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초보조사가 여러 선배님들에게 도움을 얻고자 질문 드립니다.
원봉돌,사슬, 스위벨 채비를 주로 사용합니다.
찌맞춤은 바늘없이 찌탑 or 한마디 까지 맞추고 오링으로 찌고무까지 맞추고 한마디를 내놓고 낚시를 합니다.
그런데 여기까지는 괜찮은데 찌가 엄청 빨리 내려갑니다...찌맞춤은 다른분들이랑 비슷한것 같은데 다른분은 한없이 계속 내려가다가 멈추더라구요..
편납을 더 깍으면 찌탑이 너무 노출이 되어서 찌맞춤이 엉망이 되던데 찌맞춤을 할때 천천히 내려가게 하는 방법을 배우고 싶어서 질문드립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가장천천히 내려가는것은 구형의몸통을가진 찌에 분할채비가 천천히 내려갑니다.
물속저항과 관련이있어서 그런것으로보이는데 찌맞춤만 제대로되어있으면 채비하강속도는 그리염려하지않으셔도 될꺼로 보입니다.
먹이경쟁이 치열하다보니 ...
노지는 입질이 완~전 슬로우슬로우인디
찌맞춤을 잘 했디고 해도
떡밥을 달면 떡밥무게가 추가되어 빨리 내려가니
지렁이나 콩알로 떡밥낚시하시면 간단히 해결되어
천천히 내려가며
모노줄을 사용시에는
카본줄 사용시보다 천천히 내려갑니다.
가장많습니다 일반적인 막대찌나 대물찌는
정확한 찌맞춤이 되어 있다해도 빠르게 하강하며
고추형태의 찌나 장찌같은 경우 말씀하신것 처럼
느리게 하강합니다 대물찌는 잡어를 피해 빠르게
미끼를 안착시키기 위함이며 고추형태찌는
떡밥용으로 느리게 하강하며 풀림을 좋게합니다
낚시기법에 따라 찌의 능력이 서로 다르므로
잘못된건 아니라 봐집니다
동그란 모양의 저부력 조금긴찌 사용해보셔요
3호부력에 65센티 정도 되는걸로요
음. 넘비싼거 말고 .만원정도하는 '나루예 청연' 정도요
그리고 수심이 조금 나오는곳이 찌입수가 더 좋은것 같고요
찌톱이 길고 다리가 짧다면 입수시 하강속도가 빠릅니다
해결 책은 찌톱을 짤라나가면서 마추면 될것 같습니다만 ..ㅎ
제가 찌를 제작할때 무게 중심과 부력 중심을 이렇게 마춥니다
참고만 하십시요
입질 받는데 아무 문제 없습니다.
찌 하강 속도는 찌의 형상과 상관이 있습니다. 속도까지 맞추시려고 할 필요 없습니다.
찌가 내려가는 속도는 찌맞춤이 아니라 찌가 어떤찌냐에따라 다릅니다..
찌맞춤만 맞게 하셨다면 내려가는 속도야 의미없습니다만...
찌 부력과 모양이 가장중요하고(찌의 면적으로봉돌에의한 침력을 저항),
원줄이 가라앉는 카본이냐 뜨는 모노냐에따라서도 미세하게 차이가납니다..
전 3칸기준 오뚜기찌 50센티 6호봉돌 카본3호줄 사용하고 던지면 복장터지게 천천히 안착을합니다.. (수면맞춤)
그래서 한때 수제찌만 쓰기도 했습니다. 낚시야 모두 자기만족인데 저도 서서히 내려가고 서서히 올라오는 찌맛이 좋거든요. 벨런스가 잘 잡히고 3호 내외의 부력의 봉돌의 찌 한번 써 보십시오.
사슬은 안해봐서 모르겠지만 원봉돌이든 스위벨이든
찌 맞춤을 한마디를 하는건 너무 가벼운 채비가 될 수 있고
낚시 장소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원봉돌은 영점(캐미 장착하고 캐미와 수면 일치),
스위벨(칸수에 따라 다르지만 캐미 장착한 상태에서 최대 캐미 꽂이가 보는 정도)인데
찌 맞춤에서 찌탑이나 한마디를 맞추셨다면 낚시할땐 얼마를 내 놓고 하시는지요?
찌탑이나 한마디나 채비가 너무 가벼운 찌 맞춤은 이해할 수 도 있겠지만
이후 낚시할때는 찌 맞춤보다
한, 두마디 더 보이도록 낚시를 해야합니다.
혹시 낚시할때 한두마디 내놓고 하라는걸 찌 맞춤을 한두마디로 잘못 알아들으신건 아닌지요???
즉 원봉돌이나 스위벨이나 최대 캐미가 다 보이도록 찌 맞춤하고
낚시할땐 찌 맞춤한것보다 찌가 더 보이도록 해야
봉돌이 바닦에 안착이되어 찌가 올라오는 낚시가 되는거로 알고 있습니다.
찌 내려가는 속도는 찌 몸통(즉 찌의 뚜거운 부분)윗 부분에서 안착까지 약 3~5초정도면 무난한걸로 알고있습니다.
우선 찌 맞춤을 다시 알아보시는게......
너무신경 쓰시면 정신건강에 해로우니 다른찌를 쓰시거나 그냥 쓰시는게 좋다고봅니다.
찌맞춤엔 문제가 없으니까요
일단 1).원줄상태를 확인해보세요 파머 현상이나 물때, 줄감개로 인한 원줄 휨(?) 현상이 있으면 유동찌고무가 원활히 이동 하지못해 그런 현상이 있습니다..
2) 찌는 어떤찌를 사용하시는지요? 저부력 막대찌(몸통이 얇고 긴 옥수수찌) 라면 그런 현상이 더러 있습니다. 찌 부력보다 미끼 무개로 인한 하강속도가 굉장히 빨라서 유동찌고무가 원줄에 치여서 찌는 잠수후 올라 옴니다. 이런 경우라면 조금더 부력이 있는 오뚜기형 찌를 권합니다 ..
3) 세번째는 주로 낚시하시는 수심입니다.. 미터권 까지는 그런 현상이 잘 발생하지 않지만 50-70 정도의 수심층이라면 찌가 자리잡기도 전에 봉돌이 바닥에 닫기때문에 사선입수와 함께 그런현상이 더러 발생합니다.
그 외로 찌종류 찌맞춤 등등등 여러 이유가 있을수 있겠습니다만 ^^; 거기까지 내공은 안되어 ㅎ 여기까지 제경험담을 말씀 드렸습니다.. 참고만 하세요 ^^;
고부력찌 + 큰봉돌 = 빠르게 내려가서 봉돌이 닿고 0점에서 멈춤 + 몸통이 큰 찌가 막대찌보다 더 느림
======> 느낌의 차이는 있지만 결국은 같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생미끼만 하는 입장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