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가는곳이나 잡어가 없는 곳에는 무조건 지렁이 가져 갑니다. 기후등의 문제로 입질이 지나치게 까다로운날 의외로 지렁이의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경우도 많구요... 잔챙이가 끄트머리 물고 촐랑되는 귀찮음만 참으실수 있다면 써볼만 한것 같은데요... 물론 깔끔한 떡밥 입질 보이는 곳에서야 당연 떡밥 선호 하지만요....
생각보다 지렁이를 많이 쓰고 계시지 않는 듯 보이네요. ^^ 지금 시즌에는 지렁이 만한 미끼가 없습니다. 흔히 봄이나 늦가을에만 지렁이가 잘된다는 생각을 하시는 분들도 계신데 그렇지는 않습니다. 한여름에도 여러마리꾀기등으로 혹은 비온후 지렁이는 그야말로 특효약이 되기도 합니다. 일교차가 심하게 벌어지는 전형적인 가을날에도 지렁이를 3-4마리,또는 그이상 바늘에 꾀서 사용하시면 대물을 만날 기회가 확실히 많아집니다.
다만, 참고해야 될 부분은 지렁이 짝밥 사용시 지렁이(미끼)+떡밥(집어제)와 지렁이(미끼)+떡밥(미끼)의 차이를 잘 이해하셔서 주,야간에 차별하게 사용하면 좋습니다. 또 지렁이는 떡밥에 비해서 입질패턴도 차이를 보이고 떡밥의 경우 찌가 서너마디만 올라가도(물론 붕어의 올림) 이미 붕어가 그떡밥을 흡입하고 있는경우가 많지만, 지렁이는 찌가 올라가도 미쳐 흡입하지 못한경우가 많아서 헛챔질도 많아집니다. 때문에 예를 들어 2봉채비의 경우 목줄이 긴쪽에 지렁이미끼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제로 일반적인 목줄의 길이 5-6cm보다 편차를 두어 1에서 2cm까지 길이를 더 길게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즐낚하십시오.
밤낚시하면(몇번가보지는 모했지만..^^:)
혹시나 해서 새우나 옥수수도 써보지만 보통
옥수수에 짝밥으로 지렁이 이렇게 하거든요,,ㅎㅎ
지렁이에는 메기만 올라 오던데요,,ㅎㅎ
허나 밤낚시에는 좋은조과로 연결되지요
귀찮아도 짝밥으로 운용하심이 좋을듯 합니다
힘들어요. 차라리 옥수수랑.......떡밥크게 다는게 좋터라구요. 참고하세요
초봄과 늦가을 (새우등 동물성 미끼와 더불어.......)
여름철 흙탕물
강가나 수로낚시중 수초더미에서 대물 노릴때 (한 바늘에 여러마리 꿰기)
메기, 동자개 등의 잡고기를 감수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붕어낚시에는 짝밥이 최고!!!!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그냥 떡밥 사용합니다.
옆에 같이 가는 형이랑 마리수 비교 해보면
그닥 차이가 없습니다.
둘다 꽝이라서요. ㅠ.ㅠ
전 무조건 지렁이 사용합니다
낮에서부터 초저녁까지는 짝밥으로 사용 해가며 집어와 동시에 그날의 입질 패턴을
확인합니다.......
그리고 케미를 꽂고는 지렁이에 외바늘로 바꾸어 사용합니다
제가 다니는 곳은 입질이 오면 90% 는 지렁이에 입질이 옵니다
생각보다 입질이 아주 까끔합니다
떡밥으로 사용 할때 보다 더 많은 입질을 볼수가 있습니다
어두운 밤에 바늘에 꿰는 불편함이 있지만, 지렁이는............
꼭 필요한 미끼입니다
새우 대물낚시를 추구하지만 처음 접하는 노지에서는 지렁이로 탐색을 하는게 무엇보다도 빠르기에
지렁이를 늘 준비하게 됩니다.
다만, 참고해야 될 부분은 지렁이 짝밥 사용시 지렁이(미끼)+떡밥(집어제)와 지렁이(미끼)+떡밥(미끼)의 차이를 잘 이해하셔서 주,야간에 차별하게 사용하면 좋습니다. 또 지렁이는 떡밥에 비해서 입질패턴도 차이를 보이고 떡밥의 경우 찌가 서너마디만 올라가도(물론 붕어의 올림) 이미 붕어가 그떡밥을 흡입하고 있는경우가 많지만, 지렁이는 찌가 올라가도 미쳐 흡입하지 못한경우가 많아서 헛챔질도 많아집니다. 때문에 예를 들어 2봉채비의 경우 목줄이 긴쪽에 지렁이미끼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제로 일반적인 목줄의 길이 5-6cm보다 편차를 두어 1에서 2cm까지 길이를 더 길게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즐낚하십시오.
미끼를 탐하는 붕어의 경계심을 조금은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붕어의 활성도가 좋은 시기에는 잔챙이들의 성화를 이기지 못해
사용을 기피하나
이른봄이나 늦가을에는 상황이 달라져서..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떡밥은 손시려워..........
짝밥에 좋아요.
쫌 찝찝하기는 하나 손 씼을 물이 없을때 기냥 손으로 다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