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대나 좁쌀채비에서 반마디 변화가 조과에 영향을 끼칠수 있습니다.
분명 극소 오링 하나 차이에 후킹이 되고 않되는 상황이 나타납니다.
찌마춤은 아무리 섬세하게해도 지나침이 없읍니다.
찌마춤통에서 물이 묻은 찌톱과 물이 않묻은 찌톱의 부력차이는 있읍니다.실험하여 보시기를...
다운님 말씀에 동감합니다...
그냥 던지면 캐미까지 내려가던 찌도 찌를 세우고 한참을 내려가지 않게 잡아줘서
찌탑에 묻은 물이 밑으로 다 빠지게 한 후 잡았던 찌를 놓으면 캐미고무가 닿지 않고 한두마디
떠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최소 3~4번은 던져 찌맞춤을 확인하셔야 하고 모든 채비가 물에 들어가고 2시간후
반듯이 찌맞춤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대물낚시나 대충 한두마디 올림에 잡는 컨셉이면 모를까 동절기 하우스낚시나 중후한 찌올림을
원하신다면 정밀한 찌맞춤이 필수입니다.
어느정도의 부력의찌를쓰시는지?
원줄은 모노인지? 카본인지?
몇칸대를 하셨는지?
노지인지? 하우스인지?
기타등등...
어느정도 자세한 부연설명이 있어야
상세한 답변이 가능할듯 싶네요.
월척회원님들 많은 고수님들이 계시긴하지만
눈으로 직접보지않고는 확신하게 답변을 드리기애매하기에
본인이 어떻게 어떤채비로 하셨는지는 어느정도 부연설명이 있어야할듯싶네요.
도움이 되어드리지못해 죄송합니다....
저도 이곳 월척에서 여러 고수님들의 글에서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즐거운 낚시를 기원 드립니다..
투척후 찌가 직립하면 낚시대를 뒤로 한두번 순간적으로 힘있게 골패질 하여
묻은 물을 털어내시면 될듯...
찌톱에 물의 표면 장력 때문에 그런 현상이 나타날수도 있습니다.
위 두경우는 찌톱 한마디 안쪽에서 차이가 보이더군요.
또 다른 이유는 채비 구멍부위에 배어 있는 공기방울이 떨어지지 않고 입수되어 그럴수도 있다고 가정해 봅니다.
원줄 뒷줄은 항상 물속에 가라앉혀야 하지요.^^*
만약그러시다면 무거운찌맞춤일경우 바늘이 편대를감는경우가있습니다
편대를사용하신다니 하우스라고 가정하여 찜맞춤하실때
바늘을빼시고 수심측정전에 찌길이이상 찌멈춤고무를 고정하시고
케미노출되게 맞춤하신후에 수심을측정하고 30~40cm정도 찌멈춤고무를내리시고(찌멈춤고무2개끼울시)
찌맞춤을 하시면될듯합니다 영점맞춤을 하시던지 마이너스맞춤을 하시던지 그건 개인취향이구요...
저도올겨울에 하우스에가서 저부력찌로 멋모르고 바늘달고 찌맞춤하다 시간을 헛되이보내서...
건강유의하시고 안출하십시요^&^
하지만 그렇지 못해 생기는 미새한 변화는
별로 신경 않쓰셔도 될것 같은데
더 자세한 것은 고수님 페스 ~~
분명 극소 오링 하나 차이에 후킹이 되고 않되는 상황이 나타납니다.
찌마춤은 아무리 섬세하게해도 지나침이 없읍니다.
찌마춤통에서 물이 묻은 찌톱과 물이 않묻은 찌톱의 부력차이는 있읍니다.실험하여 보시기를...
그냥 던지면 캐미까지 내려가던 찌도 찌를 세우고 한참을 내려가지 않게 잡아줘서
찌탑에 묻은 물이 밑으로 다 빠지게 한 후 잡았던 찌를 놓으면 캐미고무가 닿지 않고 한두마디
떠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최소 3~4번은 던져 찌맞춤을 확인하셔야 하고 모든 채비가 물에 들어가고 2시간후
반듯이 찌맞춤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대물낚시나 대충 한두마디 올림에 잡는 컨셉이면 모를까 동절기 하우스낚시나 중후한 찌올림을
원하신다면 정밀한 찌맞춤이 필수입니다.
*^^*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저도 편대채비 운용 중입니다. 어복충만하세요
순부력이 던질 때마다 다르다니... 수포가 있어도 그렇지... 잘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