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떡밥의 무게가 너무 무거워도 떡밥이 먼저 안착되고, 그다음 봉돌이 안착 됩니다.
특히 유동채비시 더욱더 심하게 나타납니다.
먼저 유동채비 시에는 떡밥을 작게 달고 투척 후 낚시대를 몸쪽으로 끄러다 놓고 찌가 안착 후 낚시대를 앞으로 밀어 놓으시면
최소한 사선입수를 방지 할 수 있습니다.
제가 아는 후배도 낚시를 하는데, 이상하게 하고 있어 물어보니...형님 찌가 올라오지 않아요...ㅎㅎ
찌부력이 잘 못 되었나 확인 해보니 그냥 영점 맞춤이었고, 낚시하는 모습을 보니 답이 바로 나오던데요.
쌍바늘에 떡밥을 손톱 만하게 달아서 투척..ㅎㅎㅎ 당근 처음 수심 맞출때보다 바늘에 떡밥을 무겁게 달아 났으니
떡밥이 먼저 안착되어 원래 수심을 맞춘 것 보다 경사지이다보니 깊게 들어가는 것 입니다.
뒷방총각님의 경우 아마도 떡밥이 확산성이 높은 것 일 수 있고..그래서 쉽게 바늘에서 이탈하여 찌 부력에의해서
앞으로 오지 안았나 생각 해봅니다.
경사면에서 낚시 시 먼저 경사면의 형태를 파악하시고, 계속적으로 경사면이다면 수심 맞추실때 투척 후 낚시대를 몸쪽으로 당겨 놓고
찌가 멈춘다음 앞으로 밀어주시면서 수심을 맞추시면 됩니다.
그리고 떡밥 달고 투척 시 동일한 방법으로 하시고, 아마도 떡밥의 무게 때문에 조금은 수심 맞추신것보다
깊게 들어 갈 것 입니다.
이런한 것을 고려하여 떡밥달고 투척 후 조금더 몸쪽으로 당겨 놓은 후 찌가 멈춘다음 앞으로 밀어 주시면
떡밥이 풀려도 어느 정도 찌가 고정 될 것 입니다.
입질은 거으 끌고들어가는 입질 형태이며, 어쩌다 이쁘게 올려주기도 합니다.
특히 경사면 끝나는 부위는 아주 좋은 포인트 입니다.
낚시대 길이에 따라 바닥상태 확인 후 낚싯대 선정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반스윙으로 목표지점에 던지시면 바늘이 바닥에 안착하므로 미끄럼을 줄일수 있읍니다.
바닥 비탈 끝나는 지점이 포인트인데..
좀 긴대로 비탈 끝나는 지점을 공략하시면 대벅 보십니다..
늘 안출하세요~~
결론은 윗분 말씀대로 대박가능 한곳입니다.
장대로 투척해서 사선이 끝나는곳(물골자리)을 찾아서
낚시하시면 월리 상면할수 확률이 굉장히 높습니다.
처음분 말씀처럼 팅겨 나가는 앞치기가 아니라 물을 스쳐가는 반스윙 앞치기로 해야 할것으로 사료됩니다.
처음에는 있는 힘껏 앞치기를 하신 다음 찌가 앞으로 오면서 안착되는 위치를 찾으시고 그 다음부터는 봉돌이
안착되는 위치에 떨어지는 덜던지는 앞치기를 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유동채비시 더욱더 심하게 나타납니다.
먼저 유동채비 시에는 떡밥을 작게 달고 투척 후 낚시대를 몸쪽으로 끄러다 놓고 찌가 안착 후 낚시대를 앞으로 밀어 놓으시면
최소한 사선입수를 방지 할 수 있습니다.
제가 아는 후배도 낚시를 하는데, 이상하게 하고 있어 물어보니...형님 찌가 올라오지 않아요...ㅎㅎ
찌부력이 잘 못 되었나 확인 해보니 그냥 영점 맞춤이었고, 낚시하는 모습을 보니 답이 바로 나오던데요.
쌍바늘에 떡밥을 손톱 만하게 달아서 투척..ㅎㅎㅎ 당근 처음 수심 맞출때보다 바늘에 떡밥을 무겁게 달아 났으니
떡밥이 먼저 안착되어 원래 수심을 맞춘 것 보다 경사지이다보니 깊게 들어가는 것 입니다.
뒷방총각님의 경우 아마도 떡밥이 확산성이 높은 것 일 수 있고..그래서 쉽게 바늘에서 이탈하여 찌 부력에의해서
앞으로 오지 안았나 생각 해봅니다.
경사면에서 낚시 시 먼저 경사면의 형태를 파악하시고, 계속적으로 경사면이다면 수심 맞추실때 투척 후 낚시대를 몸쪽으로 당겨 놓고
찌가 멈춘다음 앞으로 밀어주시면서 수심을 맞추시면 됩니다.
그리고 떡밥 달고 투척 시 동일한 방법으로 하시고, 아마도 떡밥의 무게 때문에 조금은 수심 맞추신것보다
깊게 들어 갈 것 입니다.
이런한 것을 고려하여 떡밥달고 투척 후 조금더 몸쪽으로 당겨 놓은 후 찌가 멈춘다음 앞으로 밀어 주시면
떡밥이 풀려도 어느 정도 찌가 고정 될 것 입니다.
입질은 거으 끌고들어가는 입질 형태이며, 어쩌다 이쁘게 올려주기도 합니다.
특히 경사면 끝나는 부위는 아주 좋은 포인트 입니다.
낚시대 길이에 따라 바닥상태 확인 후 낚싯대 선정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이상 제가 경사면에서 하는 낚시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