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동안 스위벨 채비만하여 낚시 중인 초보 조사입니다
스위벨 채비의 단점이라면 본봉돌에 유동을 줄수 없다는것인데요 요즘같이 활성도가 좋거나 노지에서는 굳이
분할 채비가 의미없다 생각이 듭니다 다만 상황에 맞게
유동을 줄 수 있다면 좋구요
그 방면에서는 해결사 채비를 들 수 있는데요
여기서 문제는 저는 나름대로 수조 정밀 찌맞춤 후에
현장에서는 별도에 찌맞춤없이 바로 낚시를 하여
입질 패턴이나 후킹 여부에 따라 오링을 가감합니다
해결사 채비는 보조봉돌까지 원줄로 다이렉트 묶음이라
유동의 장점은 있지만 오링가감 할 수가 없으니
이를 해결 할 방법이 있는지요 단순히 보조 봉돌위에
핀크립을 다는것 말구요...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단가가 비싸다는 단점은 있지만 말입니다.
보기에 뭣하지만 분할에는 최고봉이지요 ㅎㅎㅎ
원칙적으로는 맨아래봉돌에서 가감하는방법이 가장좋지만 찌고리에부분에서 적용하여도 지장은 없습니다.
어찌보면 찌다리부분쪽으로 무게중심이 이동되어 찌의 기립에도 유리한장점도 있습니다.
아니면 사용기강좌란인가 사용팁인가에 어느분이 찌다리에 결속하여 오링가감하는 방식도 올려놓은것을 보았으니 참고하세요.
두루추 유동형과 스위벨을 사용하는데 상황에 따라 원봉돌과 스위벨의 간격을 조절할수도 있고 끝까지내려 원봉돌처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가감하기도 쉽고요 딘점이라면 두루추 가격이 비쌉니다~~
완벽한 본봉돌 채비는 아니라도 현장에서 편리하게 사용하실 방법이 있습니다.
군계일학 채비는 위부터 스냅도래> 본봉돌>1차목줄> 스위벨순 일텐데 바늘만 떼어내고
스위벨을 스냅도래쪽으로 위치만 바꾸면 본봉돌처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냅도래>스위벨>1차목줄>본봉돌 식으로요~~
관통형 황금추홀더에 편납으로 가감하시면
됩니다...찌가 5호라면 3호짜리사셔서
스위벨달고...편납조금만 감아주면 되실거에요...
참으로 편리한채비죠...
본 글에 써있듯이 오링가감을 하는데 오링무게가
0.03g이여서 편납으로 그때그때 가감하기에는
무리가 따를듯 싶습니다.
아무래도 간결한 분할채비 상태로는
오링을 낄수있는 고리추 봉돌에 생각이 기울어 지네요 아무튼 답변 달아주신 모든분들 또 직접문자로
사진까지보내주신 4514님 정말 감사드립니다
(__)
주봉돌은 편납홀더 사용하구요. 밑 밑에는 스넵도래(20~24호)를 사용하여 추가합니다.
미세조절은 오링으로 하구요. 맨밑의 봉돌은 청원형인 청룡 도래봉돌 0.5호를 사용중입니다. 니퍼로 살짝 잘라도 되구요. 그냥 쓰셔도 됩니다.
도래사용의 장점은 부력조절을 쉽게 할수 있다는 점이구요. 찌올림에 아무 문제없이 사용중입니다.
잉어 50짜리 잡아도 목줄이 끊어지거나 바늘이 펴졌지 도래가 터지거나 묶은부분이 터진적은 없습니다.
사용상 정말 편합니다. 분할위치 조절가능하고 미세조정 가능하고, 찌를 바꿔도 맨밑의 봉돌만 교체하여 사용중입니다.
한번 검색 해봐야겠네요 ㅎㅎ
원줄엔 핸드피싱만능유동추(여러가지 무게의 오링으로 무게 가감) 사용중이구요
아랫쪽엔 핀도래 달고 일반 납봉돌 1호 씁니다...
유동추부분도 무게 가감 가능하고 납봉돌도 교체 하기 쉽고 때론 아랫봉돌을 빼고 찌는 저부력으로 바꾸고 중통으로 변환하기도 합니다...
원줄은 핀도래까지 다이렉트로 연결합니다
입질형태에 따라 편납홀더를 위아래로 조정하고
찌마춤 미세조정은 핀도래에 오링 가감해서 사용중입니다
본봉돌 두루추 유동형, 분납봉돌 카멜레온 그린추
사용합니다.
본봉돌과 분납봉돌 모두 무게 가.가감 방식입니다.
결론적으로 둘다 가감 됩니다.
옥내림채비를 가만히 보시면 원줄2호, 목줄1.5호, 바늘 5호로 구성되어 있지요. 찌도 저부력 긴몸통을 사용하고요.
왜 그럴까요. 이유는 간단합니다.
찌부력에 영향을 주는 모든 부분을 최소화해서 찌의 움직임을 최대한 예민하게 하고 목줄을 길게 하여 이물감을 최소화한 것에
불과합니다.
오히려 너무 작은 바늘을 사용하여 작은 붕어가 많이 잡히고 아랫바늘은 너무 가벼운 찌맞춤이라서 찌올림이 과장되고 헛챔질도 많습니다.
물론 내림이라는 장점이 있기도 하지만 올림에서는 오히려 문제가 많다라는 것이 제생각입니다.
그래서 외봉돌 바닥낚시를 하면 조과가 떨어진다고 생각하기에 이런저런 채비를 고안해 낸 것이라고 생각됩니다만
외봉돌, 외바늘, 가는 원줄과 목줄, 작은바늘을 사용하고 찌맞춤만 정확하게 한다면 바닥낚시로도 어떤 채비보다
예민한 채비를 할수 있어 좋은 조과를 볼수 있다라는 겁니다.
따라서 어떤채비가 예민하다는 것은 있을 수 없으며 찌맞춤만 정확하게 한다면 모두 같다라는 겁니다.
여기서 내림은 별개의 기법이기에 제외하고 올림만을 두고 말씀드리는 겁니다.
지난번에도 말씀드렸듯이 찌는 상하운동밖에 하지 않습니다.
같은 찌맞춤에서 봉돌을 분할한다고 해서 찌올림이 좋다는 근거는 어디에도 없습니다.
원줄,목줄, 바늘 등 모든 조건이 같고 찌맞춤도 동일할 경우 분할이나 원봉돌이나 같은 채비일뿐이죠.
여기에 대한 과학적 설명이나 증명없이 어떤채비가 예민하고 우월하다는 것은 모두가 납득할 수가 없을 겁니다.
찌맞춤만 정확하다면 원봉돌이나 기타 명칭을 가지고 있는 채비나 모두 같은 채비일뿐입니다.
또한 사각지대를 없앤다는 채비도 있는데 사각지대를 없애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이물감이 가장 적은 가는 합사를 짧게 쓰는 것이
최상의 방법임에도 불구하고 모노줄로 이렇게 채비를 해야 사각지대가 없어진다고 합니다. 앞뒤가 안맞는 얘기죠.
그런데도 복잡한 이런 저런채비를 돈들여가며 사용할 필요가 있을까요?
선택은 여러분의 몫입니다
붕어가 있는곳으로 가세요 ㅎ
오링사용하기도 좋고 무게대로 구입하여 하나에는 0.5g짜리 편납을 미리 감아 놓으면 웬만한 부력에 예민하게 사용가능합니다.