 지네요. 그냥 붕어바늘7호 8호 즐겨쓰는1인인데 댓글읽다보니 채비 다시해야하는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추천 0

IP : 041648daafee31e
바늘이 커지면 떡밥이 커지고 바늘이 작아지면 떡밥이 작아진다 고로 작은바늘이 입질받기싶다임니다
추천 0

IP : 7b848253445a70d
미끼에따라 영향있고없고,
시기에따라영향있고없고말씀들이많씁니다.
허나무겁거나커서좋을건없습니다.
우리가스위밸채비를사용하는이유를들자면그렇습니다.
조금이나마이물감을덜기위해,
미세하게0.01고람까지의찌맞춤도신경을쓰게됩니다.
사람이확느낄수있을정도의조과차이는없을수도있지만,
분명차이가나는건확실합니다.
붕어나잉어나, 먹이흡입후뱉기를반복합니다.
수조에고기넣어두시고미끼만던져놔보십쇼.
바늘없는먹이도입에들어갔다가
뱉는모습을볼수있을겁니다.
그런고기를상대로낚시를하는데,
지장이없진않겠죠?
추천 0

IP : 0286533161a2b19
무거운 바늘과 가벼운바늘에 따라 조과 차이가 있느냐? 이게 질문이신데
전 차이가 있다 라고 생각합니다
미끼가 떡밥이든 생미끼건 바늘이 크고 무거운건 그리 좋지 못하다 봅니다
어쩔수 없이 큰바늘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작고 가벼운 바늘이 효과적이라 봅니다
특히 떡밥 낚시의 경우 바늘이 크고 무겁다는건 물고기가 미끼를 흡입시 바늘의 저항값?을 무시 할수는 없다 봅니다.
우리가 주로 하는 바닥낚시의 경우 바늘은 서있는 것이 아닌 바닥에 눕게 된 형태로 놓여 있는데 물고기가 미끼를 흡입하는데 바늘이 무거우면
물고기의 흡입력으로 바늘이 안딸려 오는 경우가 발생 한다는게 저의 생각입니다
작고 가벼운 바늘 그리고 쉽게 바늘에서 미끼가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물성의 떡밥이 조과에 도움이 된다 봅니다...
추천 1

IP : 71b8a564b82abf3
입질이 약한 하우스에서보면 바늘 크기 무게 분명한 차이가 있던데요.
물론 요즘 시기는 큰 영향이 없겠지만...........

분명 차이가 있다고 믿습니다만
한방터만 다니다 보니 그냥 지누4호 5호로 갑니다....
추천 0

IP : 6402c352d880ab0
벵애돔 7~8호정도가 향어나 잉어한데 적한 한것 같습니다 ,,제가 좋아 하는건 훅킹률입니다 ,,작지만 튼튼 하고 날카로워서 입니다 ,,회사마다 종류 마다 고급바늘은 ,카본함량등 ,,가볍고 튼튼 합니다 물고기에 삼키는 이물감을 없애기 위함입니다 ,,
추천 0

IP : 6402c352d880ab0
바늘이 무거우면 바늘을 흡입하고 아무런 무계를 모르는 대어는 상관없지만 ,,,,흡입력이 약한 어종은 미끼만 삼키고 ,,,바늘은 그대로 두는 경우가 많이 발생합니다 원하는 어종의 입질을 보고도 정확한 찌올림을 몰라 챔질을 못하죠,,,특히 떡밥 낚시에 경우죠,,,좋은 바늘은 가볍고 강하고 날카롭습니다 ,,,물고기가 삼켰을때 가벼워서 이물감이 없고 ,,,날카로워 훅킹성공률이 높죠,,,주로 후진국에서 생산한 ,,가격이 싼 바늘이 그런것이 많더라구요,,
추천 0

IP : c73e835c23af2b5
개인적인 생각엔 붕어가 바닥에 우리가 던져놓은 미끼만 있는것이 아니고 여러가지 이물질들(나무가지 모래등)이 있기에 붕어가 미끼흡입시 선택해서 먹을수 없으므로 흡입후 뱉기를 하리라고 생각합니다. 그과정에서 미끼와 바늘이 함께 입속에 들어가기 때문에 바늘이 붕어입보다 크다면 모를까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어떤때는 13호바늘에 바늘보다 작은 물고기가 입질해서 잡혀나올때가 있었습니다. 고로 큰 영향은 받지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