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부력맞출때 던질때마다 부력이 약간씩 틀립니다..도와주세요

IP : a519cc7c7ea31dd 날짜 : 조회 : 5572 본문+댓글추천 : 0

안녕하세요 초보조사입니다. 올림조금 내림조금 하다가 이번에 편대채비를 혼자 열공하고있는데요... 다름이아니고 부력을 맞출때요.. 편납을 깍고 부력조정후 던질때마다 부력이 틀리네요.... 약간씩.. 왜그런거죠..ㅜㅜ

1등! IP : 244b6ae871098b8
질문의 답을 드리기엔 너무광범위한거 같네요...
어느정도의 부력의찌를쓰시는지?
원줄은 모노인지? 카본인지?
몇칸대를 하셨는지?
노지인지? 하우스인지?
기타등등...
어느정도 자세한 부연설명이 있어야
상세한 답변이 가능할듯 싶네요.
월척회원님들 많은 고수님들이 계시긴하지만
눈으로 직접보지않고는 확신하게 답변을 드리기애매하기에
본인이 어떻게 어떤채비로 하셨는지는 어느정도 부연설명이 있어야할듯싶네요.
도움이 되어드리지못해 죄송합니다....
추천 0

2등! IP : e6f375a88c30c76
하나유통님 말슴처럼 채비에 대한 정확한 설명이 있으셔야 할듯

저도 이곳 월척에서 여러 고수님들의 글에서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즐거운 낚시를 기원 드립니다..
추천 0

3등! IP : 50db4176211ea6c
매번 투척때마다 캐미고무 둘레와 찌톱에 붙은 물의 양이 다른 이유 때문일수 있습니다.
투척후 찌가 직립하면 낚시대를 뒤로 한두번 순간적으로 힘있게 골패질 하여
묻은 물을 털어내시면 될듯...

찌톱에 물의 표면 장력 때문에 그런 현상이 나타날수도 있습니다.
위 두경우는 찌톱 한마디 안쪽에서 차이가 보이더군요.

또 다른 이유는 채비 구멍부위에 배어 있는 공기방울이 떨어지지 않고 입수되어 그럴수도 있다고 가정해 봅니다.
원줄 뒷줄은 항상 물속에 가라앉혀야 하지요.^^*
추천 0

IP : fdf624a50db8f60
혹시 찌맞춤하실때 바늘을달고 맞춤하시나요?

만약그러시다면 무거운찌맞춤일경우 바늘이 편대를감는경우가있습니다

편대를사용하신다니 하우스라고 가정하여 찜맞춤하실때

바늘을빼시고 수심측정전에 찌길이이상 찌멈춤고무를 고정하시고

케미노출되게 맞춤하신후에 수심을측정하고 30~40cm정도 찌멈춤고무를내리시고(찌멈춤고무2개끼울시)

찌맞춤을 하시면될듯합니다 영점맞춤을 하시던지 마이너스맞춤을 하시던지 그건 개인취향이구요...

저도올겨울에 하우스에가서 저부력찌로 멋모르고 바늘달고 찌맞춤하다 시간을 헛되이보내서...

건강유의하시고 안출하십시요^&^
추천 0

IP : 348fec8e7fdbebc
상황 자체가 완벽하게 일치 한다면 분명 마춤도 일치 하겠죠
하지만 그렇지 못해 생기는 미새한 변화는
별로 신경 않쓰셔도 될것 같은데
더 자세한 것은 고수님 페스 ~~
추천 0

IP : 50db4176211ea6c
편대나 좁쌀채비에서 반마디 변화가 조과에 영향을 끼칠수 있습니다.
분명 극소 오링 하나 차이에 후킹이 되고 않되는 상황이 나타납니다.
찌마춤은 아무리 섬세하게해도 지나침이 없읍니다.
찌마춤통에서 물이 묻은 찌톱과 물이 않묻은 찌톱의 부력차이는 있읍니다.실험하여 보시기를...
추천 0

IP : 0bb75b9d9b03090
다운님 말씀에 동감합니다...
그냥 던지면 캐미까지 내려가던 찌도 찌를 세우고 한참을 내려가지 않게 잡아줘서
찌탑에 묻은 물이 밑으로 다 빠지게 한 후 잡았던 찌를 놓으면 캐미고무가 닿지 않고 한두마디
떠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최소 3~4번은 던져 찌맞춤을 확인하셔야 하고 모든 채비가 물에 들어가고 2시간후
반듯이 찌맞춤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대물낚시나 대충 한두마디 올림에 잡는 컨셉이면 모를까 동절기 하우스낚시나 중후한 찌올림을
원하신다면 정밀한 찌맞춤이 필수입니다.
추천 0

IP : 6fefaa3f3120261
자도 그런 경우가 있었는데, 위에 까만모자님 말씀이 맞는 것 같아요. 까만모자님 말씀처럼 했더니 해결되었습니다.
저도 편대채비 운용 중입니다. 어복충만하세요
추천 0

IP : 7ec25b1c7be5543
송귀섭님은 찌들림현상이라고 하더군요. 특히 갈대,부들,공작소재에서 많이 생긴다네요.
추천 0

IP : 99d25cabde3e717
이론적으로는 일어나서는 안되는 현상 아닌가요?
순부력이 던질 때마다 다르다니... 수포가 있어도 그렇지... 잘 모르겠네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